마커 1
로빈 쿡 지음, 김청환 옮김 / 열림원 / 2006년 7월
평점 :
품절


'로빈 쿡'의 <돌연변이>를 읽고 나서, 의학 스릴러가 어떠한 것인지, 또한 얼마나 흥미로운 장르인지 알게 되었고, 의학 스릴러의 거장 '로빈 쿡' 시리즈를 다 읽어 볼 각오로 가장 최근에 출간된 <마커>를 집어들었다. 무엇보다도 이 소설의 특징은 내가 좋아하는 '퍼트리샤 콘웰'의 스카페타 시리즈 혹은 'CSI시리즈'와 무척이나 흡사해서 흥미로웠다는 점이다. 빅 애플이라고 불리우는 미국 뉴욕의, 한 검시소를 거점으로 활동하는 검시관을 주인공으로 한 점이 바로 그것인데, 그래서인지 퍽 익숙한 느낌마저 들었다.

뉴욕검시소에서 일하는 검시관인 '로리'는 어느날 젊은 청년의 시신의 해부를 맡게 된다.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다가 넘어져 다리에 골절상을 입고 근처에 있는 맨해튼 제너럴병원에 입원해 있던 환자였는데, 수술을 무사히 끝내고 회복단계에서 갑작스럽게 사망한 것이다. 해부결과 정확한 사인 또한 밝혀지지 않게 되고, 이와 비슷한 증상의 사망자들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런 점들에 로리는 의구심을 표하지 않을 수가 없게 되고 이건 사고가 아닌 살인, 그것도 연쇄살인이라고 확신하게 된다. 그래서 그녀는 혼자의 힘으로 끈질기게 탐문을 한다.

의학스릴러를 보노라면 메디컬 드라마를 보는 듯 하다. 수많은 전문용어들을 사용하고, 병원에서의 급박한 상황을 재현하는 것이 TV에서와는 달리 책에서는 다소 독자의 흥미를 반감시켜주는 역효과이기도 하지만, 로빈 쿡 시리즈는 전혀 그렇지가 않다. 누구나가 보아도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대 의학의 부조리함을 꼬집어 그 부분을 소재로 한 서스펜스 소설이라는 점에서 독자 스스로 좀 더 생각해 볼 무언가를 던져 주기도 하기 때문이다. <마커>에서는 현대 의학의 발전과 더불어 예전에는 알 수 없었던 병을 초래할 수 있는 유전자를 사람들이 검사 하나로 알 수 있는 세상이 됨으로써, 자본추구를 최종 목표로 하고 있는 거대 헬스케어 회사에서의 피해, 그로 인해 저지르는 부도덕적인면을 픽션으로 보여주고 있다.

로빈 쿡, 그는 우리에게 말해주고 있다. 현대의학의 발전과 그 변화가 날로 발빠르게 진행되고 있지만, 그 이면에 존재하고 있는 역효과와 그로 인한 참상을 말이다. 물론 픽션이기에 아주 극단적인 줄거리 일 수도 있지만, 이것은 비단 허구적 상상으로만 생각할 수도 없는게 아닐까. 현대의학은 발전하고 있지만, 그 의학의 혜택을 그저 받아들이려고만 하는 일반 사람들의 무지함은 충분히 이런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으니까 말이다. 바른 사회를 위해서, 그리고 윤리를 전제로 하는 의학의 발전을 위해서라면 우리도 뒷짐지고만 있으면 안된다는것을 여실히 보여주는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