쓴다는 게 뭘까, 잠시 생각해봅니다. 형식 상 잘 쓰는 것과 내용 상 절절하게 쓰는 것은 다릅니다. 잘 쓴 글은 시샘을 유발하고, 절절하게 쓴 글은 감동을 선사합니다. 물론 잘 쓰면서 절절하면 금상첨화겠지만 그런 글쓰기는 작가들에게도 쉽지는 않겠지요. 누구나 그렇겠지만 저도 잘 쓴 글을 좋아하지만, 그렇지 못하더라도 진심이 담긴 글을 더 좋아합니다.
오늘 어떤 분을 급히 만나야 했습니다. 글쓰기 대회 입상자인데, 그 글을 활자화하기엔 비문이 많아 퇴고할 기회를 드려야 했기 때문입니다. 그 분과 몇 마디 나누지도 않았는데, 입상자 참 잘 뽑았다,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분은 새벽마다 신문을 돌린다고 했습니다. 형편이 어려워서가 아니라, 아이들의 본보기도 될 겸 다이어트도 할 겸, 즐거운 맘으로 새벽 공기를 가른다고 합니다. 이것만도 대단하다 싶은데, 아직 받지도 않은 제법 많은 상금 전액을 기부하겠다고 모처와 약속을 했답니다.
아주 세속적인 저는 그 상황이 이해하기 어려워 정중함을 가장한 오지랖을 떨어보았습니다. 글쓰기도 정당한 노동의 대가인데, 상금의 일부분이라도 자신을 위해 쓰는 게 의미 있지 않겠느냐고요. 어디 제 말이 씨알이라도 먹혔겠습니까. 그분 왈 “그 상금 제 것 아니에요. 글을 쓰게 한 주변 것이지요. 쓸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감사한 일이지요.” 얼음주머니로 머리 한 대 맞은 듯한 명징한 떨림이 밀려왔습니다.
그분에게서 새삼 확인했습니다. 잘 쓴 글은 기법상의 하자 없는 것이 아니라, 진정성 깃든 내면의 목소리를 낼 줄 아는 글임을. 돌아오는 길 혼자 중얼거립니다. 착한 사람들이 정직한 비문(非文)으로 제 안의 나무에 꽃을 피울 때, 그렇지 못한 저는 경직된 완문(完文)을 찾아 저 밖의 태양을 좇고 있더란 겁니다. 그래도 욕망투성이 스스로를 보편적 인간이라 달래며 부끄러워하진 않겠습니다. 대신, 이분 같은 이들을 존경하고 칭송하겠습니다. 그것만으로도 제 안의 찌꺼기 하나를 털어내는 기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