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어머니, 아들 전화 받고 서울나들이 가신다. 임신한 며느리 힘드니 아이 둘 좀 보살펴달란다. 고향 떠나 사흘 밤도 잔 적 없는 어머니, 난생 처음 일주일 예상으로 서울행 기차에 오른다. 아들의 두 번째 부인인 며느리는 덩치 크고 머리 큰 어머니에 비할 바 아니다. 황소 같은 몸집에다 성격은 착하다 못해 맹하기까지 하다.

 

 

  아들의 핏줄이 아닌, 며느리가 데리고 온 두 아이가 ‘할머니’라고 부르는 소리를 어머니는 듣고 싶지 않다. 냉랭한 아들은 어머니를 살갑게 챙기지는 않는다. 하지만 가장 깨끗하고 넓은 공간인 지하실에 어머니의 침실을 마련해드렸고, 당신도 그곳을 딱히 싫어하지는 않는 눈치지만, 이웃들이 그런 자신더러 어머니를 지하실에 처박아 두었다고 비난할 수도 있다는 사실은 생각하지 못한다. 다만, 그 옛날 수학선생님이었던 어머니가 동료 교사와 사랑에 빠져, 자신과 아버지를 돌보지 않은 채 자주 신경질을 냈던 것은 기억하고 있다. 잘못했다는 소리를 절대 하지 않는 어머니 때문에 아들은 유년 이후 트라우마를 안고 살아왔다.

 

 

  첫 결혼에 실패한 것도, 그 후 고향에 돌아오지 않는 것도 어머니 때문이다. 이혼 전문 사교 모임에서 두 번째 아내를 만났고, 상처 많은 두 영혼은 정신과 상담의의 도움으로 정신적 자립을 할 수 있었다고 믿는다. 오죽하면 상담의를 따라 서울로 이사를 갔을까.

 

 

  예정된 일주일을 넘기지 못하고 어머니 짐을 싸신다. 핏줄 아닌 손주가 부르는 ‘할머니’ 소리 때문도 아니고, 변할 것 같지 않은 아들의 냉정한 시선 때문도 아니며, 대책 없이 맹한 며느리 성격 때문도 아니다. 어머니를 서울로 오게 한 아들의 진짜 이유를 알았기 때문이다. 극도로 변덕스러운 어머니 때문에 어릴 때부터 입 다물고 살았던 아들은 커서도 그 상처를 극복하지 못했다. 아들 부부는 상담의의 권유로 ‘용서하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어머니를 초대했던 것이다. 심리 치료 모임에서 아들이 이 모든 걸 재연할 걸 생각하니 어머니의 분노는 극에 달한다. 어머니에 대한 두려움에 지배당하지 않기 위해 아들은 어머니를 이용하고, 속수무책 상황에 처한 어머니는 수치심에 치를 떤다. 어머니는 사흘 만에 고향 행 기차에 몸을 싣는다.

 

 

  용서에 대해 생각한다. 용서하거나 용서받는다는 건 지극한 이기심의 발로이다. 용서하는 자는 준비가 필요하고, 용서 받는 쪽 역시 시간이 필요하다. 자신이 편하고자 성급히 용서를 바라도 안 되고, 용서할 준비가 되지 않았을 때에는 섣불리 그것을 받아들여서도 안된다. 급하면 체한다. 주고받는 용서의 방식은 어느 누구의 일방적 요청에 의해서가 아니라 자발적 상호 합의에 도달했을 때 가장 명쾌하다. 당사자 둘 다 만족하는 이기심이어야 하는 용서란 얼마나 힘든 것인가. 시간만이 그것을 해결해준다

 

 

** 여기 나오는 어머니는 뉴욕에 간<올리브 키터리지>의 서울 버전입니다.

    소제목 <불안>편


댓글(8)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오기 2012-12-27 09: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주변 사람 이야기인줄 알았어요.^^
용서란 스스로 마음에서 우러날 때만 할 수 있겠죠~
저도 내일은 서로 화해할 분과 점심을 먹기로 했어요.
먼저 손내밀지 않으면 절대 용서할 수 없다, 꽁하고 있었는데 어제 오해를 풀자면서 청하더군요. 인간관계의 어려움은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따라 행불행이 갈리는 거 같아요.
이 글을 읽고 내일 어찌해야 할지 답을 얻은 것 같아~ 고맙습니다!^^

다크아이즈 2012-12-28 12:09   좋아요 0 | URL
순오기님, 주변 이야기라면 제가 여기 블로그 있는 거 아무도 모르지만 쓸 수는 없을 것 같아요.ㅋ 몸짓이 주는 상처는 견딜만하고(누구나 그 정도는 하고 사니까),말이 주는 상처는 그 사람 인품을 규정짓는 잣대로 삼으면 되니 그런 대로 필요악이지만,글이 주는 상처는 흔적을 남기니 그건 못할 짓이지요. 해서도 안 되구요.

먼저 손 내미는 것 진짜 중요해요. 잘 해결한 뒤 차 한 잔 하고 있을 순오기님 상상하옵니다. 서로 준비가 됐을 때 화해해야 후유증이 없거든요. 연말 잘 맞이하고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페크pek0501 2012-12-27 18: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용서... 혜민 스님은 남을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을 위해서 남을 용서하라고 썼죠.
그런데 용서라는 것도 진짜 시간이 필요한 것 같아요.
마음이 이성의 판단력에 따라오기까지 시간이 걸려서요.
아주 천천히 흐르는 게 마음이란 거구나, 하고 생각한 적이 있어요.
변덕을 부릴 때처럼 갑자기 마음이 변하는 경우도 있지만, 때론 너무 천천히 흐르는
마음 때문에 시간이란 간격을 필요로 하지요.
재밌게 읽었습니다. 정신적인 상처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는 좋은 글이에요.

다크아이즈 2012-12-29 17:19   좋아요 0 | URL
페크님 맞아요. 용서는 남이 아니라 자신을 위해서 하는 거 같아요.
용서하고 용서받는 거야 말로 가장 이기적인 행위라고 생각해요.
스스로 편하려고 하는 거다 보니, 타이밍이 절절하게 맞아야 제대로 된 효과를 보는 거지요. 어느 한 쪽이 준비되지 않았는데 용서하겠다고, 용서 받겠다고 한다면 좀 곤란한 상황이 발생하는 거지요.
가장 이기적인 행위인 용서지만, 가장 필요한 인간 행동 양식이라고 생각해요. 페크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마녀고양이 2012-12-28 17: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용서 뿐만 아니라 충고도 마찬가지인거 같아요.
받을 상대가 받을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는거 아닐까 싶어요.
그리고, 선물도요. 상대에게 필요없는 선물을 강권하는 사람들이 참 많아요.

기다림.... 저는 그게 참 필요하지만 어렵구나 하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됩니다.
새해 즐거운 일 가득하셔요.

다크아이즈 2012-12-28 17:49   좋아요 0 | URL
맞아요. 오지랖 떠는 충고도 참 보기 안타까울 때가 많아요.
준비되지 않은 사람에게 충고랍시고 하는 모든 말들은 상처가 되지요.

그래도 이 모든 것들이 시간이 지나면 어느 정도 해결된다는 게 그나마
위안이 되기도 합니다.
달여우님 학문 닦는 틈틈이 공유하고 교류해요. 늘 응원하고 따를게요.
새해 복 많이 받으시어요.^^*

프레이야 2012-12-30 10: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불안', 아주 인상적이었지요.
알랭 드 보통의 '불안'을 사두고 못 읽었는데 그걸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답니다.
올리브의 아들은 불안은 두려움이라고 했지요?^^
안나 카레니나,에선 이성이 있는 이유는 불안에서 벗어나게 하기 위해서라는 구절이
나오더군요. 팜님, 저는 비이성적인 사람이라는 생각이 요즘 들어 부쩍부쩍 더 들어요.^^
이성보다는 감정이 앞서서 늘 그르치는 것 같아요. 새해엔 좀 더 이성적인 사람이 되도록
노력해야겠어요 팜님, 저말이에요.^^
용서에 대해 용서에 필요한 시간에 대해 말씀하셨는데 전 불안만 얘길했네요.

다크아이즈 2012-12-31 15:15   좋아요 0 | URL
프레님처럼 이성적으로 참한 사람이 있을까요? 혹,비이성적인 면이 있더라도 전 그런 프레님을 더 좋아할 것이야요.

저야말로 비이성적인 사람이예요. 이성적인 사람이 되고 싶지도 않아요. 그런 사람들 보면 자신이 이성적인 것에 대해 은근 자부심을 풍기는 듯해서 재미가 없는 걸요. 약간은 모자란 듯, 주책인 듯, 헬렐레한 듯 그런 사람이 되어도 좋을 듯해요. 프레님께 그런 면을 상상한다는 건 힘든 일이긴 하지만 ㅋ

프레님 새해에도 멋진 행보 기대할게요. 고맙고 사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