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review.cetizen.com/4285/view/42/4285/rview/mobile
쉽게 말해 같은 제조사가 똑같은 물품을 생산했는데 외국에선 100%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물건을 팔고 국내에선 70%정도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물건을 판다는 이야기. 그렇다고 가격이 차이가 나느냐라고 하면 이것저것 따져보면 그렇지 않다는 결론.
언젠가 TV에서 현대차. 왜 국내와 국외에서 같은 차종을 판매할 때 가격이 틀리는가에 대해 조사하는 프로그램을 시청했던 기억이 난다. 여차저차 이것저것 따져보니 똑같은 차종이 몇백만원 차이가 난다는 수치적인 사항이 나온다. 이에 대한 반론으로 현대차는 우리나라 자동차 세금이 높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한다지만, 그 금액을 제외시켜도 역시나 가격차이는 난다고 한다. 한가지 빠진 것이 있다면 국내와 국외의 무상서비스 기간과 지원은 큰 차이가 있다.는 사실은 방송을 타지 않았다.
나 같은 경우 핸드폰은 그냥 저냥 전화통화와 문자만 되면 장땡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하드웨어적인 전자제품의 경우 한 번 사면 꼬질꼬질해지고 고장날때까지 쓰는 타입이긴 하지만서도 위의 내용들은 불쾌하게 들려온다. 왜 그럴까? 라는 생각을 해보았지만 원론적인 이유는 기업의 이윤극대화라고 밖에는 설명이 안되고 있다. 자국민이 "봉"혹은 "호구"로 보고 있습니다. 되시겠다.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같은 나라사람끼리 도와주면 좋은 것 아니냐라고 할지도 모르겠지만, 무슨 새마을 운동 완장 두르고 국기에 대한 맹세 외치는 시대는 이미 지나도 한참 지나지 않았나? 그나마 남아있는 족쇄도 풀리고 날개까지 달아준다고 하니, 앞으로는 위의 경우보다 더하면 더했지 덜하진 않을 듯싶다.
국산품을 애용하자가 아닌 국산품 쓰면 병진 됩니다.라는 말이 그냥 농담처럼 들리지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