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review.cetizen.com/4285/view/42/4285/rview/mobile

쉽게 말해 같은 제조사가 똑같은 물품을 생산했는데 외국에선 100%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물건을 팔고 국내에선 70%정도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물건을 판다는 이야기. 그렇다고 가격이 차이가 나느냐라고 하면 이것저것 따져보면 그렇지 않다는 결론.

언젠가 TV에서 현대차. 왜 국내와 국외에서 같은 차종을 판매할 때 가격이 틀리는가에 대해 조사하는 프로그램을 시청했던 기억이 난다. 여차저차 이것저것 따져보니 똑같은 차종이 몇백만원 차이가 난다는 수치적인 사항이 나온다. 이에 대한 반론으로 현대차는 우리나라 자동차 세금이 높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한다지만, 그 금액을 제외시켜도 역시나 가격차이는 난다고 한다. 한가지 빠진 것이 있다면 국내와 국외의 무상서비스 기간과 지원은 큰 차이가 있다.는 사실은 방송을 타지 않았다.

나 같은 경우 핸드폰은 그냥 저냥 전화통화와 문자만 되면 장땡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하드웨어적인 전자제품의 경우 한 번 사면 꼬질꼬질해지고 고장날때까지 쓰는 타입이긴 하지만서도 위의 내용들은 불쾌하게 들려온다. 왜 그럴까? 라는 생각을 해보았지만 원론적인 이유는 기업의 이윤극대화라고 밖에는 설명이 안되고 있다. 자국민이 "봉"혹은 "호구"로 보고 있습니다. 되시겠다.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같은 나라사람끼리 도와주면 좋은 것 아니냐라고 할지도 모르겠지만, 무슨 새마을 운동 완장 두르고 국기에 대한 맹세 외치는 시대는 이미 지나도 한참 지나지 않았나? 그나마 남아있는 족쇄도 풀리고 날개까지 달아준다고 하니, 앞으로는 위의 경우보다 더하면 더했지 덜하진 않을 듯싶다.

국산품을 애용하자가 아닌 국산품 쓰면 병진 됩니다.라는 말이 그냥 농담처럼 들리지가 않는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보석 2008-02-15 09: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기네 이익을 위해 일하는 거면서 아닌 척, 생각해주는 척하지 말았으면 좋겠어요. 돈 벌기 위해서 국민들 이용해먹는 거잖아요. 뭔가 잘못되도 한참 잘못되었단 생각이..

Mephistopheles 2008-02-15 11:43   좋아요 0 | URL
기업문화이자 생리라고 말하고 싶은데. 이런 부분에서 많은 취약점이 드러나다 보니 국민적 반기업정서가 팽배한 것 같습니다. 반기업 정서는 불만많은 국민에게서만 나오다고 보고 싶지 않아요. 기업 자체의 문제점도 많죠..근데 어찌 세월이 지나면 지날수록 더 심해지는 것 같아요.^^

2008-02-15 09: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8-02-15 11: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비로그인 2008-02-15 10: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뷰티폰도 외국에서는 아무런 동영상이나 다 재생이 되는데 국내에서는 통신사에서 다운받은 것만 재생이 된다는 군요. 물론 그래서 병진되지 않기로 했지용.

Mephistopheles 2008-02-15 11:46   좋아요 0 | URL
통신사와 제조사와의 담합이라고 밖엔 설명이 안되요. 강력한 제도적 제제가 없다보니 밥 먹듯 담합을 하고 오리발 내밀고...악순환이죠..^^

L.SHIN 2008-02-15 10: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한국인은 관대하다~ ㅡ.,ㅡ

정말이지, 불쾌하다.

Mephistopheles 2008-02-15 13:08   좋아요 0 | URL
그래도 옛날에 비하면 많이 까다로워졌다고 보고 싶어요. 그런데 제도적인 장치는 너무나 허술해요.. 규제가 많으면 기업하기 힘들다라고들 하지만 규제를 어긴 기업에게 너무나 물러터진 솜방망이 처벌이 이런 현상을 부추키는 것은 아닌가 싶습니다. 그러기위해선 법의 취약성부터 고쳐야 하는데 이거야 법 고치는 사람들이 죄다 한통속이다 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