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삼국유사
일연 지음, 이민수 옮김 / 을유문화사 / 2013년 4월
15,000원 → 13,500원(10%할인) / 마일리지 75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내일 아침 7시 출근전 배송
2020년 04월 12일에 저장

보조법어- 해설
심재열 지음 / 보성문화사 / 2011년 7월
15,000원 → 15,000원(0%할인) / 마일리지 750원(5% 적립)
2020년 04월 18일에 저장
품절

퇴계의 사람 공부- 우리 시대의 언어로 다시 공부하는 삶의 의미, 사람의 도리
이황 지음, 이광호 옮김 / 홍익 / 2019년 5월
15,800원 → 14,220원(10%할인) / 마일리지 790원(5% 적립)
2020년 03월 01일에 저장
품절

율곡집- 성리학의 이상향을 꿈꾸다
이이 지음, 김태완 옮김 / 한국고전번역원 / 2013년 4월
10,000원 → 10,000원(0%할인) / 마일리지 500원(5% 적립)
2020년 04월 16일에 저장
절판



42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염소의 맛 미메시스 그래픽노블
바스티앙 비베스 지음, 그레고리 림펜스.이혜정 옮김 / 미메시스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수영을 배우고 있어서 
마치 체험하듯 느껴지는 책 
 
처음부터 끝까지 에메랄드 빛 
 
이렇게 적은 색감과 펜터치로 
이렇게 아름다울 수 있구나 
 
물속에서 움직이는 
그 속도 그대로 
 
첫사랑의 감정이 흘러가듯 
조금씩 조금씩 
 
처음이니 어색하게 
그리고 약간은 애매하게 
 
에메랄드 빛 물속에서 
그 여자는 무슨 말을 한걸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물선 2014-12-07 09:1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공감백배이실듯.

라파엘 2014-12-07 09:26   좋아요 0 | URL
맞아요~ 공감백배!!! ㅋ
 
팝콘을 먹는 동안 일어나는 일 - 영화와 광고로 본 문화의 두 얼굴
김선희 지음, 송진욱 그림 / 풀빛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 등 대중매체를 접하게 될 때에 스스로 깨어서 사유하지 않으면, 단순히 그 매체가 전해주는 내용이나 가치관을 그대로 자신의 가치관인 것처럼 받아들이게 되기가 쉽다. 물론 대중매체를 통해서 그 제작자의 가치관이 사회로 전달될 뿐만 아니라, 이 시대의 가치관이 대중매체에 먼저 영향을 주어 반영되는 측면도 있다. 이렇게 상호적인 영향력 가운데서, 그 매체를 소비하는 사람들은 스스로 사유하지 않으면 단순히 시대가 흘러가는대로 떠밀리며 살아가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책은 대중매체의 영향력 가운데서 사유하는 하나의 예를 보여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실 2014-12-07 07: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스로 깨어서 사유하지 않으면? 보면서 졸립더라구요^^
전 여과없이 흡입하는 단순함이 있어요.

라파엘 2014-12-07 08:19   좋아요 0 | URL
보는 것만으로도 잠에 빠져들게 만드는 매체들이 정말 많지요... ^^;;
 
감시와 처벌 나남신서 29
미셸 푸코 지음, 오생근 옮김 / 나남출판 / 200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미셸 푸코의 학문적 관심은 지식과 권력 그리고 주체라는 세 가지의 주제로 정리되는데, 이 책은 그의 관심사 중에서도 권력이라는 주제에 초점을 두고 있다. 스스로의 고백처럼 그의 사유는 핵심적으로 니체의 영향을 받았으며, 그가 니체에게서 발견한 것은 권력 의지와 권력 관계의 근원성이라고 할 수 있다. 푸코에 따르면, 19세기 최대의 과제는 빈곤의 문제였지만, 20세기에는 권력의 과잉이 빈곤보다 더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권력의 과잉은 담론을 통해서 형성된다. 즉, 담론의 질서는 예속화의 장치로 작동하는 것이며, 그런 의미에서 그것은 일종의 권력 매커니즘이다. 담론의 질서는 내부에 올바른 담론들의 정권, 즉 진실의 체계를 구축한다. 교육 제도는 기본적으로 담론의 장이며, 이러한 맥락에서 감옥은 학교 제도의 기본 원리를 본받은 것이다. 그 원리는 다름아닌 규율의 원리이다. 규율은 인간을 관찰하고 판정하고 시험하여 유순하고 유능한 주체로 만드는 실천의 원리이며 기계적 장치이다. 이러한 푸코의 새로운 권력 개념을, 들뢰즈는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권력은 본질적으로 억압적인 것이 아니다. 권력은 선동하기도 하고 유발하기도 하며 생산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권력은 소유되기 이전에 실천된다. 권력은 계급과 같이 규정 가능한 형태 즉 국가와 같이 규정된 형태로서 비로소 소유되기 때문이다. 권력은 피지배자뿐만 아니라 지배자도 관통한다. 권력은 관계하는 모든 힘을 관통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 보론: 프로테스탄티즘의 분파들과 자본주의 정신 코기토 총서 : 세계 사상의 고전 21
막스 베버 지음, 김덕영 옮김 / 길(도서출판)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검소한 청교도 정신이 어떻게 이익 추구라는 자본주의 정신을 발생시키게 되는가? 청교도에서 노동을 신으로부터 부여받은 사명으로 여기게 되고, 이러한 사고가 직업적 윤리관에서 자본주의 정신과 결과적으로 합치되었기 때문에, 서구에서 근대적인 합리성과 자본주의가 발생할 수 있었다. 정치, 경제, 종교, 예술 등을 넘나들며 서구 근대 자본주의의 기원과 의의를 탐구하는 그의 통찰력은 참신하고 탁월하다. 다만, 그도 자신의 시대 배경 안에서 살아가는 사람이어서, 서구 중심의 시각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를 보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4-12-05 16:4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12-05 16:55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