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과 현대화
황병태 지음 / 우석출판사 / 2001년 2월
평점 :
절판


  중국과 일본 그리고 한국의 유학이 어떠한 차이점을 가지고 전개되었는지를 비교 분석하고, 보편 문화로서의 유학이 현대화의 원동력으로 작용하지 못한 이유를 살펴보며, 나아가 각 나라의 특정한 문화로서의 유학 사상이 현대화라는 외적 도전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반응과 적응력을 갖게 된 원인을 정리하는 책이다. 저자가 미국에서 공부할 때에 작성했던 박사 학위 논문을 한국어로 번역해서 출판한 책인데, 저자가 중국 대사로 재직할 당시에 중국에서도 중국어로 번역하여 출판되었다.


  역사에 따른 유학 사상의 흐름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 그리고 한국이라는 세 지역의 연관성까지도 비교하고 정리하였다. 학문적으로 상당히 방대한 작업임에도, 저자가 포기하지 않고 성실하게 많은 책들을 읽으며 정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아쉬운 점은, 정치학 논문이라는 관점으로 인해서 유학에 대하여 사상적으로 깊이 있는 접근과 이해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이다. 유학의 본질을 이해하고 체득하기보다, 역사의 흐름 속에서 정치적인 시각으로 유학을 분석하고 있다. 유학 사상에 관한 본질적인 이해에 있어서는 다른 좋은 책들이 많지만, 동아시아의 역사적인 맥락과 함께 유학 사상의 일반론을 살펴보고 싶은 사람에게는 이 책을 추천할 만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galmA 2015-02-26 16: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동아시아 유학 비교분석 매우 중요하고 흥미로운 주제접근인데, 정치학으로 끝났다는 건 좀 아쉽네요. 잘 정리되면 굉장한 고전이 될 소재일텐데...
세 나라의 언어적/철학적/역사적 사료 접근 기반이 갖춰진 상태에서 완성도를 볼텐데 어려운 일이긴 하겠죠.

라파엘 2015-02-27 12:22   좋아요 0 | URL
네... 말씀하신대로 정말 방대하고 어려운 작업이어서, 그 정도의 연구라면 개인의 능력으로는 불가능하고 학자들이 연구팀을 구성해서 진행해야 가능할 거예요 ㅋ 그래서 이 책도 학술적으로 정교하고 치밀하기보다는 유학에 대한 일반론으로 기술되고 있을 뿐입니다 ㅎㅎ
 
The Undercover Economist (Paperback)
팀 하포드 지음 / Abacus / 200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문으로서의 경제가 아닌, 교양으로서의 경제와 경제적 사고를 이해하는 것에 도움이 되는 책이다. 비슷하게 쏟아져 나오는 경제 관련 도서들보다 내용이나 구성에 있어서 일반인 비전공자가 읽기에 훨씬 편안하다. 이 책을 읽는다고 해서 경제 용어들을 많이 알고 말하게 되는 것은 아니지만, 시장경제 사회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경제적인 시야로 바라보고 생각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자신이 어떻게 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인지 생각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토신역 부 안설 논어집주 - 懸吐新譯 附 按說 論語集註 해동경사연구소 국역총서 1
성백효 지음 / 한국인문고전연구소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양고전 중에서 가장 유명한 책이어서 많은 사람들이 논어를 번역하여 출판했지만, 전공자들에 의해 평가되기로는 성백효 역본과 박성규 역본 정도만이 비교적 제대로 번역이 이루어졌을 뿐이다. 이 책은 전통문화연구회에서 출판된 성백효 역본의 논어집주에 역자가 안설을 첨가하여, 주자의 해석과 다른 해석들까지도 상세하게 정리해서 설명해주고 있다. 기존의 판본으로부터 번역에도 수정이 있었지만 크게 달라진 정도는 아니며, 다만 안설과 각주를 새롭게 구성한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 논어를 제대로 공부하려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5-02-23 19: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이 책 처음 알았어요. 살면서 읽어야 할 논어가 참 많군요. ^^;;

라파엘 2015-02-24 13:18   좋아요 0 | URL
워낙 유명한 책이라서 번역본이 참 다양하죠 ^^;;
그럼에도 정말 훌륭한 번역본은 나오기 어려워서, 추천되는 책은 사실 그렇게 많지 않아요 ㅋ 정말 제대로 공부를 해보고 싶으시면, 결국에는 몇 가지 역본들을 참고하면서 원문을 직접 읽으셔야 할 거예요 ㅎㅎ
 
GOD - 갓. 하나님 규장 A. W. 토저 마이티 시리즈 9
A. W. 토저 지음, 이용복 옮김 / 규장(규장문화사)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래 전에 성경 말씀을 통해서, 거룩하신 하나님 앞에서 나 자신의 죄인됨을 깨닫게 되었다. 그리고 오직 예수 그리스도만이 나의 거룩함과 의가 되신다는 사실을 믿고 받아들이게 되었다. 그 후로 날마다 말씀을 보고 기도하며 하나님을 삶에서 알아가고 있는데, 참으로 역설적이게도 하나님을 알아갈수록 내가 얼마나 그분을 모르고 있는지를 더욱 깊이 깨닫게 된다.

 

  나를 창조하셨을 뿐만 아니라 나를 구원하신 하나님을 더욱 알고 싶어서 이 책을 읽게 되었는데, 하나님의 속성을 통해서 하나님이 어떤 분이신지를 알아가는 것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신앙생활의 본질은 결국 하나님과의 관계성이며, 나의 삶에서 그분을 경험하고 알아가는 것보다 더 행복한 일은 없다. 나의 하나님을 더 깊이 알고 싶다.

 

지금과 같은 시대에 나는 우리가 명목상의 그리스도인은 아닌지 걱정을 하게 된다. 우리는 자신을 그리스도인이라고 증명할 수 있다. 누구라도 헬라어 사전을 펴서 당신에게 당신이 성도임을 증명할 수 있다. 그러나 나는 이런 종류의 기독교를 걱정한다. 우리의 완악함을 느끼는 데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표현할 수 없고 가까이 하기 어려운 하나님의 거룩함`을 느끼면서 우리의 완악함을 느끼는 것이고, 또 하나는 하나님의 거룩함을 느끼지 못하고 그냥 우리의 완악함을 느끼는 것이다. 후자에 해당되는 사람들은 자신이 진정으로 회개할 만큼 강력한 충격을 받은 적이 있었는지 스스로에게 물어야 할 것이다. 회개하지 않은 사람이 정말 믿음을 가질 수 있을까? - P124

나는 당신에게 초월자 하나님을 증거한다. 그런 다음, 십자가를 증거한다. 그러나 성령 하나님이 당신 안에서 활동하셔서 당신을 부수고 당신의 교만한 껍질을 벗기고 당신의 완고함을 녹이고 당신의 자기의(自己義)의 허구를 깨닫게 하고 당신의 방어벽을 허물고 당신을 무장해제하실 때 비로소 당신은 십자가의 의미와 가치를 깨달을 것이다. - P296

하나님의 전체 성품에서 어느 한 부분을 확대하고 다른 것을 축소하는 것은 언제나 잘못된 일이다. 설교단에 서서 설교하는 하나님의 사람은 그의 능력이 닿는 한 언제나 이런 오류를 바로잡아야 한다. 설교자는 완전하고 영광스러운 하나님의 모든 속성을 사람들에게 균형 있게 증거해야 한다. 만일 하나님의 한 가지 속성을 확대하고 다른 속성을 축소한다면 한쪽으로 치우친 신관(神觀)을 낳게 된다. 그럴 경우 사람들은 하나님에 대해 균형 잃은 개념을 갖는다. - P441

성경은 "그런즉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것이 되었도다"(고후 5:17)라고 선포한다. 하나님은 하나님의 씨를 우리 안에 심어주셨고, 우리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다. 우리는 세례를 받아 하나님의 나라로 들어갔기 때문에 그 나라에 적응했고 심리적으로 길들여졌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찬양하기를 좋아하고, 기도하기를 좋아하고, 경건한 마음으로 하나님에 대해 이야기하기를 좋아하고, 찬송가 소리를 좋아하고, 성경 읽는 소리를 좋아한다. 아침에 일어나 성경을 읽는 것보다도 즐거운 일은 우리에게 없다. 시간을 내어 기도하면서 하나님과 교제하는 것보다 더 즐거운 일은 우리에게 없다. 장차 천국에서 하나님의 존전에서 살 때 우리는 매우 행복할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하나님 앞에서 사는 것에 적응했기 때문이다. 이미 하나님은 천국을 우리에게 어울리는 처소로 만드셨다. - P48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부하는 인간
KBS 공부하는 인간 제작팀 지음 / 예담 / 2013년 2월
평점 :
품절


  리처드 니스벳의 <생각의 지도>나 <EBS 다큐멘터리 동과 서>를 읽은 사람이라면, 그 독서 흐름에 이어서 이 책도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앞의 책들에서 다루어진 연구들에 이어서, 각 지역의 문화가 그 안에서 생활하는 사람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보여준다. 다만 앞의 책들은 인식의 문제에 그 초점을 두었다면, 이 책은 공부의 문제에 초점을 두고 내용을 전개한다. 교육 현실에 대한 관심과 자신의 견해를 가지고 싶은 사람에게 추천할만한 교양서이며, 교육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람이라면 한번쯤 읽어볼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