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운 배 - 제21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
이혁진 지음 / 한겨레출판 / 201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20181026 이혁진
아마도 장강명이 어디선가 추천해서 알게된 소설이다. 잡지사 기사 출신 사원이 조선소의 (흥)망(성)쇄(흥과 성은 없고 망하는 과정만 있다)를 지켜보는 식으로 서술되어 있다.
갑자기 지어 놓은 배가 눕고 사고난 배의 보험처리를 위해 분투하는 과정이 1부 내용이다. 화자인 문기사의 상사인 팀장은 보험 보상을 위해 열심히 뛰지만 공은 엄한 놈들이 채가고 승진도 밀리다 퇴사한다. 여기서 문은 힘있는 자 맘대로 좌우되고 능력만큼 평가되지 못하는 현실을 체감한다.
2부에는 새로 부임한 황사장이 회사를 혁신하기 위해 에너지를 분출하지만 결국 철벽같은 현실 앞에 지쳐가는 모습을 그린다. 생산라인 정비하고 실제로 생산도 늘려 가시적인 변화가 있었지만 소위 정치하는 회장파 임원들의 조소와 반발과 음해로 황사장의 노력은 빛을 보지 못한다. 배를 일으키기 위해 구조 작업하는 부분이 소설 중 압권인데 뭔가 사고가 나지 않을까 세우는데 실패하지 않을까 조마조마하게 긴장 타게 잘 써놨다. 누운 배를 세운 뒤 드러나는 실체. 황사장의 퇴사. 그리고 화자 역시 다른 삶을 찾게 된다. 뒷부분의 자아성찰 내지 자아각성 바담 풍 거리고 장황하게 생각 푸는 부분은 조금 별로였다.
이윤 추구하는 회사 생활은 안 해 봤지만 손에 잡힐 듯 인물 간 이해 관계 역학관계 구조적 문제 비리 협잡 타협 굴종 기업의 병폐와 망하는 집단의 망할만한 사정을 잘 그렸다 싶었다. 중국의 중소조선소라는 배경도 나름 특이했다. 아마도 회사원에서 글쓰는 사람이 된 작가의 이력과 다음 글도 궁금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쇼코의 미소
최은영 지음 / 문학동네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81018 최은영

엄청 잘 팔리고 두고두고 좋다는 사람들이 많아 읽어 보았다. 착하게 썼다. 엄마와 외할머니와 외할아버지와 소녀들과 이십 대 우울한 여자애들이 두고두고 나온다. 
만나고 멀어지고 후회하고 화해하고 자신과 화해하고의 반복이다. 
감정선을 잘 타고 섬세하고 그런가 본데 좀체 울리지 않는 쇳덩이가 된 나의 취향에는 맞지 않는다. 
내가 이상한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꽃을 보면 멈추자 경기문학 24
장성욱 지음 / 테오리아 / 2018년 10월
평점 :
절판


가벼움, 간결함, 발랄함의 삼박자. 재미있다. 그리고 야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꽃을 보면 멈추자 경기문학 24
장성욱 지음 / 테오리아 / 2018년 10월
평점 :
절판


-20181013 장성욱
소설책하면 두툼하게 한 작가나 여러 작가 작품들을 모아둔 것만 봐 왔는데 단편 한 둘만 담은 책들이 눈에 띈다. 최은영 정세랑 책이 나온 테이크아웃 시리즈(음 커피 한 잔 값으로 소설 한 잔-컨셉인듯), 김봉곤 조남주가 봄여름호로 등장한 문지문학상의 계절 소설 프로젝트 소설보다, 한영대역이라 좀 다른 컨셉이지만 장강명 구병모 김애란 소설이 궁금했던 K픽션 등등. 간편함 가벼움 경제적 등등을 내세우는 출판사들 나름의 자구책이자 새 시도 같은데 효과는 지켜봐야할 듯.

여튼 내가 고른 첫 간편 소설은 역시 한 두편의 소설을 담은 경기문학 시리즈의 가장 최신작 ‘꽃을 보면 멈추자’. 종이책은 처음 보는 장성욱이라는 작가였다. 이전 독서의 무겁고 엉킨 느낌 좀 털기 바라는 마음의 독서였는데. 제법 성공한 선택이었다.
가뿐한 책의 판형과 소설의 장점이 나름 일치해서 시너지가 있달까, 재미있게 금세 읽혀 좋았다.

꽃을 보면 멈추자
제목이 마음에 들었는데 양지 바른 곳에 핀 꽃을 보며 미소짓는 훈훈함을 기대한 사람에겐 시무룩할수도. 약간의 조소와 냉소가 섞였지만 뭐 소설 보다 보면 진짜 웃게 되는 지점도 있다. 게다가 진짜 꽃을 보려 멈춘게 아니라 꽃을 보는 나를 보기 위해 멈춘 사람들, 사진을 올리는게 아니라 사진찍는 나를 SNS에 올리는 사람들을 생각하면 이만큼 적절한 다른 제목도 없을 듯하다.
그 ‘나’를 찾아 떠난 여행에서 정말로 또 다른 나를 찾아 온 애인과의 에피소드, 치유 받기 위해 상처받자는 개소리의 등장, 주목 받기 위한 SNS와 무조건적 추종자들, oo녀로 반짝 떠오르는 사람들… 이 모든게 말도 안 되고 우습다고 여기던 주인공조차 마지막에는 동요되는 모습을 보인다. 때맞춰 구여친과 대기업과 맞아맞아족에게 떠밀리듯 강제로 힐링열풍에 동원되려는 순간 소설이 끝난다.
힐링, 00녀, 블로그는 열풍이라 하기엔 살짝 식어 주춤한 장치들이지만 또 다시 욜로, 여혐이 안 될 또 다른 신조어들, 트윗과 인스타로 대체해도 손색이 없다. 작가는 나름 우리가 거쳐온 한 시점을 적절히 포착했고 그 시점을 보는 시선도 뭐 한 동안은 유효할 것 같다.

가볍고, 간결하고, 발랄한 그래서 잘 읽히고 재미있는게 장점인 소설이었다. 엄청 두꺼운 겨울 코트만 입다가 깃털 같은 경량 재킷을 보고 ‘이거 허술하니 춥지 않을까’했는데 그 가벼움과 간결함의 여백 사이에는 큰 함기량이 있었다. (파르테니데스가 가벼움을 긍정적인 것으로 두었다는 것이 내내 이해가 안 됐었는데 이제야 수긍이 되기 시작.)

모든 등장인물이 익명인 것도 나름 특징. 나와 애인(파울홈런녀?),그것,친구 옥장판,맞아맞아 등등.

야구는 좋아하지만 야구장은 낯선 주인공, 파울 홈런 보고 좋아하는 여자(그게 나야...야알못), 야구는 니 어깨와 어깨 사이에 있는 걸로 하는 거야(맞나 다시 뒤져보고 수정 ㅋ)하는 야구 선수의 띵?언이 등장하는 걸 보면 엘지 팬이었던 듯 한 작가도 야구를 좋아하는 듯. (아니면 야구인 타겟팅 마케팅?) 아 다음 소설에도 야구선수 나온다.

이사
오티를 마치고 대학 입학을 앞 둔 시기 자취방 이삿날, 자취방에서 라는 짧고 좁은 시공간 안에 경서(부잣집아들),도길(아마도 대다수일 없는 집 아들),민혁(운동부-고교야구부 출신)이 부대끼는 순간의 이야기이다. 웹툰 타인은 지옥이다의 설정과 인물들이 괴기하고 만화적이면서도 저럴 때 있지, 한다면, 이 소설 속 세 명은 그 좁고 짧은 동안 철저히 타인임을 느끼고 소소한 지옥을 마주하면서 읽는 사람들도 언젠가 느꼈을 그런 상황들과 기분들을 잘 보여준다 싶었다.
하필이면 새 시작 앞둔 이제 막 스무 살짜리들 가지고 가혹하다 싶지만 뭐라도 있겠지, 뭐라도 되겠지, 쟤는 좋겠다 또는 왜 저래 하는 끝에 올 것들을 이미 거치고 알고 있는 (나같은 흑흑 노티 풀풀)사람들 눈에는 더욱더 측은하고 답답하고 또 아 왜 저러고 살았지 부끄럽고 등등 복잡한 마음이 들게 하는 것 같다. (의도한 건지 그냥 던진건지는 모르겠음)

편하게 재미있게 잘 읽었다. 힐링된다. 하하 힐링 까는 소설로 힐링되는 역설

작가의 다른 소설들도 기대된다. 잘 읽히는 글이 나는 참 좋더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뱀과 물 배수아 컬렉션
배수아 지음 / 문학동네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81012 배수아
줄거리를 쓸 수 없는 소설의 독후감을 쓰려니. 흠. 
배수아 소설은 처음 읽었는데 참 귀신같은 걸 잘도 쓰는구나 싶었다. 일상 생활 가능할까. 
소설집이라 해서 단편소설들 모음인가 했는데 연작소설 마냥 각 소설 간의 접점이 있고 또 이 소설집에 실리지 않은 다른 소설들과도 교차점이 있다고 한다. 
꿈이나 어떤 세계가 입체 도형(구체 일 수도 있고 제 멋대로 울퉁불퉁하거나 자르기 전식빵 모양일수도)이라 하면 그 도형을 칼로 여기저기 잘라 조각낸 것을 읽는 기분이었다. 그래서 단면을 공유한 부분은 다른 소설끼리도 겹치고, 입체 안에 한 덩어리였다 잘라진 물체(아니면 마블무늬 식빵 안의 잼이나 시럽 같은거)가 매번 조금 다르면서도 비슷하게 반복해서 등장하고, 한 소설 안에서도 같은 문장이나 문단을 연이어서, 혹은 수미상관처럼, 혹은 아무데나 반복하고 그런 식으로 표현되어 있었다. 
카프카의 꿈을 번역했다고 한다. 소설 중 하나는 그 번역 후기 대신 남긴 것이라 한다. 
꿈 같고 귀신 같고 몽상 망상 같고 특히나 반복되고 깨어나면 또 깨어나야 하는 꿈 속의 꿈 악몽 속의 악몽 이야기 속의 이야기 겹쳐진 액자 그런데 평면이 아니라 입체 상태로 이리저리 끼워지고 뭉쳐진 차라리 털실 뭉치 얽힌 듯한. 
요는 나한테는 어려웠다. 해설도 어렵고 길었다. 느낌 만으로 꿈 꾸듯이 읽는 소설이라. 데이빗 린치 영화 졸라 긴 거 참고 보는 느낌이었다. 어떤 날은 이 책 읽고 잤더니 악몽 꿨다. 세상의 균형을 위해 다음 책은 쉬운 걸로 봐야겠다. 여러 권. 배수아의 다른 책은 또 볼 지 말지 일단은 유보. 당장은 안 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