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베트에서의 7년 2
하인리히 하러 지음, 박계수 옮김 / 황금가지 / 1997년 11월
평점 :
절판


 험한 자연의 벽을 뚫고 온 머나먼 나라 독일의 이방인과 관세음 보살의 화신이자 티베트의 최고 통치자인 달라이 라마와의 인간적인 유대는 점점 긴밀해졌다. 이 만남, 이 인연을 위해서 그동안 생사를 넘나드는 고난과 단지 이방인이라는 이유로 다시 그 고난의 소굴로 쫓겨날 뻔했던 아슬아슬한 순간도 있었던가 보다. 이렇듯 어렵사리 만난 달라이 라마에게서는 문명에서 고립된 소국가의 짧은 안목이나 오직 종교만을 우선하는 신정국가의 독선도 찾을 수 없었다. 오히려 그 좁은 세상에서도 머지 않아 무력한 티베트에 닥칠 위기까지도 내다보는 혜안이 있었다. 이것은 지은이에게도 작지 않은 행운이었다. 신정국가인 티베트의 최고 지도자인 달라이 라마가 외지에서 온 그의 말을 편견 없이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의지할 곳 없는 지은이에게는 백만원군에 다름없으니 말이다.

 하지만 티베트에서 자주 열리는 종교 행사의 감상을 '미개한 동양인들의 유치한 의식' 따위의 서구 우월적인 심정으로 표현한 것은 그 역시 당시 서구인들의 편견의 한 예를 보여준 것에 다름 아니었다. 그렇더라도 이런 종교의 맹신과 현실적인 문제에서의 도피가 오늘날 티베트를 몰락시켰다는 사실 또한 간과할 수는 없는 일이다. 이런 티베트를 바라보던 지은이에게 달라이 라마는 당시로써 최첨단 시설은 영화관의 건립을 요청했고 지은이는 이 오지에서 그 요청을 이뤄냈다. 수많은 영화의 상영과 함께 달라이 라마와 지은이 사이에서는 폭넓은 내용의 수업까지도 행해졌다. 어쩌면 달라이 라마가 진심으로 바랐던 것은 영화관이 아니라 낯설지만 그가 모르는 많은 것을 알고 있는 이 이방인 선생에게 배울 수 있는 '교실'이 아니었을까?
 
 따로 말이 없어도 이 순간들이 지은이의 생활 중 가장 행복한, 다시 찾기 힘든 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허나 이런 순간은 어김없이 짧았다. 중공군이 침략한 것이다. 결국 달라이 라마와 그 일행은 피난길에 오르고 그런 상황에서도 길가에서 오직 달라이 라마의 축복만을 구하는 이들에게서 이들의 신심이 티베트의 흥(興)과 망(亡), 모두를 빚어냈다는 씁쓸함을 맛볼 수밖에 없었다. 오직 인간의 마음으로 유지되던 지구상 마지막 국가의 멸망이었기에 그 씁쓸함은 머지않아 아쉬움으로 변했다. (1997. 11. 14∼16, 1997. 11. 16 기록)

p. s 이 책의 저자인 하인리히 하러는 티베트를 떠난 이후에 독일에 돌아가서는 히틀러의 추종자가 되었다고 한다. 자세한 삶의 내력에 대해서는 들어보지 못했지만, 역시나 이 책을 읽었던 그 어린 시절에는 알 수 없었던 씁쓸한 뒷이야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