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베트에서의 7년 1
하인리히 하러 지음, 박계수 옮김 / 황금가지 / 1997년 11월
평점 :
절판


 자연으로부터 부여받은 아름다움을 뽐내는 듯한 에베레스트를 표지로 삼은 이 책은, 머지않아 내 곁에도 백설로 덮인 그 모습부터 내 눈을 사로잡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때문에 보려고 마음먹은 책이 아니었는데도 손이 저절로 끌리는 것을 어쩔 수 없었다. 하지만 내 눈길을 순식간에 사로잡은 그 마력이 괜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읽기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아서 인정해야만 했다. 그 목적지가 다름 아닌 달라이 라마의 땅, 티베트였기에……

 지은이는 오직 자유로의 동경만을 무기 삼아 어처구니없이 들어갔던 인도의 포로 수용소에서 탈출하였다. 전쟁이라는 어쩔 수 없는 상황에 떠밀려서 오직 적국인 독일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영국의 포로 수용소에서 고초를 당한 지은이나 이런저런 갈등의 사이에서 괜시리 뒤숭숭한 나에게는 조용한 평화와 아름다운 자연까지 선사하는 티베트는 '꿈의 나라'였다. 물론 그 꿈의 나라로의 여정은 당연히 쉽지 않았다. 인도와 티베트 사이에 가로놓인 신들의 성지, 히말라야는 아무 이방인에게나 그 끝을 보여줄 정도로 호락호락한 상대가 아니었던 것이다. 멀리서 보기에는 다만 맑고 성스러운 성녀같은 이 산, 히말라야에 이렇듯 악녀같은 표독스러움이 숨어있으리라고는 나 역시 생각하지 못했다. 그래도 이 험한 자연의 냉혹함이야말로 평화의 땅 티베트가 가지고 있는 유일한 방어 수단임을 생각하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그동안 이 깊은 산 속에 감춰진 이 땅까지도 노리던 수많은 이방인들 속에서, 티베트가 평화의 본성을 잃지 않게 해준 든든한 방벽인 셈이다.

 그런 티베트의 심장부인 라사에 도착한 지은이 일행은 그동안 겪은 고행의 대가인지 무척 윤택한 생활을 했다. 이런 생활 속에서도 그들은 탐험가의 삶이 몸에 익었는지 낯선 땅 티베트의 많은 것을 알려고 노력했다. 그런 중에 만나게 된 티베트의 최고 지도자인 달라이 라마, 그리고 그 가족들과도 각별한 사이가 되었다. 젊은 달라이 라마의 영도 아래 외세의 침략 없이 견뎌온 티베트였지만, 그들에게 닥칠 위기는 나날이 굳건해지는 국민들의 신앙심과 비례했다. 나날이 종교에 기우는 티베트인들이 머잖아 다가올 위기까지도 종교에 의탁했기 때문이다. 평화에 대한 갈망, 그러나 무력한 종교에 대한 맹신, 이것이 티베트의 슬픔이었다. (1997. 11. 10∼14, 1997. 11. 14 기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