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인 이야기 6 - 팍스 로마나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6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199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카이사르는 아쉬움 속에서 눈을 감고, 아우구스투스의 팍스 로마나의 시대가 왔다. 이 시대의 '개창자(開創者)'인 카이사르는 그 시대의 초반을 자신이 이끌려 했으나 팍스(평화)의 시대는 그를 거부했다. 이미 그의 손에는 너무 많은 피가 묻었기 때문일까? 그러나 아쉬움은 남지 않았으리라. 새로운 시대의 지도자인 아우구스투스는 그가 선택을 받은 이였으니 말이다. 아우구스투스는 카이사르가 그 자신과 다른 이들의 피로써 이뤄 놓은 기반 위에 그의 건물을 지었다. 비록 카이사르의 후계자라고는 하나, 평화의 시대의 인물인 아우구스투스는 분명 카이사르와는 다른 지도자로써의 인식을 갖고 있었다. 그 극명한 예가 바로 그가 입안한 '윤리 대책'이었다. 모든 부유함이 로마로 모이는 평화의 시대의 유일한 그림자라고 할 수 있는 '도덕 의식의 결여'를 방지하려는 목적으로 선포된 이 대책으로 인하여 아우구스투스는 자신의 딸과 손녀까지도 먼 섬으로 귀양보내고야 만다. 또한 정식 부인이 있으면서도 수많은 여인들과 사귀면서 사생활을 맘껏 즐긴 카이사르와의 차별성은 이로써 분명해졌다.

 국민들에게도 새 시대의 국민으로써 새로운 지도자의 리더십에 따라야 한다는 인식을 명확시 공표한 것으로도 볼 수 있었다. 이제 더 이상 지도자에게 있어서 군사적 재능으로 대표되는 외치(外治)의 능력은 중요한 덕목이 아니라는 사실을 절감했다. 이제 로마는 유럽에서 아프리카까지 당시 알려져 있던 세계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로써 외치의 임무는 사실상 완수된 셈이었다. 그 넓은 영토를 자신의 것으로써 유지하고 다스리는 것은 이제부터 대제국 로마의 지도자에게 요구되는 내치(內治)의 능력인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런 시대의 도래룰 예상했기에, 카이사르는 자신과 많은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 아우구스투스를 후계자로 지명하고, 그의 변변치 못한 군사적 재능을 보강시키기 위해 아그리파를 곁에 붙여준 것이 아닐까? 아직 안토니우스 등 쟁쟁한 경쟁자가 있던 당시로써는 아그리파가 꼭 필요했다. 이 정도로 카이사르와 아우구스투스, 2대에 걸친 팍스 로마나의 집념은 실로 집요했다.

 그러나 모든 정적들이 제거되고 아우구스투스의 후계자로까지 거명되던 아그리파가 병약한 아우구스투스보다도 먼저 세상을 등지게 된다. 이렇듯 수많은 희생으로 이룩된 평화의 제단이었다. 그 제단으로 토가 자락을 이끌며 올랐을 아우구스투스는 자신이 그 마지막 희생자가 될 것임을 알고 있었으리라. 하지만 그 평화의 끝은 결국 사회의 보수화(保守化)일 수밖에 없다. 사회 전반의 지나친 경직, 이것이 바로 평화의 함정이다. 이런 시대인 만큼 자유분방한 카이사르와는 어울리지 않았지만, 그가 자신의 피로써 만든 시대였으니 참으로 아이러니였다. 그래도 아우구스투스의 77년은 카이사르의 그 희생을 헛되이 하지 않았다. 그 77년 동안 로마는 그의 마지막 손가락이 가르킨 방향, 제정으로 향하고 있었다. 아무도 모르는 가운데 아우구스투스만은 보고 싶지 않은 현실까지 냉철하게 응시하는 가운데 로마의 미래는 변하고 있었다.(1997. 10. 21∼26 1997. 10. 26 기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