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식
히라노 게이치로 지음, 양윤옥 옮김 / 문학동네 / 1999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아는 중세(中世)는 이미 어두움이었다. 이 책의 저자도 그런 내 생각과 같았는지 바로 그 시대를 다룬 그의 첫 소설의 제목을 바로 일식으로 정했다. 찬란한 빛의 순간에 갑자기 덮치는 어둠, 일식. 수백년 동안 유럽 대륙의 평화를 지켜주던 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 신의 이름으로 찾아온 천여년 간의 어둠. 그 어둠 속에서 어느 누가 헤메고 있었을까? 작은 프랑스 산골에도 한 수도사, 니콜라가 있었다. 그는 그 어둠 속에서 보고 말았다. 일식의 그 찬연(燦然)한 어둠 속에서 태어난 남과 여의 일체, 영과 육의 하나됨, 신과 인간의 일치의 상징, 안드로규노스를...... 그 순간, 신의 신실(信實)한 아들인 그 역시 결국은 피에르가 창조한 그 신의 화신에게 경배하고 말았다. 그것은 단지 그 한순간의 실수였을 수도 있고, 아니면 그 후 그의 일생 전체를 관통하는 또다른 믿음으로 남았을는지도 모른다.
 
 바로 그 안드로규노스의 창조자인 피에르 뒤페, 자신이 신봉하는 믿음의 결정체로써 시대가 부정하는 또다른 신을 스스로 빚어낸 그야말로, 어쩌면 그 시대에 신의 손에서 벗어난 유일한 인간이었을 것이다. 끊임없이 자신을 지탱해 줄 절대자의 존재를 필요로 했던 니콜라는 그런 그의 피조물인 안드로규노스에게 자신의 뒤섞인 혼을 내던진 채 교접하고 말았다. 아무도 알지 못하는 그의 마음 속을 오직 니콜라만이 유일신의 품에 안긴 채로 읽어내고 있었다. 오직 황금에의 열망으로 안드로규노스의 손을 잡고 끝을 알 수 없는 불 속으로 스스로 뛰어든 피에르. 그에 비하면 그런 그를 바라보는 니콜라는 신과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손을 갓난 아기처럼 굳게 잡고 비로소 그 이교(異敎)의 어둠에 뭣 모르고 걸어 들어가는 위태위태한 모습이었다. 게다가 질기다고 밖에 할 수 없는 자신만의 신학적 가치에 대한 고집스러움과 피에르에게서 받아왔던 철학적인 호의마저도 깡그리 잊은 듯이 그의 이단 재판을 앞두고 서슴없이 떠나는 의외의 냉정함에서 그는 역시 신의 어린양이었다. 그 자신에게 피에르의 변호에 나서야 할 다소의 이유와 책임이 있었음에도 말이다. 배울 점은 너무 많은 이였지만 역시 그는 마녀와 떼기 힘든 사이였다는 달콤한 자기 변호를 빼놓지 않은 것은 오히려 니콜라 자신이 그만큼 피에르에 대한 책임을 느끼고 있다는 반증에 다름 아니었다.
 
 확실히 그는 나에게까지 진심을 숨기고 있었다. 안드로규노스의 구석구석을 섬세한 손길로 애무하던 피에르의 모습을 마녀와의 의식(儀式)으로 몰고 가던 그의 깊은 심연 속에 감춰진 것은 다름 아닌 안드로규노스라는 자신만의 신을 창조해버린 피에르에 대한 질투였다. 니콜라는 인정할 수 없었을 게다. 누가 뭐래도 그에게는 하나의 신이었던 안드로규노스가 한낱 인간의 손에서 태어났다는 사실을. 그리고 오직 그만이 그 신을 경배할 수 있다는 사실을. 그 존재는 오직 자기 자신의 것이어야만 했을 게다. 아무도 알아서는 안되었다. 이것은 신에의 죄악이었다. 그렇게 침묵 속에 외쳐대는 질투의 끝에 숨겨진 것은 바로 만인의 유일신(唯一神)이 아니라 니콜라, 그 자신만의 신으로 은밀한 곳에 봉헌된 안드로규노스였다. 그 질투를 참아내고 마냥 우습게만 보였던 기욤이 피에르를 고변할 때까지 기다린 니콜라의 인내심은 굳이 감출 필요도 없었고 말이다. 감추고 싶었던 그의 모든 것은 빛으로써 가려졌다. 태양은 그 모든 추악함을 일식의 어둠으로써 축복하고 신비로움으로 채워주었다. 이면(裏面)에 숨어야만 했던 그 모든 신의 이름으로.
 
 지식도 그 무엇도 아닌 티끌만한 나의 그 무엇으로 풀어낸 일식, 저 뒤의 태양의 광채에 아로새겨진 이 암호를 난 스스로도 비웃을 수 밖에 없다. 사전 한권쯤은 옆에 두고 정성스레 찾아가며 읽었어야 할 책이었지만 이 책과 날 끝없는 거리감에 내던지는 것 같아서 싫었다. 사실 원본은 읽지 않아서 알 수 없으나 참으로 어정쩡한 상태의 글이었던 것도 사실이다. 중요한 어구에는 역주가 있었지만 간간이 나오는 형용사를 놓치기는 아쉽고 찾기는 귀찮았다. 역자의 후기에도 있듯이 이 책이 우리나라에서는 한글의 위대함 덕에 초라하기만 한, 장중한 의고문(擬古文)이 아닌 단순히 현학적인 천박함을 군데군데 드러낸 채로 남은 것은 아쉽기 짝이 없는 일이다. 책 속으로 깊숙이 들어서면 결국에는 불분명한 역할로 묻혀버린 인물들이 혼란스러웠을뿐더러 영(靈) 육(肉)의 일치와 분열의 초석이 다져지는 시대의 중심을 당대 철학의 중심지였던 이탈리아의 니콜라가 아닌 프랑스의 벽촌에서 광신자와 배교자 사이에서만 헤메는 니콜라로 삼은 것도 그 뜻을 좁힌 것만 같아서 서운했다. 사실 이런 데뷔작은 꿈에서도 쓸 수 없는 나이지만 나 역시 그가 드리운 일식의 신비롭기 그지없는 검은 장막을 사랑했기에 하는 말이다. (2000. 4. 6.~10, 2000. 4. 10 기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