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마블 위픽
이종산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위픽 시리즈의 판형은 물론 분량과 좌측 정렬의 본문 디자인 같은 모든 요소들이 이미 흥미로웠다. 예측하기가 어려웠다고 말해야 할까.

 

 책의 외형요소들부터 전형적이지 않았고, 내용도 그러했다. 여성들 간의 사랑 이야기라는 아주 기본적인 얼개만 파악했고, 이 작가가 능히 다룰 주제라고 생각하며 들였던 기억이 난다. 장소는 전주 남부시장 청년몰의 책방토닥토닥이었다.


얼마나 깊게 빠지든 모든 사랑은 지나간다. 지나고 나면 아무것도 아니다. 푸른은 그렇게 생각했다. 오랫동안 그렇게 생각해왔다. -9쪽

“그래, 그럼 평생 이렇게 갇혀 있든가. 나도 시계에 갇혀 있나 이 방에 갇혀 있나 그게 그거야.시계보단 여기가 낫지. 너랑 나랑 평생 여기서 둘이 살자.어차피 금방 굶어 죽을 거라 같이 오순도순할 시간이 그리 길진 않겠지만.” -27쪽

 

 씨네21의 누군가는 별 넷 이상을 줄 법한 단편영화처럼, 어차피 길지 않아서 여백이나 비약을 굳이 아끼지 않는 밋밋한 전개일까 싶었다. 대화보다 독백이나 관찰이 더 많은 전개라거나. 처음 몇 페이지 정도는. 지레짐작이 틀려먹었다는 생각까지는 긴 시간이 걸리지 않았고, 역시 표리일체라고 안도했다. 은유와 여백으로 시처럼 전개되는 거의 모든 영상 작품을 좋아하지 않는다. 이 작품이 다행히 그렇지 않았던 덕에, 이 설정으로 이 분량에서 이 서사라면 대체 어떻게 전개될지 궁금해져 버렸다.


“자전거를 타고 전 세계를 도는 거예요. 말도 자전거 모양으로 하고, 도시마다 있는 자전거 타기 좋은 길도 소개하고요. 방금 떠오른 거라 아직 구체적인 건 더 생각해 봐야겠지만, 재밌을 것 같지 않아요?”

푸른의 이야기를 듣고 구슬도 표정이 밝아졌다.

“좋은데요? 자전거를 타고 돌아다니면서 별장이나 호텔을 짓는 대신 공공건축물을 지어도 좋겠어요. 미술관이나 도서관 같은 거요. 복지 센터도 좋고요. 도시에 건축물을 지으면 거기에 게임 참여자의 이름이 붙는 거죠.” -55쪽

 

 잡지 ‘캐치’의 기자와 디자이너인 두 사람, 푸른과 구슬의 사랑 이야기는 그 자체로 블루마블이자 부루마불이다. 두 사람만 잡지의 창간 기념 이벤트로 보드게임을 개발하는 과정, 그렇게 엮인 상황에서 구슬에게 전부터 호감이 있던 푸른의 사랑을 떠미는 뜻밖의 보드게임, 이 두 보드게임의 결과로 전개되는 푸른과 구슬의 관계까지, 이 세 개의 축이 모여서 하나의 거대한 보드게임을 이룬다. 완결성 있는 소품, 소품이라는 점을 의식하지 않고 소품으로서 완성되는, 그래서 가장 소품다운 소품이란 이런 작품일 것이다.


“어쩌면 신들이 장난을 친 걸지도 모르겠네요.

신들의 장난. 푸른은 구슬의 말뜻을 금세 알아들었다. 푸른이 구슬에게 고백한 직후에 일부러 ‘고백하기가 나오도록 장난을 친 거라면? 그럴 수도 있었다. 충분히 그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 거지 같은 보드게임을 만든 자들이라면. -123~124쪽

 

 세 개의 축이 서로를 의식하지 않은 채, 마치 하나의 보드게임 속 각자의 플레이어처럼 각자 움직이는 까닭에 결국 이 플레이어들이 만났을 때 비로소 부루마불은 부루마불다워진다. 하나의 칸에 둘이 놓일 때 비로소 불화가 발생하고 갈등이 형성되며 긴장이 고조된다. 구슬이 푸른의 뜻밖의 보드게임을 알아챘을 때부터 마냥 감미롭던 이야기가 곤두박질쳤다. 말이 잡거나 잡히거나, 돈을 받거나 잃거나. 인간의 보드게임이다.


 하지만 신들은 각자 푸른과 구슬을 말로 자신들의 보드게임을 했을지 모른다. 이 이야기를 읽듯이 신들도 그들의 게임을 단지 즐겼을 것이다. 결국 이것은 철저히 승패와 무관한 보드게임이기 때문이다. 신이라면 주사위조차 의미가 없어서 그렇다. 어떤 우연도, 의외도 없다. 단지 필연과 의도만 있다. 신이라면 바로 이렇게, 가장 즐겁게 주사위 놀이를 할 것이다. 언제든 무엇이든 원하는 숫자가 나올 테니까. 누구도 패배하지 않은 블루마블의 보드게임이야말로 신들의 장난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