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메이징 그래비티 - 만화로 읽는 중력의 원리와 역사 어메이징 코믹스
조진호 글 그림 / 궁리 / 2012년 11월
평점 :
절판


세상은 터무니 없음으로 인해 발전,진보하고 있는가?아니면 항상 의구심을 가진 이들에 의해 세상의 원칙은 깨지고 한 걸음 진보했다.다르게 생각하는 사람들이자 천재들이 세상을 한 걸음씩혹은 비약적인 진보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쟁점을 파하다 - 새로운 대한민국을 위한 미래 구상
법륜 지음 / 한겨레출판 / 2012년 11월
평점 :
품절


 우리 사회의 쟁점은 무엇인가? 쟁점의 화두는 누가 만들어내는가? 법륜의 쟁점을 파하다를 보면 정답지를 보는 것 같다. 그런데, 그런데 드는생각. 이 중에 쟁점 자체를 쟁점으로 인식하지 않는 사람들이 대한민국에 많은 것은 아닐까? 혹은 쟁점으로 보고 싶지 않은 사람이 많은 것은 아닐까?  어떤 사람들한테 이건 쟁점이 아닌 것이다. 그저 지금의 구도를 유지하는 수단중에 고민하는 시늉을 보여줘야 하는 대목일뿐.

 시민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쟁점을 자꾸 시민들에게 노출시키는 것은 쟁점을 만들기 싫어하는 이들에게는 권력을 분점하자는 것으로 들릴 것이다. 그들에게는 그런 마음이 전혀 없다. 이번 선거에서도 여실히 드러났다.자신들의 이익과 자본의 침해가 될 위험을 느낀 이들은 완전 똘똘 뭉쳤다.정권을, 권력을 누가 잡든 자신의 이익 구도에는 별 의미가 없는 일반 시민들은 변화에 대한 두려움이 더 클 것이다.

 특히나 이제 은퇴시점이 된 베이붐세대들은 변화가 더욱 두려웠을 것이다. 그 변화는 자신들의 자리에 대한 도전으로 보일 것이니까?

어쨋든 이후의 쟁점은 세대간의 전쟁이 될 것이다. 그들은 이것또한 선점하고 있는지 모른다. 정확히 표를 얻는 방법을 알고 있다. 그래서 촛불세대에 더 무서움을 느껴서 역사교과서에 목숨걸고 식민시대와 군사 독재를 미화해야 하려드는 것이고,언론은 더더욱 장악하고 싶어한다.역사나 사회의 현상에 대한 관심이 지금보다 더 높아지면 안되기에.

 쟁점을 논하거나 파하려는 시도자체가 불가능한 체제가 대한민국 체제이다.그래도 역사는 사회는 진보한다고 , 진실을 영원하다고 믿고 싶은것인 순수한 범인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조와 철인정치의 시대 1 - 정조 시대를 읽는 18가지 시선
이덕일 지음 / 고즈윈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조와 철인정치의 시대를 읽으면서 자꾸 노무현 대통령과 겹치는 장면을 생각한다. 나만의 생각일까? 우리나라 정치에서는 왕이 대통령이 얼마나 뛰어나고, 9단 ,10단의 정치 감각이 있어야만 현실정치에서 제대로 된 정책을 펼칠 수 있는 것인가?

 조선 후기의 사대부들이 권력을 장악하고 있던 때와 지금이 별반 다르지 않은 생각이 들고,일부만이 정치 개혁을 위한 고군분투할 뿐, 기성 기득 정치세력은 사실 개혁이나 혁신에 관심이 없다. 이미 자신들의 확보된 입지를 공고히 하는데 관심 있을 뿐이다.

 정조와 같이 현인이자 강철같인 정신력과 체력을 가진 철인이어야지 우리나라에서는 개혁군주가 될 수 있는 현실이 아직도 그대로 이라는 것이 안타깝다.오히려 지금이 대의 민주주의라는 허울로 민심을 더 두려워하지 않는 것 같기도 하고, 언로도 오히려 그때보다 더 막혀 있는 수준이다. 민주주의라는 제도만 있을 뿐 현실의 의식은 아직도 왕조시대의 그것과 비슷한 것인가?

  민심을 두려워하지 않는 세력의 집권 10년이 과연 대한민국을 어떻게 이끌 것인가. 그들은 제일먼저 언론과 교육을 장악했고, 역사를 재평가하거나 역사의 기술을 바꿔왔다. 제대로 된 역사 세우기를 위해 몇 십년간 투쟁한 지난 10년 민주정권의 결과들을 한꺼번에 뒤집어 엎고 있다.

 역사는 바로 설 수 있을까? 자꾸 의문이 드는 생각들? 과연 진실은 존재하는 것인가? 진실은 있는데 현실정치는 진실만으로 시대를 이끌어가지 못하는 것인가? 언론이나 역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과연 세상의 진보는 무엇인가?

 자꾸 물음만 늘어가는 대한민국 2013년을 살고 있는 한 사람. 그저 난 역사의 진정한 주체인 民이 아닌 그저 사회를 구성하는 구성품인가? 누가 과연 역사를 만들어가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눈사람 아저씨 마루벌의 좋은 그림책 14
레이먼드 브릭스 그림 / 마루벌 / 199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나이 불혹을 지난 내가 아직도 동심이 있음을 확인한다. 아들이랑 보고 또 봤다.아들보다 내가 더 좋아하네.그림만 있는 만화동화를 이렇게 좋아하게 되다니.너무 멋진 책이다.무한 상상을 할 수 있게하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은밀한 갤러리 - 현대미술을 움직이는 작가와 경매, 갤러리의 르포르타주
도널드 톰슨 지음, 김민주.송희령 옮김 / 리더스북 / 2010년 12월
평점 :
품절


 경제학자가 바라본 미술시장의 속과 겉모습에 대한 이야기. 맨 마지막 투자 시장으로서의 경제학자가 바라본 미술시장은 주식시장보다는 못한 수익률을 준 투자 시장이며, 장기 투자를 했을때야  성과를 내는 시장이다는 것이다. 그리고 최고의 컬렉터인 찰스 사치의 투자도 2/5는 손실, 2/5는 약간의 수익 , 나머지 1/5이 대박나는 미술품 투자였다는 것이다.

 일반적인 미술품 투자 방법에 대한 제안은 혹시 미술품 투자에 관심있는 사람한테는 도움이 될 듯하다. 기존의 트렌드에서 벗어나 새로운 혁신과 창의를 시도하는 신생 작품에 투자하라는 것이다. 대박 작가의 작품도 거의 모두 초기 작품이 최고가를 기록하는 작품이며, 결국 장기 투자를 해야 미술품 투자에서도 성공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초 거부들이 자신들의 존재감과 평범함과의 차별화를 위한 수단으로 현대 미술이 기능하고 있기에 경매회사, 딜러들, 컬렉터들의 생존경쟁이 치열해지는 시장이 바로 미술 시장이라는 것이다. 리움미술관이 400만달러에 데미안허스트의 상어작품을 샀다는 것도 내용에 나오네. 최근의 갤러리, 미술관은  초거부 컬렉터들의 미적 자존감을 세우는 곳으로 기능하고 있단다. 중동의 새로운 미술관등의 신설로 현대 미술품의 수요대비 공급이 부족한 상황으로 거의 꼭짓점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단다.

 그들만의 리그에서도 브랜드 경매회사와 브랜드 작가와 초거부 컬렉터들의 협연으로 시장은 창조되고,거품이 일고, 거품이 꺼지기도 한다. 그림한점에 1억 달러가 넘는 것은 미적인 가치가 정신을 고양하는 역할을 한다고 해도 결국은 과시적 소비에 지나지 않음은 진실에 거의 가까운것 같다.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