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paddington > <문학 속의 서울2>에서는 밝은 서울을 기대하며
-
-
문학 속의 서울 - 한국문학이 스케치한 서울로의 산책 ㅣ 서울문화예술총서 2
김재관.장두식 지음 / 생각의나무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친가 친척들이 모두 서울에 살아서, 어린 시절 방학이나 명절을 나는 늘 서울에서 보내곤 했다. 내게 서울은 환상적인 도시였다. 대공원이나 롯데월드, 걸어다니기 힘들 정도로 넓은 중앙박물관(옛 중앙청), 그 넓은 서울을 장난감 도시로 만드는 남산타워, 63빌딩. 이렇게 큰 서점도 있다는 것을 알려준 교보문고까지. 서울에선 뭘해도 다 재미있고 신기했다. 만화책조차 서울에서 사촌들과 어울려 가는 만화가게의 만화책이 더 재밌을 정도였다. 집에 가야할 때가 오면 더 있고 싶은 마음에 어찌나 투정을 부렸는지, 그 당시 철딱서니없던 내 뒤치다꺼리를 도맡으셨던 큰고모님은 지금도 가끔 그 이야기로 웃곤 하신다.
그리고 대학에 진학하면서 서울로 왔다. 그런데 그 환상의 도시 서울이 정착하고 살기 위해 올라온 후로부터는 그저 그런 도시가 되어버렸다. 그 시작은 대학교 입학식부터였다. 입학식장에 발도 디딜 수 없을 만큼 많던 사람들은 당분간 자유를 만끽하려던 나에게 또다시 경쟁의 시작을 알리는 것 같았다. 그렇다고 서울에서의 기억이 결코 암울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 이후 서울에 대한 일관적인 느낌은, 서울은 어디를 가도 사람이 지나치게 많다는 것이었다. 밥을 먹으려 해도, 휴식을 위한 공원에도, 막연히 길을 걸을 때도.. 지나치면 뭐든 좋을 게 없다. 좁은 땅덩이에 지나치게 많은 인구. 그 많은 사람들만 생각하면 숨이 턱턱 막혀오는 곳. 어른이 된 나에게 서울은 그런 곳이었다.
서울에 대한 상반된 감정의 변천을 겪어봤고, 서울 토박이는 아니지만 나도 서울에 대해서는 알만큼 안다는 이상한 자신감에 이 책을 당연히 읽어야 된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책 속에 수록된 작품 중 읽지 못한 것들이 부지기수이고, 이름조차 처음듣는 작가까지 몇 있었는데 불구하고 말이다. 그러나 서울에게 배반당하고 이름없이 스러져간 많은 이들에게 바치는 작가들의 헌사를 읽으면서 별 생각없이 책을 펴들던 나의 당당함은 슬그머니 사라졌다. 이 책은 단순히 문학 작품 속의 서울을 즐기는 책이 아니다. 예나 지금이나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서울을 통해 우리의 슬픈 현대사를 일깨워주는 알찬 역사서이다.
문학 작품을 통해 보여지는 몇십년 전 윗 세대가 서울에서 느꼈던 인식과 감정들이 전혀 낯설지가 않다. 일자리를 찾아 상경하는 60년대의 농촌 젊은이들은 일자리를 찾아서 서울로 몰려드는 현재의 젊은이들과 다름없다. 성공한 자에게 더없이 관대한 도시 서울은, 실패한 자에겐 더없이 비정하다는 사실조차 그대로이다. 민주화가 되면 좀 나아질까 했던 구조적인 문제들은 민주화가 된 현실에서도 여전히 근본적인 해결이 요원하다. 사실 관계만 달리 한 본질적으로 똑같이 이야기가 지금도 진행중이기에 책을 읽는 동안 과거의 동떨어진 이야기로 치부할 수가 없다. 이 책을 읽어야하는 이유이다.
특히 이 책의 가장 큰 소득은 약자들의 어려움을 알리고자, 나누고자 했던 많은 작가들의 노력을 알게 되었다는 점이다. 일제 시대의 저명 문인들이 친일파의 의혹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과 비교해 볼 때, 독재의 서슬퍼런 탄압 속에서 끊임없이 사회의 부조리와 모순을 지적하고 서민의 고통을 외면하지 않았던 작가들을 알게 된 것만으로도 큰 위안이었다. 게다가 문학 작품으로 먼저 만났더라면 그것에 담긴 진정한 의미는 놓치고, 단순히 줄거리에 몰입했을 만한 작품에 대한 적극적인 설명을 통해 작품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던 점도 좋았다.
지방에 내려와 2년째 지내고 있는데, 처음에 적응되지 않던 것 중 하나가 인구 수십 만이 살고 있는 도시가 참 고요하다는 것이었다. 숨이 턱턱 막히던 서울의 과밀한 모습이 지겨웠지만, 나도 모르게 이미 익숙해졌나보다. 그 때는 몰랐지만, 어쩌면 서울의 그런 과밀함이 나로 하여금 사람들 사이에서 열심히 뛰도록 만들고, 나를 앞으로 나가도록 만들어주던 원동력이 아니었나 싶다. 가끔 서울에 가면 여전히 사람이 많구나 싶으면서도, 조용한 지방에서 살다보면 그래도 그 많은 사람들의 활기찬 공기를 느껴보고 싶을 때가 있다.
만약 수십 년 후에 <문학 속의 서울 2 >가 만들어진다면, 열심히 사는 서민들이 서울로부터 상처가 아닌, 환영을 받는 이야기로 가득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지금의 서울의 모습으로 볼 땐 그저 희망사항에 불과한 얘기이지만, 희망이란 게 원래 이루기는 어려워도 쉽게 버릴 수는 없는 것이기에 '희망을 가지고'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