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게 맨부커상은 큰 실망을 안긴적이 없다. 아 아니다, 이 말을 적고나서 얼마전에 읽은 소설 한 권 때문에 약간 실망을 한 적이 있었다. 적어도 그 소설을 읽기 전까지 이 부커상은 내게 어느 상 보다도 권위있는 상이다. 재미난건 대학 비평 수업 시간에 처음 부커상에 대한 이야기를 교수님에게 듣고 나서부터 만나게 되었는데, 교수님도 꽤 부커상에 대해서 호의적인 평가셨던걸로 기억한다. 그리고보니 그 교수님은 지금도 수업을 하시나 모르겠군.


8월초 주문을 하기 전인데 읽을 책이 똑 떨어지는 바람에 급하게 2권만 주문을했다. 마침 정가제가 풀려서 꽤 저렴하게 나온 덕분에 큰 부담없이 주문을 했다. [울프 홀]이 그 주인공인데 토머스 크롬웰이 주인공이다. 헨리 8세의 심복이었던 그의 인생이야기 라는데, 일단 나쁘지 않을 것 같았고, 속도감있게 읽을 수 있을 듯 해서 읽기 시작했다. 요즘처럼 더운 여름에는 깊은 고민보다는 - 그런 책은 휴가 시즌에나 가능하다 - 가볍고 속도감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 적격이다. 


그리고보니 계절에 따라 정말 읽는 책도 다르군. 겨울에는 따뜻한 차를 마시면서 읽을 수 있는 포근하고 두툼한 책이 어울리는 반면에, 여름 - 그것도 요즘 같은 한 습한 - 에는 속도감있고 빠르게 몰입해서 읽을 수 있는 책이 적격이지 싶다. 또 진득하게 어디 앉아서 읽기보다는 선풍기나 에어컨을 찾아 돌아다니며 책을 주로 읽게 되니 중간에 좀 흐름이 끊겨도 금방 회복할 수 있는 그런 이야기 말이다.


아무튼 한 100페이지 정도 어제 지하철에서 읽고 있는데 일단 나쁘지는 않지 싶다. 앞에 있는 인물 설명이나 왕조계로를 전혀 읽지 않았고 그럼에도 전혀 읽는데는 일단 문제가 없다. 아무래도 주인공이 크롬웰이기는 하지만 헨리 8세의 이야기이다 보니, 자꾸 뒤에 엘레자베스여왕이 떠오른다. 음 그리고보니 올림픽 기간이기까지 하니 원. 헨리 8세의 이야기보다는 엘리자베스 여왕 시절의 이야기가 더 재미나고 속도감도 있는듯 싶은데, 소설이나 책으로는 읽은 기억이 없고 영화로만 재미나게 본 듯. 단연 최고는 케이트 블란쳇이 연기했던 [엘리자베스]였는데, 역사를 전혀 모르고 봤을 때와 앞뒤 이야기를 좀 알고 보면 훨씬 재미나게 영화를 볼 수 있었던 듯. 
















개인적으로 케이트 블란쳇을 정말 좋아해서 - 반지의 제왕에서 너무 멋졌다!  - 영화를 본 케이스인데, 아 이런 너무 내가 생각했던 엘리자베스였다. 사실 젊은 시절부터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향해 달려가는 시기까지의 엘리자베스 여왕의 삶을 연기했는데 너무 어울리는 연기였다. 역시 이때부터 케이트 블랏쳇은 여왕역할이 어울렸다랄까. 그리고보니 여왕의 이야기라고 해야하나, 프랑스 문학 시간에 여왕 마고 (사실 그녀는 여왕은 아니었지만. 황후였다랄까) 에 대한 이야기도 공부했는데, 그 영화 주인공은 이자벨 아자니였는데, 이자벨 아자니의 마고는 역사 때문인지 여왕의 위엄은 없었던 듯. 음, 엘리자베스 여왕 이야기를 책으로 읽으면 더 재미나겠다. 역사는 보는 것 보다는 읽는게 더 재미난 법이니. 


+ 결론은.. 좀 알려달라는 이야기. ("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복과 중복은 하지가 기준일이지만, 말복은 입추가 기준일입니다.

초복(初伏)은 하지가 지난 뒤 셋째 경일(庚日)이고,

중복(中伏)은 하지가 지난 뒤 네 번째 경일(庚日)입니다.

하지만 말복(末伏)은 입추가 지난 뒤의 첫째 경일(庚日)입니다.

경일(庚日)은 '천간이 경(庚)으로 된 날'을 의미하며, 10일 간격으로 돌아옵니다.

하지와 입추는 24절기 중의 하나로서 매년 날짜가 거의 일정하며, 

1~2일 정도의 차이 밖에 나지 않습니다

CF. 해에 따라서 중복과 말복 사이가 20일 간격이 되기도 하는데, 이를 월복(越伏)이라고 한다.




*****


그렇다고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토요일에 온종일 집에 하루 있어봤다. 오전까지는 있을만하고, 오후 한 4시까지는 있을만했다. 오후 4시부터 영화 [인셉션]을 보기 시작했는데, 적어도 영화 끝날 때까지는 있을 만 했다. 그런데 영화가 딱 끝나는 순간, 정확하게 그 순간부터 더위를 참을 수가 없는거다. 그때서야 알았다. 아 집의 더위는 한낮 2시에 절정을 이루는게 아니라 그 열이 모여서 흩어지는 시간이 더 걸리는거구나. 그게 우리 집은 오후 6시즈음이구나. 라고. 


덕분에 부모님과 연락을 해서 저녁을 먹고 집이 선선해질 10시 즈음에 들어갔다. 


******


더위를 먹지는 않았어도 더위가 큰 영향을 미치는건 분명하다. 식욕은 수직하강을 해서 먹는 둥 마는 둥이고, 물만 계속 먹게 되고 - 그나마 신경써서 따땃한걸 마시고 있다 - 과일을 빼놓지 않고 먹으려고 하고 있다. 토요일 집의 열기를 체험한 나로서는 일요일인데 어제 같은 더위에 앉아있다가는 힘들거 같았다. 그래서 오후에 가방에 책을 두어권 넣고 잠실로 출동. 만년필을 인터넷으로 사려고 했는데, 아무래도 촉을 시험해보고 사야할거 같아서 - 이건 다음 포스팅에 - 결국 이 핑계 저핑꼐로 가보기로 했다. 


만년필을 구입하고 각인을 맞기고 근처에서 어슬렁거리고 있는데 맙소사 얼마 못가서 롯데월드 아이스링크가 있는거다. 그 드라마에서 사람들이 스케이트를 다던 그 아이스링크 말이다. 아 혹시나 해서 쓰는 말이지만 아이스링크는 물론 가도 가봤다. (참고로 내가 다니던 학교는 아이스하키를 하던 학생들이 있어서 아이스링크가 무려 있는 학교였다. ) 그런데 무려 롯데월드 아이스링크인거다. 


세상에 난 지금까지 롯데월드 아이스링크가 이런 구조로 생긴 곳인지 전혀 몰랐다. 2층과 3층에서 내려다 보이는 구조라는걸, [참고로 내가 서있던 위치가 2층인데, 실제로는 아마 지하 1층이었을거다. 그 위 즉 내 위치에서 한층 위에는 롯데월드가 있고] 위에서 관람하는건 입장과는 전혀 상관없는거였구나. 라면서 혼자 비명을 질렀다. 덕분에 얼음타는 사람들 구경은 참 잘했다. 한창 더위라서 그런지 링크에 금방 물이 생기고 곧 얼음을 재정비하는 시간도 갇더라. 사람이 빠져나간 틈에 한장 찍었더니 보고만 있어도 시원하다. 



******


잠실은 집과는 거리가 있어서 내 생활권이 아니다. 오히려 내 생활권은 대학 시절까지는 삼성역이었는데, 잠실에는 롯데월드를 가지 않는 이상에는 별로 갈 일이 없더라. 즉, 난 잠실에 가본 일이 평생에 손에 꼽을 정도라는 말이다. 오늘 시간이 조금 있기도 하고 더위도 피할 겸 잠실역에서부터 꼼꼼히 길을 확인하면서 다녀왔는데, 여기 거의 코엑스 수준이다. 


사실 재미난건 넓이나 구조는 코엑스 수준인데, 완전 이 지역 자체가 그야말로 롯데월드더라. 도대체 별다방이나 콩다방도 찾을 수 없고, 교보문고 - 그 흔한 교보문고 - 도 외부로 나가서 연결해야 하고, 안에 있는 모든 편의시설은 롯데 계열사. 역 이름이  '잠실'역인건 경이로울 지경이었다. 


아 완전히 새로운 세상이었는데 정말 중요한 볼일이 아니면 별로 다시 가고 싶지는 않다랄까. 

힘들었어. 



******


더위를 먹지 않기 위해서  노력하는 이즈음입니다.

물 많이 섭취하고 카페인은 너무 과용하지 말고 먹는 약은 잘 챙겨먹고 

밥은 몰라도 과일과 채소는 빼먹지 말고 먹도록 합시다. [이건 나에게 하는 다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위험한 관계 대산세계문학총서 68
쇼데를로 드 라클로 지음, 윤진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전은 읽을 때마다 새롭게 읽히는 책이라더니. 그렇게 많은 영화의 원작이 된 이유가 있는 이야기로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화 [스캔들]의 원작  - inspired by 인지 based on 인지 애매하지만 - 이기도 한 그 유명한 [위험한 관계]를 읽고 있다. 발몽자작과 후작부인의 편지에 다른 주변 인물들의 편지까지 추가되면서 이야기가 흥미진진하다. [스캔들]에서 봤던 캐릭터와 소설 속 인물들이 남김없이 매칭이 되면서 '오호라~ '싶은 기분이랄까. 아 참고로 이 소설은 동명의 영화가 먼저 할리웃에서 만들어졌는데, 존 말코비치가 주인공 발몽자작 역할을 해서 아주 인상에 남는다. 사실 그 때 한상 젊은 신인이었던 키아누 리브스를 보는 재미가 솔솔한 영화이지만, 전체적으로 봤을 때 꽤 수작인 영화였다. 음 마침 영화 DVD가 있어서 참고로 넣어봤다. 









갑자기 [위험한 관계]를 읽다가 내가 제법 서간체 소설을 좋아한다는걸 깨달았다. 아마도 나에게 서간체 소설의 즐거움을 알려준 소설은 [키다리 아저씨]가 아닐까 싶은데, 확실히 지금 당장 읽어도 재미나다. 아 그리고 [키다리 아저씨]도 재미나지만 그 뒷 이야기인 [키다리 아저씨 그 후 이야기]가 있는걸 아는 사람도 많지 않다. 물론 형만한 아우 없다고 전작만은 못하지만 꽤 솔솔하게 읽을마한 책이다. 그리고보면 서간체 소설도 많은듯 하면서도 적은데 더 없다. 잘 쓴건 정말 재미난데.












서간체 소설 아시는 분 제보 좀 해주세요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12-07-23 22: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키다리아저씨 다음 이야기를 재미있게 읽긴 했지만 그다지 다른 이야기가 아니라 좀 시큰둥 했던 기억이 있네요. 위험한 관계는 좀 지루하게 읽었던것 같아요. 라이언 필립 주연의 영화를 재미있게 봤는데 같은 제목으로 2편이 나와서 좋다고 봤더니 세미 포르노 ㅠㅠ
서간체라면 <새벽 세시, 바람이 부나요?> 와 <건지 아일랜드 감자껍질 파이 클럽>과 <채링크로스 84번지>가 생각나고 이 작품들 모두 추천하고 싶은데, 하루님은 벌써 다 읽으셨을것 같아요.

다락방 2012-07-24 00:03   좋아요 0 | URL
아, <옆집 남자>라는 책도 있는데 이건 발랄한 로맨틱 무비 같아요. ㅎㅎ

하루 2012-07-24 08:25   좋아요 0 | URL
아 맞다 그 영화 [사랑보다 아름다운 유혹]이었던거 같은데
전 1편만 봣는데 라이언 필립이 아주 멋졌던 기억이 새록새록. 그리고보니 이 영화도 원전은 [위험한 관계]로군요! 이럴수가 왜 이걸 지금에서야 떠올렸을까요. 흣.

윽 다락방님이 모두 추천해주셔서 읽은 책들이예요! 잊으신거예요! :)

다락방 2012-07-24 08:41   좋아요 0 | URL
심지어 [채링크로스 84번지]는 이 페이퍼에 링크되어 있기까지 하는데 저는 왜...... ㅎㅎㅎㅎㅎ

하루 2012-07-24 12:36   좋아요 0 | URL
푸흐흐흐 :)

LAYLA 2012-07-23 23: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건지 아일랜드 짱!^^

하루 2012-07-24 08:25   좋아요 0 | URL
짱! 흐흣.

노이에자이트 2012-07-24 01: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무래도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 유명하죠.그리고 성직자를 지망하는 청년이 아버지의 연인을 사랑하는 파격적인 내용의 스페인 소설<페피타 히메네스>도 있습니다.
이광수의 단편 '청춘'도 생각나고...주요섭 단편에도 서간체 소설이 몇 편 있죠.

하루 2012-07-24 08:33   좋아요 0 | URL
아 그렇네요. 왜 전 베르테르는 전혀 생각하지 못한걸까요. 이렇게 놀라울수가.
사실 제가 [젋은 베르테르의 슬픔]을 제대로 안 읽었거든요. 그래서 제대로 생각이 안 났는가봐요. 도대체 왜 이 청년은 이럴까.. 라는 생각을 많이 했거든요.
오 [페피타 히메네스] 기억하겠습니다!!

비로그인 2012-07-24 18: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보하고 싶은데 아는게 없네요 ㅠ
먼 옛날의 <약한 자의 슬픔> 같은 소설만 생각나고...

댓글을 통해 제가 제보 받아가네요 ㅋㅋ

하루 2012-07-24 19:01   좋아요 0 | URL
옷 새로운 소설인데요 찾아봐야겠어요.
음 이렇게 정보를 나누는거죠 흐흐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