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뭐 잘못했나? 

왜 이러지? 뭘 보고들 가는거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 도서 : One thing

  • 기간 : 1월 1일 ~ 1월 24일(총 18일) 매주 월요일~금요일

(1/1일도 진행합니다. 설 이전에 끝나는 일정입니다)

  • 방법 : 매일 정해진 분량을 같이 읽고, 인증합니다.

  • 구체적인 목표&인증방법 :

- 카카오 오픈채팅방에서 모일 예정이고 매일 읽어야 하는 분량을 읽고 인증해주세요

- 인증방법은 사진을 올려주셔도 되고 요약을 해주셔도 되고 각자 원하는 방법으로 해주세요

  • 읽을 분량 : 대략 하루에 10~15 페이지 정도 읽을 예정입니다 ( 하루 1 챕터)

  • 책의 장점 :

- 소설로 원서를 읽는 분들도 있으신데 전 언어로 밥을먹고 살지 않아서

소설을 원서로 읽는건 저에게는 큰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언어적 흥미(!) 를 유지하려면 문학적 수사가 없는 담백한 에세이나 자기계발서가 적당한 것 같습니다

- 1월이면 새해 계획들을 많이 세우시는데 이 책이 방향을 설정하는데 좋은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 인원 :

  • 완독할 의지가 충만한(!) 소수인원으로 모여서 읽으면 좋겠습니다

  • 꼭 끝까지 읽으실 "의지"가 있으신 분이면 좋겠습니다.

  • 의지가 있으면 함께 읽기의 효용을 100% 얻으실 수 있습니다.

함께 읽기는 같이 읽어서 끝까지 읽어보자는 목표를 갖고 있는 모임입니다.

의지가 있는 분이면 중간에 몇일 빠지게 되더라고 결국 같이 완독하게 되더라구요.


혹 함꼐 읽고 싶은신 분들은 2024.12.29일까지 덧글 남겨주시면 안내드리겠습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Jane 2024-12-29 14: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one thing 같이 읽고 싶어요~1월 3일부터 참여 가능합니다 ~~^^

2024-12-30 11: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이건 농담이 아니다 

원서읽기를 시작한 이후로 국문서를 읽을 시간이 부족하다

나는 본래 출퇴근할 때 책을 주로 읽고 있었다. 지하철을 타고 통근을 해서 안정적으로 시간이 확보되어 좋았는데

문제는 그 출퇴근 시간에 요 근래에는 원서를 읽다보니 국문을 전혀(!) 못 읽고 있다 (NEXUS 강추!!)

문제는 이게 시간이 좀 지나니 국문 책 자체를 진득하게 읽지 못하는 나를 발견했다는 점.

몇장 읽다가 포기하고 또 몇장 읽다가 포기하고. 큰일이다. 지금 이 상황은 농담이 아니다. 


소설도 시도해보고 이런저런 책을 다시 읽어봐야지 라고 다른 방법을 생각하고 시도했는데 

일단은 시간을 문자를 읽을 시간을 더 확보하던가 아니면 원서읽기를 줄여야 한다

둘중에 어느 방향으로 갈지는 모르겠는데 일단 오늘은 출근 지하철에서 오랜만에 국문서를 읽었는데 너무 좋았다.

일단 이런 극단적인 상황에서는 첫째도 둘째도 "읽는 재미"가 최우선이라서 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박종훈 기자(이제는 퇴사하셨지만..)의 최근 책인데 읽는 재미와 생각하는 재미가 있는 책이다. 


한 줄씩 다시 읽다보면 읽는 감각이 다시 돌아오겠지라고 믿고 있는 중이다.

궁극적으로는 원서와 국문을 모두 읽을 수 있도록 절대적인 시간을 좀 더 확보해야 되겠다.

가장 확실한건 출근전 새벽시간을 확보하는건데 새벽에 좀 일찍 일어나야 하나 진지하게 생각해보게 되었다. 

올해 꺠달은 점 중에 하나는, 그날 꼭 해야하는 일은 오전에 끝내야 한다였는데 

지금은 회사를 다니니, 정말 해야하는 일이 있으면 새벽 시간을 확보해야 하는 셈이다.

생각이 많아지는 오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즘 내 '읽기' 근황은 약간 기가(?) 막히다

어제 깨달았는데 내가 뭔가 국문책을 읽지 않고 살고 있더라. 



우선 아침 출근길 지하철에서는 '원서읽기'를 한다

지금 읽고 있는 책은 [The Subtle art of not giving a F*uck] 과 [Nexus] 이다 

[Nexus]는 생각보다 더디고 [신경끄기의 기술]은 10월 읽기라서 얼마 남지 않았다.

(다시 읽어도 [신경끄기의 기술]은 정말 잘 쓴 책 같다)










그리고 점심 시간에는 새로 구독한 NY Times Daily News letter를 읽는다

(참고로 이건 오늘의 뉴스레테) 참고로 News letter는 이것저것 구독하는데 모두 정리하고 2개 정도만 남겼다

이건 특별히 남긴 거니까 찬찬히 하나하나 짚어가며 읽고 있는데 수월한 글도 있고 그렇지 않은 글도 있어서 편차가 좀 있음



아무튼 이렇게 읽고 집에 돌아가는 지하철에서는 뭘 읽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사람이 깔릴 것처럼 많아서 뭘 읽는게 불가능해서 주로 듣는 편

이 시간에는 보통 팟케스트를 듣는 편이다 



이렇게 집에 가면 아침에 배달온 경제신문이 있어서 후루룩 넘기면서 헤드라인을 확인한다

이미 아침에 온 신문이니 어제 뉴스이고 하루 지난게 아닌가 싶지만 그래도 헤드라인 정도는 꼼꼼히 읽는다

눈길이 가면 앉아서 꼼꼼하게 읽는 편인데 날마다 뉴스를 읽는 밀도는 다른 편이다 



어제도 이런 하루를 보내고 잠들 준비를 하는데 가만히 생각해보니 국문책을 하나도 안 읽고 있더라.

세상에 지금 이게 무슨 상황이지 싶어서 하루종일 내가 뭘 읽는지를 생각해봤더니 저렇더라.

오늘부터 다시 한 문단이라고 읽고 하루를 마무리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기저기서 한강 작가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노벨상이니 그럴만 하다고 생각한다.

굉장히 진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그가 첫 인터뷰 중 그런 말을 했다고 한다. 


조용하고 평화롭게 살고 싶고, 이 상이 어떤 의미인지 생각할 시간이 필요하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01693801


굉장히 인상적인 인터뷰라고 생각했다. 

조용하고 평화롭게 하루하루가 흘러가는 삶을 살고 싶다는 소망 

그리고 무엇보다 이 상의 의미를 생각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소망 


과하지 않고 부족하지 않은 인터뷰로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