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자평] 검은 꽃
-
-
검은 꽃 ㅣ 김영하 컬렉션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이유는 설명할 수 없는데, 난 여전히 김영하와 김연수를 혼동한다. 두 작가의 작품은 물론 읽어보면 '어떻게 이 두 사람을 착각하냐'라는 핀잔을 들을만큼 색이 분명하지만, 내게는 그렇다. 이건 어쩔 수 없는 문제랄까, 비슷한 시기에 읽기 시작한 작가이기 떄문인 아니면 둘의 책을 번갈아가면서 읽었기 때문인지도 잘 모르겠지만 아무튼 내게는 그렇다. 둘 중에 굳이 꼽으라면 김영하는 꽤 친근하고 '와우'라는 소리가 나올만큼 나름 매혹적인 글을 써내는데, 김연수는 아직까지 '아 이런 글을 쓰는 사람이로구나'싶은 김탄을 해본 적이 없다. 무엇이 둘의 차이일까.
[빛의 제국]을 읽어보고 한동안 소원했던 내게 [검은 꽃]은 정말 오랜만에 읽은 김영하의 작품이다. [빛의 제국]을 읽고 한동안 김영하라는 작가에게 홀딱 반해 있었다가 몇편의 단편을 읽고 다시 멀어졌다. 이 작가 내가 느끼기에 [빛의 제국]이 그의 주류 라고 하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 시점에 미묘하게 김영하와 김연수를 헷갈리면서 그런 선입견을 가진게 아닌가 싶은데, 기막힌 일이다.
재미난건 김영하 작가의 팟케스트를 들으면서 작가 김영하에 대한 생각을 조금 바꿨다는 점이다. 그가 자신의 단편 소설 [악어]를 한번 통째로 - 저작권을 직접 가진 작가의 은총이었다 - 읽어 준 적이 있었는데 그 소설이 너무 좋았던거다. 그래서 그 뒤로 생각했다. 사놓고 미뤄놨던 [검은꽃]을 한번 이제는 읽을 준비가 되었구나 라고.
때는 구한 말, 멕시코로 가는 이민노동자를 모집하고 있는 인천항에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땅이 없어 벌어먹지 못하는 사람, 조선에서보다 더 힘들랴며 이민을 감행하는 사람, 먹고 재워주고 일한만큼 돈을 준다더라는 말에 이민을 결심하는 사람.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맥시코로 떠난다. 천신만고끝에 도착한 멕키코에서 사람들은 지주의 폭력에 견디며 일을 하고 때로는 탈출을 감햄하고, 누군가는 개종을 강요받는다. 그리고 세월이 흘러 하나 둘 사람들은 농장에서 해방된다.
시작은 꿈으로 시작했던 이들이었다. 땅이 없는 설움에 신분 차별의 설움에 배를 탔던 이들이었다. 그래서 그들은 조선 땅을 떠나오며 한가지 목표를 가졌었다. 돈을 벌어 땅을 사겠다. 그들에게 꿈은 땅 그 하나였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해방되고 나니 그들의 수중에는 돌아갈 돈도 없고, 돌아가서 살 땅도 없고 무엇보다 '조선'이라는 나라도 없더라. 아니, 정확하게 멕시코로 온 이들에게 조선이라는 나라는 이미 잊혀진지 오래이다. 당장 이곳에서 살아남는게 목표였고, 이곳에서 돈을 모아 살아갈 수 있다는건 이룰 수 없는 꿈이었다. 마치 멕시코로 올 때 타고온 배에서 꾸었던 꿈처럼 말이다. 도대체 무엇을 위해서 지금까지 손에 피를 붙이며 몸은 성할 날이 없이 일하면서 이 고국에서 먼 땅에서 살아남아야 했는가 말이다. 어떤 이들은 하와이로 갈 꿈을 꾸고, 어떤 이들은 머 외국으로 다시 떠나고, 어떤 이들은 그곳에서 소리없이 사라져간다.
이 소설에 있는건 나라를 잃은 설움이 아니라 '나라'를 가져본 적이 없는 사람들이 아닐까 라고 생각했다. 왕의 하늘 아래 살던 이들에게, 왕을 대신에 그들의 하늘이 되어 줄 국가가 없는 땅에서 그 소리없이 사라지든 이들의 모습은 씁쓸하기도 하고, 처연하기도 하고. 어쩌면 조금은 아픈거 같기도 하고. 왜 이렇게 이 소설을 읽고나서는 하늘만 쳐다보게 되는지도 모르겠고, 하늘은 왜 이렇게 오늘따라 파랗다못해 퍼런지 모르겠다.
+그리고보면 [빛의 제국]과 [검은 꽃]은 묘하게 겹치는 부분이 있구나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