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어느 봄날, 가로수길.
"우와, 안녕하세요." 그를 향해 꾸벅, 인사했다.
그의 단골 카페 2층의 한 귀퉁이 테이블에서 만났다.
그땐, 커피를 한창 배우고 있던 즈음.
가로수길에서 나름 유명세를 떨치는 카페, 그것만으로 좋았다.
인터뷰 의뢰를 받고 나갔던 그날, 내게 그는 연예인이라기보다 음악인이었다.
=> 슬프고 외로운 너에게 보내는 노래
당시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눴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지금 TV에서 볼 수 있는 모습과는 딴판이었다.
조용하고 나긋나긋했다. 답변은 신중했고, 은근한 우수가 묻어 나왔다.
푼수끼? 당시로선 그런 모습, 상상하기 힘들었다. 지금 그의 캐릭터, 그것으로 굳어졌지만.
그리고,
구체적인 내용은 기억나지 않지만 질문 하나를 조심스레 던졌다.
그는 정색했다. 그 얘긴 꺼내지 않았음 좋겠다고 했다. 화들짝, '앗, 뜨거'.
요절한 서지원에 대한 물음이었다. 유작인 '내 눈물 모아'의 작곡자에게 향한.
서지원이라는 이름, 당시 그에겐 아마도 너무 힘든 이름이었나보다.
그런데, 오늘 정재형.
<유희열의 스케치북>에서 '내 눈물 모아'를 불렀다.
이전에 다른 프로그램에서 정재형이 그 노랠 불렀겠지만,
그가 서지원을 제대로 애도하고 있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아, 정재형은 서지원을 잘 떠나보냈구나.
노랠 부를 때의,
음색과 표정, 목소리와 톤, 분위기 모든 것이 그것을 증명하고 있었다.
2008년이나 지금이나 정재형이 서지원을 생각하고 있음은 분명히 같아도,
그때의 정색과 지금은 완전하게 다르다. 온전하게 애도하고 있다는 확인 같은 것.
애도는 '잘 떠나보내는 것'이고,
그것을 내 삶의 일부로, 피하지 않고 정면으로 마주하고 받아들이는 것이다.
'내 눈물 모아'를 부르는 정재형의 표정이 벅차보였다.
'상실의 시간과 화해하는 기술'을 터득한 이의 표정이었다.
내가 사랑하는 당신도,
힘들고 아프면 그냥... 눈물을 흘리길.
그저 눈물이 나니까, 눈물이 흐르는 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