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 더 컴퍼니 - 변화를 주도하고 성공으로 이끄는 혁신 전략
리사 보델 지음, 이지연 옮김 / 레디셋고 / 2013년 2월
평점 :
절판



오염된 단어들이 있다. 변화가 그렇고, 혁신도 그렇다. 이에 따라붙는 창의나 창조 등도 마찬가지다. 특히 기업들은 이 단어(들)에 목을 맨 듯, 끊임없이 지저귄다. 그러나 안을 파고들면 내용이 없다. 동어반복에 좀 더 면밀히 따지고 들면 자신들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한 포장된 수사임을 알 수 있다. 그러니까, 이런 것이지. 니들 더 뺑이 쳐라. 떡고물 좀 떨어지게 해 줄 테니 회사 배 좀 더 불려봐라.

 

왜 그리 거칠게 말하나 싶을 텐데, 그들이 지저귀는 ‘혁신’의 공허함 때문이다. 오로지 경쟁에서 이기라는 말을 교묘하게 포장했다. 이윤을 더 뽑아내기 위함이다. 외부 뿐 아니라 내부에서 경쟁을 부추긴다. 혁신이라는 말로 포장된 ‘등골브레이커’의 면모다. 기업, 물론 돈(이윤)을 벌어야 한다. 그러나 어떤 이윤인지, 그 이윤이 어떻게 나오는 것인지에 대한 이야기는 없다. 기업의 변화와 혁신이 단지 이윤을 위해서라면 그것은 공허하다. 변화와 혁신의 기저에는 노동이 검토돼야 하나 대개의 경우, 이런 배려나 생각은 빠져 있다. 기업과 사회의 관계 또한 텅 비어 있는 경우가 허다하다.

 

《킬 더 컴퍼니》는 기업의 혁신과 변화를 말한다. 그것을 위해 회사를 죽이라고 말한다. 경쟁자의 입장에서 나의 회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것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촉구한다. 그리고 회사에 만연한 좀비적 태도를 깨울 수 있는 다양한 프로세스와 방법을 제시한다. 나쁘지 않다. 어느 정도 회사가 커지고, 사람이 많아지다 보면 회사는 불가피하게 관성에 의해 움직인다. 표준화된 절차와 문서 작업이 따르고, 형식적인 일들이 많아진다.

 

“회사의 리더들이 사람이 아니라 프로세스에 초점을 맞춘다. 모든 업무를 표준화하고 형식화하다 보니 회사에 더 이상 개인적인 것은 아무것도 없다. 리더들은 문제 해결을 위해 사람을 찾는 것이 아니라 프로세스를 살핀다.”(p.63)

 

책은 그것에 메스를 대라고 말한다. 필요하다. 회사가 관성에 의해 그냥 굴러가게만 하다간 시장에서 낙오되고 말 테니까. 회사에서 일하는 노동자도 관성에 적응하기 마련이다. 더 이상 신경 쓰지도 않고 무사안일주의 문화가 퍼진다. 관료화가 점점 똬리를 틀게 된다. 회사는 순응과 효율을 강조함으로써, 노동자들은 온순한 양 혹은 좀비로 전락한다. 노동자들의 주체성은 찾아볼 수 없다. 의사 결정 능력도 덩달아 감퇴되기 때문이다. 위험을 피하려는 문화가 바이러스처럼 휘감는다.

 

책이 강조하는 ‘생각하는 문화’, 나쁘지 않다. 저자는 그것을 ‘싱크잉크’라고 표현한다.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가득한 이상적 회사를 지칭한다. 좀비 회사를 싱크잉크로 변화시키라고 말한다. 노동자들에게 탐구심, 호기심, 주인 의식, 창의적 문제 해결, 독립심을 심어주라고. 이것이 생산적인 혁신을 위한 기초를 놓는다고.

 

그러나 그것으로 끝이다. 여기서 말하는 혁신의 내용은 결국 CEO와 임원, 주주들의 잇속을 챙기는 수단이다. 시장 경쟁에서 이기기 위한 방편에만 치우쳤다. 노동에 대한 진지한 탐구는 결여됐다. 회사를 죽임으로써 노동(자)의 성격과 질이 어떻게 바뀔 것이며, 사회 속에서 기업은 어떻게 존재해야 하는지에 대한 사유는 없다. 혁신이라는 말을 오염시킬 뿐이다. 혁신은 사람(노동)과 사회와 함께 결부돼야 할 문제지, 기업 안에서만 얘기돼선 안 될 문제(라고 나는 생각한)다.

 

모든 것을 시장으로 환원하는 자세. 달갑지 않다. 기업 내 좀비문화를 바꾸기 위한 방법에서 좀 더 깊은 고민을 내포했으면 좋았겠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기업 내에서 시장으로 환원되지 않는 문화는 존재할 수 없을까. 함께 공유하기 위해 만드는 그런 문화들. 생산성과 효율 측면만을 강조하는 것이 아닌, 그것이 자연스레 따라올 수 있는 기업 문화와 노동에 대한 사유. 


그래, 맞다. 경영기술서에 뭘 그런 것까지 바라다니, 나도 참 오지랖이긴 하다. 네가 대안을 내놓아라, 하면 나도 아직 잘 모르겠다. 노동자협동조합을 꾸리는 일개 커피노동자가 세세한 그림까지 어찌 그리겠나. 다만 이 리뷰는 편향적이면서도 균형을 잡기 위한 것이다. 예단이지만, 이 책을 읽은 많은 사람들은 아마도 이 책이 건네는 이야기에 고개를 끄덕이며 ‘긍정’의 리뷰를 쓸 것이다. 그런 와중에 이런 사소한 태클을 거는 반대 의견도 좀 있어야지. 책도 말하지 않았던가.

 

“최선의 정책은 동료나 부하들이 다수 의견에 공공연히 반대할 수 있고 심지어 반대하도록 권장되는 회사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다.”(p.76)

 

또 하나의 사소한 우려라면,

이 책이 권하는 다양한 방법론이 또 하나의 프로세스가 되지 않을까?



(* 이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작성됐다. 

그러나 그런 사실에 영향을 받지 않고, 내가 느끼는 바 그대로를 긁적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