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을 할까, 커피나 한 잔 할까?

- 알베르 카뮈 ≪시지프 신화≫ 중에서  

 

 

오늘, 엄마가 죽었다.
전보가 그렇게 왔다. 내 탓은 아니지만, 가지 않을 수 있나. 사장은 좋아하지 않는 눈치였지만, 휴가를 내고 버스를 탄다. 피곤했을까. 계속 잠을 잔다. 도착해선 엄마의 시신도 보지 않는다. 눈물? 글쎄, 눈물샘이 마른 건가. 엄마의 주검이 담긴 관. 경비가 커피를 권한다. 홀짝. 커피엔 역시나 담배. 그래도 엄마 시신 앞인데... 잠깐 망설인다. 그렇다고 꺼릴 이유도 분명치 않다. 담배 한 모금. 후~ 커피가 담배를 부른 것인지, 담배를 피우기에 앞서 커피를 애피타이저로 마신 것인지는 분명치 않다.

 

맞다. 뫼르소다.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 
문학사에서 가장 유명한 첫 문장 중의 하나인 "오늘, 엄마가 죽었다"로 시작하는 ≪이방인≫이다. 커피, 태양, 담배, 바다, 정사... 그리고 숱하게 명명된, 그래서 지겨울 법한 부조리. ≪이방인≫을 떠올리자면, 그렇다. 태양이 너무 강렬해서 살인을 저질렀다는, (문학)역사상 가장 병맛(!)스러운 살인의 이유를 들이댄 뫼르소. 다양한 병맛짓으로 그야말로 인생사 병맛을 실감케 한 재능은, 온전히 그에게서 나왔다. 이 책을 내놓았을 때, 카뮈는 스물아홉이었다. 스물아홉의 청년이 내놓았던 이 책에 대해 문학평론가 롤랑 바르트는 "건전지의 발명에 맞먹는 사건"이라고 호들갑을 떨었다. 그런데, 그 호들갑, 틀리지 않았다. ≪이방인≫은 에너자이저다. 부조리는 지독하게 현재적으로 점점 더 강도를 더해가니까. 프랑스에선, 이 책에 대해 매년 20만명의 새로운 독자가 생겨날 정도다.

 

 

그렇다. 그. 알베르 카뮈.
그는 커피 한 잔과 함께(물론 담배도 곁들여서) ≪이방인≫을, 뫼르소의 병맛짓을 휘적거렸다. 빠뤼의 골목, 생제르맹 거리에 위치한 '레 되 마고·Les Deux Magots(2개의 도자기 인형)'와 '드 플로르·de Flore'에서였다. 생제르맹 교회 앞 광장에 위치한 카페들. 커피 한 잔을 시켜놓고, 카뮈는 담배를 뻑뻑 피워가며 커피의 힘을 빌어가며, 뫼르소를 탄생시켰다. 부조리의 탄생. 커피로 조리한 부조리? 물론, 이곳엔 카뮈와 한때 절친이었던 사르트르를 비롯해 보부아르, 랭보, 베를렌, 알퐁스 도데, 앙드레 지드, 헤밍웨이, 피카소 등 내로라하는 문인·사상가·철학자·예술가 등이 즐겨찾았다. 오죽하면 "집으로 삼았다"는 얘기(사르트르)까지 나왔겠나. 지금은 관광객들이 호기심으로 머무는 장소가 됐다지만. 뫼르소는 커피의 힘을 빌린 부조리였던 것이다.

 

 

카뮈는 반항아였다. 
윗 사진이 뿜어내는 포스를 보라. 대번에 알아차릴 수 있다. 반항 아니면 죽음을! 그는 부조리에서 세 가지 귀결을 이끌어낸다고 했다. 반항, 자유, 열정. 자유주의자이자 사회주의자였던 그를 오해하는, 아니 그를 이용해 먹은 한국 지배세력의 유언비어도 있었다. 스탈린주의에 반대했던 그를, 반공주의자로 끼워맞춘 것이다. 카뮈는 말하자면, 반스탈린주의적 사회주의, 반전체주의적 사회주의에 가까웠다. 폭력에 근간한 정복자의 모습을 한 절대주의적인 이데올로기에 대한 두드러기 혹은 알러지. 부조리에 반항하되, 반항의 기원을 잊지 말아라! 카뮈가 우리에게 속살거린다.

 

다만, 나는 안다.

커피가 카뮈를 꼬드겼다. 약간 과장하자면, 커피 없이 ≪이방인≫이 나왔을까. 다른 판본으로 말하자면, 그의 지성을 자극한 것은 커피였다. 어느 커피하우스에선, 또 다른 카뮈가 담배 한 모금과 함께 커피의 힘을 빌어 지금 이 시대의 부조리를 끄집어내고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1959년 한 인터뷰, "내 나이 마흔다섯, 아직 놀랄 정도로 활력이 남아 있습니다"라고 자신만만하던 카뮈는 이듬해 초, 소설(≪최초의 인간≫) 원고를 품고 가다가 차에 치여 아듀. 요절이었다. 커피가 그를 죽인 것은 아니었다. "나는 가난 속에서 자유를 배웠다"고 말한 이의 부조리한 죽음이었다. 

 

그런데 왜, 카뮈?
1월4일은 카뮈의 53주기다. 뭣보다, 올해 카뮈의 탄생 100주년이 되는 해(11월7일)다. 그래서 특별한 커피를 볶았다. 이름하여, 부조리 커피다. 레시피는 알려주지 않겠다. 힌트가 있다면 알제리 커피가 가미됐다. 알제리는 커피를 '샤딜리에'라고 부르는데, 카뮈는 알제리에서 태어났다. 알제리로 이주한 프랑스노동자의 후손이다. 이 커피, 마셔보면 뫼르소의 심경이 이해가 간다. 지금 우리를 둘러싼 온통 부조리한 현실 덕분이다. '부조리 커피'가 그것을 명징하게 일깨워줄 것이다.

 

그나저나, 카뮈 사진의 저 포스, 저 간지.
아주 부러워 죽는다. 저 정도 간지, 누구나 '소장'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저 정도 간지가 돼야, 뫼르소라는 인간형을 내놓을 수 있다. 장례를 앞두고 밤을 새며 커피를 마시고(그래, 밤 새며 커피를 마신 것이 무슨 죄란 말인가!), 어머니 장례를 치르고 난 다음 날 섹스를 하며(섹스랑 밥 먹는 일이 뭐 그리 다른가? 장례 다음 섹스를 하면 정말 (관습법에서라도) 죄가 되는겨?), 어머니 죽음 앞에서 눈물을 흘리지 않는다(울지 않는 인간도 있다. 분명!).

 

 

카뮈 탄생 100주년을 맞아 ≪일러스트 이방인≫이 출간됐다.

지난해 ≪이방인≫출간 70주년을 기념해 프랑스에서 나온 특별 에디션이 드디어 한국에도 나왔다. 프랑스에서는 무려 750만부가 팔려나갔다. 흑과 백, 두 가지 색깔만으로 모든 것을 표현했다. '부조리 커피'를 마시면서 ≪일러스트 이방인≫을 보시라.

 

다만, 햇살은 피해서.

꼭. 당부한다. 너무 강한 태양은 몸에도, 마음에도, 해로울 수 있다. '행쇼(행복하십쇼)'하고 싶거든, 지나치게 강렬한 태양은 피하고 볼 일. 비(정지훈)의 '태양을 피하는 방법'을 읊는 것은 좋지만, 비도 몰랐던 것이 있다. 김태희와 연애할 때 국방의 의무를 회피하는 방법까진 몰랐던 거지. 연애할 때 주의할 것, 내 안의 부조리. 아, 물론 연애질할 땐, 당연히 그따위 것 모른다. 세상이 온통 김태희뿐인데, 부조리가 보이겠나. 태양은 피해도, 김태희는 못 피했겠지. 비에겐. 뫼르소라면 몰라도. 그러니, '밤9시의 커피'를 마시면서 태양도 피하고, 피할 수 없는 '부조리'도 꿀꺽 마셔야 한다. 삶처럼. 딴 이유 없다. 알다시피, 삶은 부조리니까!

 

 

밤9시의 커피.

밤 9시가 넘으면 1000원으로 내려가는 커피 한 잔이 있는 곳. 그 커피 한 잔으로 생을 확인하고, 외로움을 위로받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커피 한 잔에 담긴 어떤 세계의 확장과 연결도 엿본다. 커피가 있어서 다행이다. 나는 밤 9시가 되면, 낮에 만든 커피와는 또 다른 커피를 내린다. 그 커피는 오로지 당신 하나만을 위한 커피다. 그리고, 당신과 나만 아는 이야기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