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니 (2disc) - 청각장애인용 자막 삽입
황동혁 감독, 공유 외 출연 / CJ 엔터테인먼트 / 2012년 3월
평점 :
품절


누군가 그러더라. 살아서 지옥을 맛보는 것, 그게 바로 배우자의 외도.

고개를 끄덕이면서도 배우자 없는 나로선, 끔찍할 것이라는 상상밖에 할 수 없었다.

 

그런데, <도가니>를 보곤, 하나 덧붙였다. 아니, 그것이야말로 살아서 지옥이었다.

스크린을 통해서 보는데도 그것은 생지옥. 

내가 직접 당한 것이 아닌데도, 나는 아프고 아팠다. 

성폭행. 강간과 폭행. 그것도 권력과 위계에 의해 저항조차 불가능하게 이뤄진.

더구나 그 권력은 타인의 장애를 자신의 욕망을 채우는 발판으로 삼았다. 개새끼, 아니 개새끼보다 더 못한. 

 

나는 꽤나 극장을 찾는 편인데,

극장에서 그렇게 많은 탄식과 한숨이 흘러나온 것을 경험한 것은 처음이었다.

살아서 겪어야 하는 지옥에 대한 공감이리라.

어쩌면, 자신이 직접 당하지 않은 것에 대한 안도감도 깃들어 있었을지도 모른다.

 

한편으로 불편한 진실이었다. 그것이 더욱 마음을 후벼팠다.  
과연 우리는 그것을 진짜 모르고 있었던가. 

<도가니> 개봉 직후 이른바 '여론'이 들끓었다. 그것은 공분.

실재 사건에 대해서도 그랬지만, 그 지옥을 방조·방치한 것은 물론 지옥을 조장한 세력과 협잡 아닌 협잡을 한 법과 질서에 대해서도 그랬다.

세상에 그런 일이 진짜 벌어지고 있냐며 미친듯이 들끓는데, 나는 그것이 더 불편했다.

삐딱한 성정 때문이겠지만 씨바, 지들이 사는 곳은 다 천국이가 사는 곳인가? 

진짜 몰랐단 말인가? 고개를 돌리고 있던 것은 아니고? 내 것만 후비느라 제쳐놓은 건 아니고? 

 

<도가니>. 단순 장애인 성폭행 사건이 아니었다.

지금 이 사회가 돌아가는 시스템과 구조, 그것이 어떻게 약자에게 지옥을 조장하는지 보여준다. 

교육청과 시청은 사건이 벌어진 시간 등을 거론하며 자신의 '영역'이 아니라고 발뺌하고 책임을 미룬다. 당장 내게 닥칠 비판과 책임이 두렵다. 그러니, 그들에겐 은폐가 유일한 능사다. 

경찰은 교장(교사)와 짜웅하고, 돈독(이 오를대로 오른 끈적)한 관계를 유지한다.

주민들은 그것이 무언지도 모르고 실체도 없는 '지역사회 발전'을 들먹이며 가해자를 두둔한다.

교회라고 다른가. 사탄의 무리 운운하면서 진실을 파헤치는 강인호(공유)와 아이들에게 돌을 던진다. 돈이라는 신종 예수에게 죄를 씻은 죄 없는 자들이기에 가능한 것이겠지.

변호사? 그가 변호하는 건, 지옥이다. 물론 있는 자들에겐 천국. 

 

동물농장이요, 동물의 왕국이다.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 동물들의 리더는 동지 운운하지만 실은 그 동지 동무를 착취하고 이용한다. 그들의 관심은 오로지 이권이요, 내게 돌아와야 할 이득이다.

<도가니>의 그 어이 없음을 충분히 설명할 수 있는 기제다.

학교장, 교사라는 권위의 이름으로 가해지는 폭력. 사랑의 매는 어김없이 등장한다.

법과 질서의 유지는 또 어떤가. 경찰, 검찰, 판사, 변호사는 그저 이름을 달리한 자웅동체다.

이른바 '뿜빠이(N분의 1)'의 논리가 물밑에 흐른다.

힘 없는 99%의 약자가 대면해야 하는 것, 결국 지옥이다.

 

들끓는 여론에서 또한 불편한 것은 처벌('도가니법')에 대한 과도한 집착이다. 

그것이 잘못됐다는 것이 아니라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는 얘기다.

피해자들에 대한 치유. 왜 그것에는 처벌만큼 비중을 두지 않는가.

 

당연히 도가니법의 제정(장애인 성폭력 방지 및 피해자 보호대책)은 <도가니>가 가져온 성취이자 긍정적인 영향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처벌만으로 모든 것이 종결되는 양 착각한다.

과연 그런가?

우리는 왜 그렇게 치유에는 인색한가. 

향후 사건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면 당한 사람은 치유가 되는가? 지옥을 맛본 것이 희석되는가?

 

더 중요한 것은 그렇게 살아서 지옥을 맛본 사람, 개인에 대한 치유 아닌가. 사회적인 치유가 더 필요한 것이 아닌가. 예방을 위한 처벌은 반드시 필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우선적인 치유다.

나는 그렇게 믿는다.

사회적 시스템의 구멍과 불합리로 지옥을 맛본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사회적인 치유이며,

그것이 가능해야 정상적인 사회다.

그들이 맛봐야 했던 지옥은 혼자의 것이 아닌 우리 모두의 지옥이요, 우리의 수수방관이 빚어낸 무간지옥이다.

 

치유부터 신경쓰자.

용서는 지옥을 맛본 아이들의 부모도, 할머니도 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용서는 오직 그들만이 할 수 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그들의 트라우마, 그들이 겪은 지옥이 세상의 전부가 아님을 보여주는 것.

정혜신·이명수 선생님의 '와락'이 아름다운 이유다.

물론 당연하게 그것은 개인들의 몫이 아닌 국가와 공동체의 몫이어야 한다.

개인이 그렇게 나서도록 하는 것, 역시 이곳이 정상적인 사회가 아님을 보여주는 증거다.  

 

공분이 제대로 방향을 찾아야 한다. 표적을 향해 제대로 나아가야 한다.

슬프고 화나고 분노하는 것이 가해자들에게만 향해선 안 된다. 

가해자들에 대한 처벌은 본디 시스템이 무조건 해야 하는 일이다.   

그러니 지금 단순히 선거에서의 승리로 끝낼 게 아니다. 시스템과 세계를 갈아 엎어야 한다.

지금의 시스템은 아니다. 그래봤자 기득세력, 민주통합당도 아니다. 처벌도 신통찮지만 치유는 그들이 할 수 있는 몫이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