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영
시인 김수영. 詩로, 술로, 노동으로, 온몸으로, 시대와 사회에 저항한 사람. 대개는 시대가 시인을 만든다. 시인은 시대속에서 부대낀다. 허나 어떤 시인은 그 등장만으로 새 시대를 연다. 나는 김수영이 후자가 아닐까, 생각한다. 그는 詩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새로운 시인의 등장이었다. 

이 너절하고 졸렬한 야만의 시대에 필요한 것은 오롯이, 詩다. 자본과 폭력앞에 詩想이 떠오르지 않는 시대니까. 희망을 노래하고 온몸으로 희망을 뿜던 송경동 시인이 구속됐다. 

그 개새끼들은 詩를 모른다. 詩가 왜 필요한지, 시인이 우리에게 어떤 존재인지, 모른다. 시라도 있어서 다행이다. 시인이라도 있어서 다행이다. 시인은 사회의 환부를 남보다 먼저 감지하는 몸을 지녔다지 않나. 시인의 아픔이자 숙명이다. 송경동 시인이 우리 앞에 나선 것은 그런 까닭에서였을 것이다.  

죽은 시인의 사회. '詩를 말하는 것'이 사치가 된 시대, '시인이 나선 것'이 죄가 된 시대, 죽은 시인의 시대. 누군가는 그래도 아직 다른 나라보다는 시집이 많이 팔린다며 안도하지만, 글쎄 나는 잘 모르겠다. 시인을 척결하고자 자본과 국가는 혈안이 돼 있는데, 무슨 희망 따위를 말할까.  
  

 

김수영이 필요하다. 이젠 우리가 김수영이 돼야 하지 않을까. '난닝구' 입고도 저런 미친 존재감을 발할 수 있는 사람. 저 포스, 저 아우라는 정직한 자기성찰과 반성, 일상성에 대한 수용과 폭력을 향한 저항을 할 줄 알았기에 가능했을 것이다. 그는 "진정한 시인이란 선천적 혁명가"라고 선언하지 않았던가. 그는 혁명가였다. 요절하지 않았다면, 우리의 혁명은 좀 더 앞당겨졌을지도 모른다.

2011년 11월27일. 김수영 탄생 90주년. 너에게 김수영을 권한다. 지금, 김수영이 필요한 시간.

시인을 석방하라던 이라영 씨의 말, 나도 그녀 말을 따른다. "시를 행한 죄-시인을 석방하라" 

 


수애
그런데 사실은... 있잖아... 지금, 김수영보다 수애가 더 좋아. ^^;;
수애가 지금 내겐 곧 詩이자 시인이란다. 더 정확하게는 서연, 이서연(<천일의 약속>).
저토록 강인하고 지적인 여자, 뭣보다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 사랑을 할 줄 아는 여자. 우히~

그녀가 3년이라는 축복을 부여받았으면 좋겠다. 천일이잖아. 천일의 약속. 천일동안.


강릉
정작 커피축제 때는 못갔다. 커피향 가득한 공간이 된 강릉의 향기가 궁금했는데, 허난설헌을 만나기 위해 강릉을 갔다. 400여년 전 스물 일곱에 요절한 허난설헌은 어쩌면 시대가, 사회가 죽인 타살이 아니었을까. 여성이라는 이유로 그녀가 받아야했던 멸시와 굴욕. 

강릉 초동마을의 늦가을. 눈이 내렸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바람은 없었고, 詩가 있었다. 허봉, 허초희(허난설헌), 허균, 시인이자 사회를 바꾸고 싶던 개혁가들의 자취가 덕지덕지. 조선, 한국, 그 앞선 시대 모두 이땅에선 기득권이 바뀐 적이 없다. 개혁이건, 혁명이건 성공하지 못했다.

강릉의 커피는, 커피대자본(들)의 획일적인 커피 맛과 향을 뒤집어주는 '커피혁명'을 바람.

스물일곱. 지미 헨드릭스, 재니스조플린, 짐 모리슨, 커트 코베인, 에미미 와인하우스가 요절한 나이. 그들은 결국 난설헌을 따르고 싶었던 거야. 난설헌이 스물일곱 요절의 시초였었어! 

그런데, 얼마나 예쁘고 총명했으면 난설헌이라고 불렸을까. 영정사진이나 조각은 너무 늙었고, 고전적이야. 재미가 없어. 강릉시의 미적 감수성을 의심하게 만드는. 난 아름다운 난설헌을 보고 싶어. 아름다운 여자, 난설헌. 수애 정도의. 

아놔~ 나 지금, 수애병인가 봐. 알츠하이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