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일하는가 - 이나모리 가즈오가 성공을 꿈꾸는 당신에게 묻는다 ㅣ 서돌 CEO 인사이트 시리즈
이나모리 가즈오 지음, 신정길 옮김 / 서돌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왜 일하는가.” 이 질문, 당연한 것이다. 물론, 삼신할머니의 랜덤으로 부모(의 재산)를 갉아먹으며 일하지 않고 사는 사람이라면 다르겠으나. 일하는 모든 이라면, 꼭 필요한 질문이다. 그 '왜'는 삶의 이유와도 같은 맥락에서 답해질 수도 있겠다.
하지만, 지금은 그것에 대한 답을 내놓기가 민망해진 시절이다. '왜 일하는가'에 대한 답이 증발한 시절이다. 이른바 백수 100만 시대, 일을 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안도해야 하는 이 엄혹한 시절, 그런 질문은 개똥 처바른 사치처럼 느껴질 법하다. 그런 생각을 할 시간에 차라리 일자리를 알아보라고 다그칠 사람도 있겠다. 계절의 순환과 상관없이 취업한파라는 말이 1년 내내 휘몰아치는 풍경 앞에 배부른 소리라고 타박하는 사람도 있겠다.
지금? 그래, 알다시피 일에서 소외되고, 자본에 종속됐다. 그런 사유야 어떻든, 어떤 일이든 해야만 존재를 지탱할 수 있다. 그럼에도 역설적으로 ‘왜 일하는지’ 더 고민하고 사유해야 하지 않을까. 일을 한다는 것이, 이전과 다른 의미를 품게 됐기 때문이다.
물론, 일을 한다는 것, 단순화해보자. 먹고 살기 위해서? 맞다. 자아실현을 위해서? 역시 맞다. 더 중요한 것도 있다. 일을 함으로써 갖게 되는 자아존중감(자존감)? 그것도 맞다. 그렇다면, ‘어떤’ 일인가 이전에, ‘왜’ 일을 하고 있는가가 더 중요하지 않을까. 남들에게 증명하기 위한, 남들 보기에 버젓하거나 번듯한 일이 아닌, ‘왜 일하는가’라고 물어야 하지 않을까.
여기, 이 사람, “일본의 세계적인 기업가로 일본에서 가장 존경받는 경영자 중 한 사람이자 살아있는 ‘경영의 신’으로 불리”는 이나모리 가즈오. 그는 이렇게 묻는다. “왜 일하는가.” 풀자면, 이렇다. “‘세상에 태어나 한 번뿐인 삶인데, 지금까지 정말 가치 있는 삶을 살아왔는가?’라고 되묻고 싶다. 나아가 내가 깨달은 ‘일하는 이유’와 ‘일하는 방법’을 가르쳐주고 싶다. 왜 일해야 하는지, 일을 통해 무엇을 깨닫는지 알려주고, 열심히 일함으로써 앞으로 어떻게 될지 알려주고 싶다.”
저자인 이나모리상은, 스스로를 단련하고, 마음을 갈고닦으며, 삶의 가치를 발견하기 위해 일이 얼마나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를 역설하고 있다. 원래 책 제목은 ‘일하는 방법’이며, 부제가, 왜 일하는가, 어떻게 일할 것이냐, 라는데, 국내 번역본에선 ‘왜’를 강조한 것도, 어쩌면 지금-여기의 엄혹함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일하는 방법 이전에, ‘왜’를 고민해보자는 의도가 아닐까.
먹고살기 위해서라는 답변. 그 말에 담긴 무게감을 나는 일하면서 절실히 느낀다. 세계에서, 우주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배를 채우는 것, 혹은 배를 곪지 않는 것이다. 한 예술가의 작품에서 본적이 있는 이 문구. "Most important thing in the universe is -> Full Stomach." 그럼에도 우리가 열심히 일하는 것은 단지 그 때문일까. 이나모리상은 내면을 키우기 위해 일한다는 말을 한다.
누군가는 먹고살기 위해서, 라는 명분을 들어, 우리가 사는 세상은 뜯고뜯기는 것이 일상화된 자본주의가 아니냐, 라는 것으로 자신의 일에 면죄부를 씌운다. 나만 먹고살 수 있으면 모든 것이 끝나지 않는다. 남을 착취하고, 궁지로 몰아넣는 일이라도 나만 혼자 잘살면 끝인가.
이나모리상의 자본주의는, 그래서 우리가 흔히 말하는 자본주의(資本主義)와 다르다. 그의 자본주의는 ‘慈本主義’이다. 자비로울 자, 사랑할 자. 나는 그것을, “혼자 잘 살면 무슨 재민교”로 해석했다. 남에게 둔감해지지 않는 것. 삶의 미각에 묻은 씁쓸함을 외면하지 않는 것. 가능한 한 내가 하는 일, 내가 하고 싶은 일이, 혼자 잘 사는 것이 아닌 사회가 필요로 하고 해가 되지 않는 일이어야 한다!
그러했기에, 그는 세습에 반대했고, 은퇴한 뒤 그가 성공으로 이끈 회사에서 60억원 가량의 전별금을 준다니, 턱하니 대학에 기부했다. 별 것 아닌 것 같지만, 그것은 장삼이사가 쉬이 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아마도 그 역시 낙망과 좌절의 때를 겪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을 것이다.
이미 말해보자. 행복해지기 위해 일한다. 그 행복. 혼자서는 행복해질 수 없다. 누구나 사회 속에서 행동하고, 살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모든 것은 모든 것에 잇닿아 있고 관계를 맺는다. 일은 결국 그러한 것이다. 혼자서 일할 수는 없다. 어떤 식으로든 관계를 맺고 일은 이뤄진다. 그는 또 이렇게 말한다. “땀 흘려 번 돈 만이 진짜 이익이다.” 그건, 머리보다 몸으로 밀어붙여서 일하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의 금융공학, 즉 잔머리 굴려서 제로섬 게임을 하는 것을 싫어한 이유다. 금융공학을 폄하하고 싶진 않지만, 금융공학이라는 말 뒤에 똬리를 튼 탐욕을 빗댄 것이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일은 생활수단이기도 하지만, 이나모리상에겐 영혼을 닦기 위한 수양의 장이라는 의미가 강하다. 경영자로서 더 많은 세월을 산 그는 돈으로 사람을 움직이기보다, 마음 깊은 곳에서 타오르는 동기를 부여하고 인격이 중요하다고 봤다. 지금-여기의 많은 경영자들의 행태와 다른 포인트다. 그래서 성과급보다 작은 명예로 일하는 이들의 자존감과 일하는 이유를 부여했다. 사람이 늘 성과를 낼 수 있는 것도 아니요, 성과를 내지 못할 때 대우해주지 않으면 가라앉는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함께, 꾸준히, 그렇게 가야한다는 것. 그는 그런 경영자였고, 일을 하도록 유도했다.
그래서, 그가 경영했던 교세라의 경영이념은 이랬다. ‘전 직원의 정신적, 물질적 행복을 추구함과 동시에 인류 사회의 진보와 발전에 공헌하는 것.’ 즉, 경천애인(敬天愛人). 요즘 같은 엄혹한 시대에 뭔 귀신 씨나락 까먹는 소리라고 읊어댈지 몰라도, 결국 그것이 근본이고, 그가 존경받는 이유라고 나는 생각한다. 기업가로서 사회와의 접점, 혹은 사회적 책임을 놓치지 않았기에, 그는 오래 성공했고, 많은 이들의 존경을 받는 것이다.
힘들고 신산한 시절이다. 하지만, 그것은 또한 우리가 견고하고 숙련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이나모리상도 그런 시절을 겪으며 자신의 철학을 다져갔다. 시련을 참고 견디는 힘이 커졌고, 일을 왜 하는지, 고민하면서 인격을 수양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동기를 찾았다. 그의 일하는 철학은 '유의(有意)주의'라는 말로 대변된다. 의식하고 집중하는 것, 즉 뜻을 가지고 뜻을 기울일 것을 요구하는 것.
그래서, 사유하는 것이 맞다. 일을 하는 이유. 이나모리상의 ‘慈本主義’는 ‘공생주의’와도 통한다. 주변과 성과를 나누는 기쁨을 가지는 것. 그것은 질이 다른 기쁨이자, 아름다운 기쁨이다. 기존의 자본주의는 승자가 모든 것을 독식하며, 경쟁에서 이길 것만을 강요하지만, 이나모리상은 그렇게 하지 않았다. 그러기에 일을 하는 회사도 단순히 먹고살기 위해 월급을 받는 곳이 아니었다. 나를 알리고 다른 사람들과 손을 잡고 나누는 무대였다.
그는 행복한 삶을 이리 말한다. “돈이 많아도 친구가 없으면 외롭고, 자격증이 많은 것도 아니요, 가방끈이 긴 것도 아닌, 나이 들어서도 계속 일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행복한 삶이 아닐까.” 그것은 일하면서 사유하지 않으면 곤란한 것이다. 그러니까, 이 책의 행간에는 그 사유할 것을 권하는 흔적이 묻어있다. 내가 하는 일이, 하고 싶은 일이, 사회와 어떤 접점을 이루고 혼자 아닌 어떻게 함께 잘 살 것인가. 나는 일한다, 고로 존재한다. 일에 대처하는 우리들의 자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