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트] 기사단장 죽이기 - 전2권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홍은주 옮김 / 문학동네 / 2017년 7월
평점 :
일본을 넘어 이제는 전세계적으로 유명새를 타고 있는 작가, 최근 들어 매해마다 노벨 문학상에 노미네이트되는 작가, 신작이 나올때 마다 출판계와 서점가를 둘러싼 마치 전쟁이라도 한판 치를듯한 부산함속에 독자들의 애잔한 기대감을 가지게 하는 작가... 그는 다름아닌 바로 일본를 대표하는 무라카미 하루키입니다. 이미 국내에서도 매니아층을 갖고 있을 정도로 초판 예약분만 보더라도 까무러칠 정도로 (정말 개인적으로 이번 작품도 30만부 초판본이 거덜날 정도였다니. 국내에 이렇게 많은 책읽는 사람들이 있기나 하는가에 의구심이 들기도 하죠. 그 만큼 하루키의 열풍은 매번 신작이 나올때 마다 국내 출판계를 들었다놨다 하는 것 같습니다)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작가이죠. 그의 대표작이었던『1Q84』이후 제대로된 장편을 접하지 못했던 참에 이번에 세상밖으로 나온 <기사단장 죽이기> 는 상당한 힘으로 독자들을 밀어붙일 것 같은 예감이 먼저 들게 합니다. 왠지『1Q84』 의 마무리가 석연찮았다는 점 그리고 또 왠지 그 후속 이야기가 존재할거라는 강한 믿음 아닌 믿음을 갖고 있는 독자들이라면 이번 <기사단장 죽이기> 를 통해서 일말의 보상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라는 조심스러운 의견도 개진해보게 됩니다.
<기사단장 죽이기> 는 그야말로 무라카미 하루키의 짙은 필체와 메타포가 담겨져 있는 작품으로 남을 것 같습니다. 현실세계와 가상세계의 교묘한 경계선상 (이미 『1Q84』에서 보왔듯이 그 경계가 허물어지지 않으면서도 그리고 전혀 어색함이나 인공적인 터치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번 작품도 절묘하게 그 경계선상에서 아리아를 연주하듯이 매끄럽게 이어진다는 것이죠) 에서 독자들의 시선을 꽁꽁 매어 놓고 있다는 것입니다. 여기에 하루키만의 특색 있고 냄새가 짙은 서사적인 표현들은 가히 절정에 다다른 예술인의 풍미마져 느끼게 하네요. 그림속의 등장인물들이 방울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현실세계로 뿅하고 나타난다는 다소 황당스러운 컨셉트를 가지고 있지만 왠지 이런 황당스러운 면이 작품을 읽어 나가면서 전혀 황당스럽게 다가온다거나 머리속에 각인되지 않는다는 점, 이 역시 하루키만이 그려낼 수 있는 그림이기도 하겠다는 생각을 자연스럽게 가지게 됩니다. 모짜르트의 <돈 조바니> 오페라와 <기사단장 죽이기> 라는 가상의 그림을 절묘하게 연결하여 내러티브 전반을 감싸는 판타스틱한 배경을 선사하는 것 같지만 사실은 그 연결매체는 다름 아닌 주인공 '나' (사실 작품의 결말 부분까지 단 한번도 정확한 주인공의 이름을 모르고 막을 내린다는 점이 다소 아쉽기는 하죠) 라는 점을 확실하게 밝혀두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자꾸 그 자체를 망각할 수 밖에 없게 만드는 하루키의 다양한 설정들이 독자들로 하여금 현실과 가상이라는 두 영역을 마음 껏 여행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동력원으로 자리잡고 있기도 합니다. 여기에 하루키의 전매 특허이기도 한 다양한 음악원들이 맛깔스럽게 군데 군데 양념을 쳐대고 있죠.『1Q84』에서 우리는 야냐체크의 '신포니에타' 라는 장중하면서도 딱 작품에 어울리는 음악원을 선물받았다면 이번 작품속에는 그야말로 하루키의 뮤직룸을 통채로 접한다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1980년대 유행했던 팝에서도 부터 재즈, 클래식, 오페라에 이르기까지 정말 다양한 장르의 음악원들을 접하게 되고 동시에 필히 한번은 들어보고 싶다는 유혹을 뿌리칠 수 없게 하죠. 그리고 작품의 마지막 장을 덮고 일일이 메모해 두었던 음악원들을 들어보면 또 다른 느낌이 와닿는다는 것을 알게됩니다. 음악원들이 등장하는 배경 배경 그 하나 하나가 자연스럽게 머리속에 그려지면서 정말 적재적소에 딱 맞는 음악들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게 하죠. 아마도 이번 작품을 더 돋보이기에 하는 설정들로 가히 하루키일 수 밖에 없겠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하네요.
이번 작품이 뮤직룸이라는 소품 하나로 끝난다면 왠지 서운한 감정이 남는걸, 걱정이라도 했듯이 하루키는 또 하나의 맛깔스러운 양념을 뿌려대고 있습니다. 발랄라이카 칵테일을 비롯한 소소하지만 다양한 음식의 세계와 더불어 재규어로 대표되는 자동차에 대한 듬뿍어린 애정을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죠. 여기에 등장인물들이 걸치고 있는 의상, 신발, 악세사리등등 정말 다양한 세계 맛집의 양념들은 한번에 다 맛볼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디테일과 리얼함이 어쩌면 독자들로 하여금 현실과 가상의 경계선에 있는 자체를 망각시키는 교묘한 설정으로 비쳐질 수 도 있지만 또 하나 이번 작품을 대하는 작은 재미이기도 합니다. 물론 그림에 대한 부분을 빼놓을 수 가 없죠. 아마다 도모히코의 미발표작 <기사단장 죽이기> 이라는 그림에서 시작되어 마무리되는 과정에서 독자들은 마치 그 그림을 현장에서 리얼타임으로 보는 듯한 착각 아닌 착각이 들 정도로 하루키의 서사들은 가히 압도적일 만큼 디테일하고 리얼하다는 것입니다. 물론 반복적인 암시들이 그런 착시를 보여줄 수 도 있겠지만 그림에 대해서 문외한인 독자들이라도 <기사단장 죽이기> 라는 그림을 금새 머리속에 떠올릴 수 있을 만큼 강인한 느낌을 받게 하는 서사들이 참 가슴에 와닿는다는 것입니다. 마치 지금 당장이라도 그대로 화폭에 옮길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들정도니까요. 이렇듯 이번 작품속에는 하루키 자신이 현현한 이데아 (작품속 주인공 '나' 라고 봐야할 듯 한데요. 물론 '멘시키'라고 봐도 무방하지 않을 듯 합니다) 같은 설정들이 실생활과 더불어 흩어져 있기도 합니다. 난징학살에 대한 사유와 그에 대한 반성과 사죄라는 어두운 역사적인 담론도 담겨져 있고 '긴얼굴'의 메타포와 나누는 소소하면서도 유머스러운 장면들고 포착되고 있죠. 이러한 모든 설정들과 사유들이 하루키 자신의 이데아와 메타포를 담고 있다고 보면 너무 나간 주장일수도 있겠지만 왠지 자꾸 그런 생각을 갖게 하는 작품이기도 합니다.
자꾸 전작인『1Q84』를 떠올리면서 비교되는 부분이 생기는데요. (당연히 그럼 느낌을 받게 됩니다.『색체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를 대하면서 자연스럽게『노르웨이의 숲』을 떠올리듯 말이죠)『1Q84』가 현실과 가상이라는 경계선에서 다소 가상쪽으로 옮겨간 몽환적인 분위기였다면 이번 작품은 적확하게 그 경계선상에서 한치의 오차도 없이 벗어나지 않고 있다는 점을 느끼게 된다는 것입니다. 비록 황당한 소재와 컨셉트를 가지고 있지만 왠지 그게 가상의 세계가 아님을 느끼게 하면서 동시에 현실의 세계임도 증명할 수 없는 그런 묘한 입장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환상리얼리즘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지 않을까 싶네요. 이는 현실의 세계와 가상의 세계가 줄다리기를 하는 과정에서 어느쪽으로 기울어지면 안되는 그 균형점을 정확하게 제시하고 그 균형점속을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의 또 다른 도피처 (이것이 이데아일 수 도 있고 메타포일 수도 있겠지만요 그렇다고 그게 중요한 것은 아닐 것 입니다) 를 상징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라는 생각도 가져보게 합니다. 정말 오랬만에 하루키다운 작품을 대면하게 되었고 다시한번 잊혀지지 않는 작품을 하나 더 간직하게 되었다는 느낌을 받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