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총 균 쇠 (무선 제작) - 무기.병균.금속은 인류의 운명을 어떻게 바꿨는가, 개정증보판
제레드 다이아몬드 지음, 김진준 옮김 / 문학사상 / 200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기나긴 지구 역사중 가장 획기적인 일대의 사건이라면 과연 무엇을 손에 꼽을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우리는 서슴없이
인류의 탄생과 그 진화를 가장 먼저 떠올릴 것이다. 그만큼 인류는 지구상 존재했었고 지금까지도 존재하고 있는 모든
생명종 중에서 가장 유니크한 존재(만야 창조론이나 지적설계론을 숭배하는 입장에서 보더라도 인류의 탄생과 진화는 예측불허하고 통제불가능한 면을 보이기 때문이다)임에 틀림없는 것이다(물론 이러한 발상자체가 극히 인류의 입장에서 하는 말이지만) 특히 이러한 사유의 중심에는 문화 내지는 문명이라는 인간만의 독특한 패러다임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문명이라는 메타포는 인류와 그 외 존재를 구분는 잣대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인류라는 동종을 구분하는 또 하나의 척도로 자리매김 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잣대의 표상인 속칭 문명인(문화인)과 미개인(야만인)이라는 이분법적 사유는 인류가 첫발을 내리고 어느정도 진일보한 시점부터 지금 현대에 이르기까지 뿌리 깊숙히 각인되어 있는 유전자와 같은 역활을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분의 프리즘은 다름 아닌 인종적 차이라는 유전적인 요인으로 생각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논거들은 중세유럽이 신세계를 짓밣고 아프리카대륙을 식민지화하는 제국주의 발호의 근거를 제공했다. 지금이야 이러한 인종적 유전적인 프리즘이 설 곳이 없지만 아직도 그 옛날의 향수를 그리워 하는 근본주의자들의 터무니 없는 망언까지는 잠재우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그럼 지금 현재 객관적인 면(?)에서 삶의 질이나 경제적 풍요로움이 떨어지는 소위 제3세계에 속한 사람들은 누구나 한번쯤은 왜 우리는 이렇게 살고 있을까? 정말 그네들이 말하는 인종적인 차이로 인해 부의 획득과 그 영예를 누를수 없는 유전학적으로 인종적인 열등인자를 타고 난 것일까? 라는 생각과 더불어 저들은 왜 어떻게 지금의 부를 누리고 있는 것일까? 어디에서 이러한 차이가 생기고 점차로 더 크게 벌어지게 된 것일까? 라는 의구심을 가지게 마련이다. 물론 이러한 의문점에 대한 그동안 여러 분야의 학자들이 나름의 원인을 분석하고 결과를 제시해 온 것도 사실이지만 왠지 석연치 못한 구석이 남아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인류 문명의 수수께끼는 여전히 해답을 찾지 못하고 각종 개연성과 연관되어 회자될 뿐이었다.
세계적인 석학 재레드 다이아몬드의 <총,균,쇠>는 바로 인류 문명의 수수께끼를 새로운 시각에서 풀어낸 명작이라고 단언해도 크게 무리 없을 만큼의 방대한 인류의 역사와 문명의 발달사를 다루고 있는 저서이다. 저자는 무엇보다 탁상공론이나 이론으로 무장된 여타의 학자들의 사유보다는 현장에서 직접 경험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추하고 고고학, 진화생물학, 생물지리학등의 해박한 지식을 동원하여 고증한 사례와 증거를 통해 어떤 민족들은 정복과 지배의 대상으로 전락하고 아메리카대륙과 오세아니아대륙의 원주민들은 유라이시아인들에게 도태되고 말았는지 왜 각 대륙들마다 문명의 발달 속도에 차이가 발생했는지 인간 사회의 다양한 문명이 어디서 비롯되는지를 명쾌하게 분석했다는 측면에서 상당히 방대한 분량이지만 독자들로 하여금 한시라도 책에서 눈을 떼지 못하게 한다. 특히 그동안 왜곡된 인종족,유전학적,민족적 차이를 다룬 이론에 대해 지리학, 식물학, 동물학, 고고학, 역사학에 의거한 완벽한 방어 이론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인류의 다양성은 인종,민족의 지력의 차이가 아니라 역사적 과정이 결과물뿐이라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책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무기와 병원균 및 기술을 대표되는 항목들이 대륙별로 문명의 차이를 가져왔음은 누구나 인지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각각의 요소들이 문명의 발전 과정을 좌지우지하게 된 그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서 우리는 심도깊게 생각해보질 못했다. 단지 이러한 도구과 기술을 먼저 습득하고 자기화했던 인종이나 민족들이 그러하지 못했던 민족을 지배해왔던 것이고 지금 그러한 격차를 만들었다는 정도로만 인지하고 있을 뿐이지 근본적으로 왜 그러한 도구와 기술들이 유독 유라시아대륙을 중심으로 존재했는가에 대해선 속시원한 해답을 찾지 못했던 것이다. 저자는 이러한 근원적인 물음에 대한 해답으로 식량생산 즉 농경과 수렵채집에서 시작된다고 보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단지 농경정주생활을 먼저 시작했다고 해서 오늘날과 같은 결과가 초래된 것이 아니라 각 대륙 저마다 가지고 있었던 지리환경적인 차이가 결국 총,균,쇠라는 구체적인 요인으로 들어났을 뿐이다라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지리환경적인 요인 인류 문명의 발달과 차이를 좌지우지 하는 그 결정적인 원인을 제공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초기 농경생활을 가능케 했던 식물의 작물화와 야생동물의 가축화라는 문제도 유라시아대륙이 나머지 대륙보다 생물의 다양성이 풍부했을 뿐이고 풍부한 다양성속에서 작물화 가축화될 확률이 높았고 이러한 발판으로 인구밀도가 높아지고 발명이나 혁신의 압력이 높아졌고 자연스레 경쟁에 의한 기술이 발달될 수 밖에 없었다는 점을 다양한 방면으로 확인시켜주고
있는 것이다.
<총,균,쇠>는 전반적으로 인류의 문명사를 한눈에 리뷰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왜 저마다(대륙별, 인종별, 민족별) 문명의 발달과 쇠퇴 그리고 차이라는 개념이 성립될 수 있었던 그 근원적인 원인에 대해서 조목조목 정리하여 서술함으로써 인류문명사를 제대로 인식할 수 잇는 장을 마련해주는 보기 드믄 역작이라고 해야할 것이다. 무엇보다 농경사회가 시작되었던 시점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각 대륙별로 문명의 흐름을 야기한 원인들에 대한 심도 깊은 고찰은 독자들로 하여금 절로 수긍케 하는 부분들의 연속이다. 특히 문자발명과 관련되어 <한글>에 대한 서술부분에서 저자의 한국에 대한 관심도와 이해도가 새삼 높다는 부분은 이후의 증보판에 서술된 '일본인은 어디서 왔는가'라는 논문에서 여실없이 보여주고 있어 국내 독자들의 눈을 즐겁게 하기도 한다. 물로 한국인이나 일본인 입장에서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답은 영원히 맞주보며 걸어가는 철길의 평행선같은 역활을 부여하지만 저자의 시각과 학문적인 입장의 견지는 일본인의 입장에서 본다면 많은 서운함을 안겨주는 결과라는 입장에서 저자의 객관적인 시각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단지 한사군이 한반도내에 성립되었다라는 부문은 아무래도 저자의 인식부족보다는 국내 강단 사학자들의 반성없는 결실의 결과라고 봐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저자는 현대의 이러한 차이들은 각 대륙별로 지리환경적인 차이가 존재했고 각 대륙속에 속한 초기 인류부터 이러한 환경적 차이를 최대한 활용한 결과라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