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국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1
가와바타 야스나리 지음, 유숙자 옮김 / 민음사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계절에 안성맞춤인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설국> 을 대면하게 되네요. 생각만해도 등골까지 시원해지는 제목에서 부터말이죠. 진작부터 읽어봐야지 했지만 사실 확실한 동기부여가 없었던 것 같습니다. 일단 오만한 반일주의에서 오는 일종의 자기 합리화라는 자기방어가 그동안 깊게 장벽을 치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친한파인 다카노 가즈아키의 작품들은 빼놓지 않고 읽었고 그 정도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 색깔성이 옅은 미야베 미유키나 히가시노 게이고의 작품들을 수 없이 섭렵했지만 나쓰메 소시키를 비롯해서 왠지 일제강점기에 활동했던 작가들의 작품에는 선듯 손길이 닿지 않는 이유가 아닐까라는 못된 생각이 들어차 있었던 거네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학작품이란 그 어떠한 편견을 가지고 대해서는 안된다는 지극히 평범한 상식적인 사고로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설국> 을 어렵사리 손에 들게 되었습니다.


          우선 겨울이라는 계절하면 가장 먼저 뇌리를 스치는 것은 '눈(雪)' 일 것입니다. 적어도 열에 아홉은 겨울하면 '눈' 이 조건반사적으로 떠오르듯이 겨울과 눈은 그야말로 뗄레야 뗄수 없는 존재감을 갖고 있죠. 여기에 한발 더 나아가서 겨울은 '눈' 의 순백만큼 하얀 이미지를 동반하고 있습니다. 이렇다 보니 하얗다라는 색깔은 자연스럽게 '겨울 빛'이라는 대표성과 일종의 정체성을 지니고 있기도 하죠. 좀 역설적이긴 하지만 하얗다는 겨울의 색은 체감적으로 춥다라는 느낌보다 왠지 모를 포근하다는 느낌을 더 강하게 내포하고 있기도 하죠. 봄, 여름, 가을 대표하는 빛깔들과는 사뭇다르게 그 계절 고유의 체감을 느끼게 하지 못하는 역설의 어젠다를 가지고 있는 아주 묘한 빛깔이라고 해도 무방할 것입니다. 겨울은 삭막하고 썰렁하고 세상의 모든 것이 도태되고 그로인해 모든 것을 얼어붙게 한다. 그러나 겨울을 대표하는 색깔인 흰색은 이런 부정적인 이미지보다 열정의 출발음 품고 있는 순수, 세상을 감싸주는 포근함을 먼저 선사하고 있기도 합니다. 그래서 겨울은 우리 피부가 느끼는 계절적인 요인보다 우리의 마음이 느끼는 감성적인 요인이 훨씬 더 큰 계절임에 틀림없는것 같습니다. 이렇듯 겨울과 눈은 다양한 문학작품속에서 다양한 빛깔과 온도로 재 탄생하게 됩니다. 그럼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겨울은 어떤 빛일까요.


          "국경의 긴 터널을 빠져나오자, 눈의 고장이었다. 밤의 밑바닥이 하애졌다. 신호소에 기차가 멈춰 섰다."  이 구절은 가와바타 야스나리라는 존재를 알지 못해도 그리고 그의 작품을 읽어보지 못한 독자들이라도 한번쯤은 들어봤을 정도로 세인들에게 회자된 문구이죠. 어쩌면 이 한 구절이야말로 <설국> 이 표방하는 작품세계를 적나라하게 서사하고 있다고 해도 크게 틀린말은 아닐 것입니다. 그 정도 강한 임펙트를 주면서 동시에 이 처럼 한 계절의 잘 표현할 수 있을까...  먹먹하고 잔잔한 여운을 남겨주는 구절이기도 합니다. 겨울이라는 계절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작품중에 하나로  겨울과 눈을 이 만큼 서정적인 언어로 밑바닥까지 깔아놓기도 힘들 만큼 겨울애찬가라고 해도 틀린 표현은 아니겠죠.    


          남자 주인공 시마무라는 전형적인 모던보이의 역을 맡고 있는데요. 무위도식에 자연을 벗삼아 전국방방곳곳의 명소를 유람하면서 게이샤 꼬드기에 명수이자 딴에는 일본전통무용인 가부키를 비롯해서 서양무용에 까지 널리 섭렵한 그야말로 왠만한 게이샤보다 높은 안목을 가진 인물로 묘사되고 있습니다. 온천장 즉 '눈의 고장' (정확한 지명은 언급 안되고 있죠 대충 니가타현의 어느 산골정도랄까요) 에서 게이샤로 삶의 터전을 재출발하는 여자 주인공 고마코와의 첫 만남에서 부터 날리는 시마무라의 작업멘트는 예나 지금이나 동서를 떠나서 그야말로 절로 웃음짓게 하는 세계공통적인 표현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가와바타 야스나리는 간결하면서도 은은한 여운을 남기는 문체를 선보이면서 앞으로 전개될 내러티브보다 오히려 이러한 인물묘사와 서사들이 왠지 더 끌리게 하네요. 출발부터 로멘스가 갖추어야할 웬만한 설정(199일만의 재회, 초여름에서 겨울의  한복판으로의 계절의 변화, 그리고 이러한 시간의 흐름과 역행하여 남녀 서로에게 쌓여가는 그림움등) 등을 큰 무리 없이(지금의 시각으로 볼때) 술에 술탄듯이 자연스럽게 끌어가고 있습니다. 중간 중간 남녀 주인공들이 서로를 향해 날리는 멘트 역시 현시대의 시각으로 봐서도 전혀 어슬프지 않게 다가오고요. 그런데 말이죠 내러티브를 따라가면 또 다른 묘한 점이 눈에 들어오는데요. 웬지 기행문이나 여행안내서처럼 눈의 고장에 대한 자연환경과 그와 더불어 온천장을 비롯한 마을전체에 대한 묘사들이 마치 한폭의 수체화를 보는듯한 느낌으로 다가옵니다. 여기에 개나 어린애들 온천의 여급들의 꿈임없는 모습들이 한편의 서정시를 보는 듯한 느낌을 자아내게 해서 정겹게 다가오기도 하네요.   


          물론 이번 작품을 대하면서 크게 기대를 하지는 않았지만 역시나 심심하게 2% 부족한 갈무리로 종지부를 찍네요.(대게의 경우 클래식분야에서 노벨상을 수상한 작품들이 대동소이하지만 스토리에 대한 비중은 거의 없다고 해도 무방합니다) 아마도 현대 일본소설에 길들어져 있는 저 같은 독자들에겐 이건 모지? 라는 의아심을 갖게 하겠지만 아마도 이러한 부분이 클래식 버전의 또 다른 묘미일 수 도 있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겉모습은 모던보이 이지만 막상 시마무라 저변에 깔려있는 감정적인 사유들은 '헛수고' 즉 허무주의 그 자체를 고스란히 보여 주고 있습니다. 여인을 향한 사랑이나 세상을 바라보는 모든 것은 봄이 오면 자연스럽게 녹아드는 눈과 같은 허무감에 비유되는 플롯을 가진 작품이기도 합니다. 작품 전반을 아우르는 계절은 겨울 인데요. '눈의 고장' 에서 겨울을 대표하는 눈은 흰색을 상징하지만 이러한 흰색은 그져 우리들 눈에 보이는 스펙트럼의 일부일뿐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겨울의 빛은 따뜻하고 포근하면서도 투명하고 쓸쓸한 빛깔을 지니고 있었던게 아닐까라는 생각을 갖게 합니다.  "사방의 눈 얼어붙는 소리가 땅속 깊숙이 울릴 듯한 매서운 밤 풍경이었다. 달은 없었다. 거짓말처럼 많은 별은, 올려다보노라니 허무한 속도로 떨어져 내리고 있다고 생각될만큼 선명하게 도드라져 있었다. 별무리가 바로 눈앞에 가득 차면서 하늘은 마침내 머언 밤의 색깔로 깊어졌다." 작품 전체가 뿜어내는 빛깔을 느끼는 것도 좋지만 이렇듯 알퐁스 도데를 보는 듯한 서정적인 서사들은 요즘처럼 삭막함에 익숙해저버린 독자들에겐 쉼터를 제공한다고 해도 무리는 아닐 것입니다. 바로 이런 맛에 고전을 대하게 되고 고전을 사랑하게 되는것 아닐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