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의 힘 - 난세에 깨닫고 기적을 실천하는
김부건 지음 / 부광 / 2017년 3월
평점 :
품절




          헌정사상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고 그 사태의 원인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이와 그런 위인을 목청껏 높이 부르는 지금, 언제부터인가 태극기란 상징이 초라하고 왠지 거북스럽게 느껴지는 현재, '君舟民水' 라는 사자성어가 이처럼 가슴에 와닿은 적이 있어나 되돌아보게 되는 요즘, 혹자는 그야말로 지금의 대한민국이 춘추전국시대에 버금가는 난세라는 표현을 서슴없이 내뱉고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고상하게 맹자의 왕도정치를 논할 필요성도 없이 혼군으로 인한 시민들의 상처는 그 어떠한 위로도 치유될 수 없는 커다란 흠결을 내었고 시민들은 일제히 그런 혼군을 배에서 끌어내렸습니다. 상식과 몰상식이라는 지극히 평범한 가치관의 판단 자체를 유보케 했던 세월 내내 우리는 그야말로 난세라는 거대한 파도속에서 일촉즉발의 세월을 지내왔다 해도 과언은 아닐것입니다. 그리고 대의민주주이라는 시스템의 근간을 뒤흔든 작금의 사태에서 자유로울 시민은 과연 또 얼마나 존재할까라는 자문도 해보게 됩니다. 언제부터인가 우리사회에 불어닥쳤던 인문학 열풍이 사그러들고 눈과 귀를 즐겁게 하는 엔터테이먼트적인 장르로 독자들의 이목을 사로잡을때 다름아닌 우린 난세라는 바다 한복판으로 내몰리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라는 상상아닌 상상을 하게 되네요. 아마도 너무나 단순하고 평범했고 극히 상식적인 메타포를 잊고 살아온 것은 아닌가라는 자책도 같이 곁들이게 되는 요즘입니다.


          이런 시점에서 절묘하다면 절묘할 수 도 있는 그래서 사막 한가운데서 오아시스를 발견한 것 같은 책 한권을 우연찮게 대면하게 되었습니다. 김부건의 <동양고전의 힘> 이라는 책인데요. 먼저  책 제목만을 놓고 보면 다소 식상하게 다가올 여지도 충분히 있지만  -난세를 깨닫고 기적을 실천한다- 라는 부제에 눈길이 꽂입니다. 그리고 저자의 약력 또한 주목이 가는데요. 기존 인문학 특히 동양고전과 관련된 서적들은 대부분의 저자들이 이분야의 전공자라 사실 몇권만 읽어봐도 그게 그것 같고 , 비슷비슷한 내용들로 중첩되다보니 일반독자들이 동장고전에 접근하기가 그리 녹녹치 않았다는 점 역시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었죠. 그런데 이번 책의 저자는 인문학 특히 동양학과는 전혀 연관성 없는 이력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 왠지 더 독자들로 하여금 주목하게 만듭니다. 그 만큼 객관성을 갖추고 있다는 반증이 될 수 있다는 것이죠. 마치 헌정 최초 초유의 사태가 한걸음 뒤에서 살펴 보았다면... 이라는 아쉬움이 남듯이 비전공자의 시각에 비친 동양고전의 가치가 제대로된 힘을 느끼게 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크게 작용한다는 것입니다.


          무엇보다 이공계 기술전문가답게 구구절절한 서사의 향연보다는 일목요연하면서도 간결하게 동양고전의 의미를 전달하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띄입니다 (어찌보면 이런 단순한 서사가 그 동안 애매모호하고 난해한 서사에 비해서 그 격(?)은 떨어진다고 할 수 있으나 일반 독자들의 눈에 정확하게 들어온다는 점에서 설득력이 한 층 더 커지는 효과를 가져다 주기도 합니다) . 한 쳅터가 비록 몇페이지에 지나지 않는 구성을 가지고 있지만 그 짧은 공간에 담아내고 있는 뜻과 독자들에게 전달하는 의미는 오히려 더 효과적으로 다가온다고 할 수 있겠네요. 여기에 동양고전에서 겪을 수 있는 거리감을 제거하기 위해 저자의 경험담 (물론 이러한 경험담이라는 것은 엔지니어의 시각으로 바라보는 우리 사회의 병폐를 애리하게 해부하고 있다는 느낌을 주네요) 과 자기계발서를 보는 듯한 명쾌한 해석으로 인해 전혀 지루한 느낌을 주지 않고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팁으로 각 챕터 마다 짧막하게나마 '실전포인트' 라는 핵심코어를 선정하여 챕터와 챕터간의 구분을 명확하게 해준다는 장점이 또한 있습니다. 전공자가 아닌 이상 동양고전이 던져주는 핵심적인 의미를 이해하기엔 어쩌면 이러한 방식이 더 울림이 클 것 같다는 느낌도 강하게 들고요.


          물론 그 동안 우리 출판계에서 이런 동양고전 관련 서적들과 자기개발서적은 이미 많이 출간되었고 많은 독자들에게 전달해주는 메세지 역시 명확했던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독자들이 동양고전이라는 선입관과 자기개발서라는 한계성에 끝까지 완독하는 경우는 미비했으리라 생각되네요. 이번 <동양고전의 힘> 은 엔지니어출신의 저자라는 특색와 와울러 자기개발서와 유사한 스트럭쳐에다 저자의 경험담등이 짧지만 깊은 임펙트를 주고 있기에 가독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여기에 인문학 전공자가 아닌 이공게 엔지니어의 시각에 비쳐진 동양고전의 해석이라는 점이 더 눈길을 끌고 있다는 것이죠. 저자의 표현대로 지금 우리 시민들은 그야말로 난세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 끝이 어디일지 모르는 험한 파도의 한 복판에서 우리는 멀리 갈 필요 없이 우리의 가치관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동양고전에서 어쩌면 그 해답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이런 의미에서 이번 <동양고전의 힘> 은 나름의 이정표를 독자들에게 제시해주고 있는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