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당 밀리언셀러 클럽 147
야쿠마루 가쿠 지음, 박춘상 옮김 / 황금가지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악당은 자신이 빼앗은 만큼 무언가를 잃는다는 것도 잘 알고, 그래도 기어코 나쁜 짓을 저지르고 마는 인간 그게 바로 악당이다" 작중 나오는 멘트인데요. 악당의 정의를 이처럼 단순화하면서 머리속에 각인되게 서사한 몇 안되는 명언같다는 생각이 들게 만듭니다. 이런 의미에서 볼때 악당이라는 막연하게 엄청난 나쁜 짓을 하고 상대방에게 고통을 안겨주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생각하고 있는 그런 악당이 아니게 되는데요. 좀더 확장적으로 범위를 넓혀가게 되면 많은 사람들이 악당이라는 범주에서 결코 자신만만하다고 할 수 없을 만큼 마음속에 걸리는 언행을 상대방에게 부지불식간에 해 오면서 살아가고 있다는 생각도 들게 합니다. 야쿠마루 가쿠의 <악당> 이라는 작품은 범죄가 시나간 자리에 남는 상처는 얼마나 깊은가? 그리고 피해자와 가해자 사이의 갈등과 부조리를 조명한 사회파 미스테리의 일종으로 적당한 긴장감과 속도감을 가지고 있는 범죄심리스릴러계열의 작품으로 인식할 수 있겠는데요. 그동안 살인범죄와 관련해서 피해자측과 가해자측의 심리적인 상태와 이를 기반으로 범사회적으로 공감할 수 있게 하는 태제를 형성하는 작품들이 왕왕 있었지만 이번 작품처럼 그 심리적인 상태를 가감없이 적나라하면서 솔직하게 서사한 작품은 그다지 없었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야쿠마루 가쿠는 작품의 주 대상을 이들 이해당사자들의 심리상태에 초점을 맞추어 접근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단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싶어 집니다.


          작가가 작정하고 선보이는 작품인 만큼 이번 작품에 무슨 그럴싸한 추리적 사고나 이를 교모하게 뒷받침 해야 할 다양한 분야의 설정들 그리고 극적이고 감동적인 하이라이트를 구성하기 위한 매력적인 반전등 뭔가 작품의 품격을 높이고 독자들의 흡인력을 고조시키기 위한 추리스릴러의 정석같은 스트럭쳐를 전혀 볼 수 없다는 점, 즉 아예 이러한 구조적인 틀 속에서 작품을 끌어가겠다는 생각자체 없이 이번 작품을 선보인다는 점에서 사뭇 신선하다는 느낌마저 자아내게 하는 작품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이번 작품이 지루하고 왠지 흡인력이나 설득력에서 뒤쳐지는다는 느낌은 전혀 받을 수 없다는 것인데요. 어쩌면 왠만한 추리스릴러작품 보다 그 속도감과 긴장감이 더 높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정도로 한번 손에 잡으면 시간 가는줄 모르고 작품에 몰입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바로 이러한 몰입감을 다름아닌 야쿠마루 가쿠는 등장인물들 하나하나의 심리적인 묘사와 행동의 서사를 통해서 디테일 하면서도 리얼리티하게 표현하고 있다는 점이 그 어떠한 무대적인 장치 보다 독자들의 눈과 마음을 사로잡게 한다는 것입니다.


          특히 이번 작품속에는 묘한 매력이 존재하고 있는데요. 피해자의 대변인인 사에키 슈이치와 가해자측의 대명사로 등장하는 사카가미를 통해서 피해자와 가해자가 갖고 있는 심리적인 사고, 그리고 그런 사고가 어떻게 가능할까라는 부분에 대한 가감없는 리얼리티를 통해서 양자구도의 멋진 심리적 스리럴를 만들어 내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 심리적인 서사들이 정말 현실성이 있어 두 진영을 대변하는 인물과 맞딱뜨릴때 마다 독자들의 감정 역시 롤러코스터를 타는 것 처럼 널뛰기를 한다는 것인데요. 왠만한 작품을 통해서 느낄 수 없는 감정이입이 던져 주는 충격파의 파고가 상당히 강하게 뇌리에 남게되는 작품입니다. 서두에서도 말했듯이 이런류의 작품은 히가시노 게이고의 <방황하는 칼날> 이나 미야베 미유키의 작품들속에서 한두번쯤은 경험을 했지만, 사실 이번 야쿠마루 가쿠의 작품은 또 다른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고 보입니다. 히가시노 게이고나 미야베 미유키의 경우 이런 양측의 구도를 범사회적 공감대라는 다소 거시적인 차원에서 접근하면서 미시적인 개개인의 심리상태로 좁혀가는 면을 보여주죠. 하지만 야쿠마루 가쿠의 <악당> 이라는 작품속에는 범사회적 범도덕적등의 거시적인 패러다임이나 태제보다는 피해자와 가해자 양측의 극히 개인적인 심리상태를 중심으로 포커스를 맞추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렇기에 이번 작품이 어떠한 사회적인 교육이나 도덕적인 교화를 아우라로 깔아놓는다는 느낌보다 누구나 그 입장에 서게 되면 그럴 수 밖에 없다는 당위성 아닌 당위성을 느끼게 하면서 자신과 반대편에 처하게 되는 이들의 심리적인 상태도 절로(많은 거부감이나 왜곡 없이) 받아들이게 되는 테제를 갖게 된다는 점에서 그야말로 신의 한수이지 않나라는 생각을 갖게 됩니다. 굳이 거시적인 접근에서 필요한 인간과 인간 그리고 인간과 사회간의 각종 연결고리들의 관계성을 삭뚝 잘라버리고 단순하게 인간과 인간 그 자체의 상호간의 심리상태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 한층 더 흡인력을 배가 시키는 구조였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게 되네요.


          어느 누구든 그 극단적인 상태나 그 입장에 서보지 않는 이상 그러한 극단적인 선택을 한 이들의 심리적인 상태를 이해한다는 자체가 난센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저 그런 입에 바른 소리내지는 영혼없는 위로의 멘트라는 것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야구마루 가쿠의 이번 작품은 왠지 모르게 독자들로 하여금 양측의 극단적인 면에 절로 녹아들게 하는 묘한 마력을 가진 작품이라는 거죠. 그 만큼 야구마루 가쿠의 심리적 상태의 서사와 태제들이 극히 개인성을 내포하면서도 동시에 범공감대를 형성하기 때문이죠. 작가는 이러한 개인들의 심리태제를 모아모아 하나의 발전된 단계의 사회심리태제로 격상시킬 의도를 결코 내비치지도 않는다점이 상당히 마음에 와닿는데요. 개개인의 심리적인 판단에 정, 반 이라는 이분법적인 판단이나 판결보다는 있는 그 자체로 독자들의 판단에 맡겨둔다는 점이 어찌보면 다소 도덕적으로 불순하게 느껴질 수 도 있겠지만 나름의 사유는 충분히 전달되고 있다는 점이 이번 작품의 백미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면에서 이번 작품은 범죄 피해자와 가해자의 심리상태를 다룬 장르에서 오래토록 회자될 작품이지 않을까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