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환화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54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민경욱 옮김 / 비채 / 201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          매번 히가시노 게이고의 작품을 대하면서 하나의 버릇아닌 버릇이 생긴것 같습니다. 각종 인터넷 서점에서 신간내지는 예약상품으로 소개될 때 마다 신청걸어 놓고 잔뜩 기대하곤 있다가 막상 책이 수중에 들어오면 바로 읽어나가지 못하고 여러독자들의 리뷰가 올라오는 것 보고나서여 행여나 누가 되지는 않을까라는 심정으로 작품을 대면하는 버릇아닌 버릇이 몸에 익숙해진것 같습니다. 아마도 <백야> 라는 작품을 처음으로 접하면서 강한 인상을 받았고 그 이후 전작들을 대면하면서 이런 습관이 생긴것 같네요. 그 만큼 저 개인적으로는 단순한 추리스릴러계열의 작품이라는 느낌보다는 이 양반이 뭔가 어필하는 부분이 내면적으로 상당한 공감의 촉을 자극하지 않았라는 생각이 드네요. 매번 히가시노의 작품을 대할때 느끼는 감정들과 그 이후 오래토록 남는 잔상들은 히가시노가 수려한 문필이나 미사여구, 시각적으로 엔터테이먼트가 강한 요소적 설정, 대놓고 드러내지는 않지만 은근히 뇌리를 자극하는 19금적인 팁 그리고 한없이 독자들의 머리를 혼란케하는 추리의 연속등 뭐 이런 상품적 요소들로 스펙을 장착한 작품이라는 느낌보다는 작품을 읽는 내내 뭔가 내면속에서 내러티브와 더불어 같이 호흡할 수 있으면서 등장인물들과 일체감을 느낄수 있다는 점에서 무엇보다 히가시노 게이고의 작품들은 신선한 충격 그 자체였던 것 같습니다. 뭐 이번 작품 <몽환화> 역시 그런 선입관에 중독된 상태에서 읽게 되었네요.

 

           <몽환화> 는 왠지 제목부터가 심상치 않는데요 초장에 언급되는 프롤로그부터가 이번 작품에 대한 강한 기대감을 독자들에게 선사하면서 긴 항해의 닻을 올리게 하네요. 핏빛이 낭자한 1962년 늦여름에 발생하는 강한 임텍트는 이번 작품을 출발하는 스타트라인에서부터 독자들의 호흡을 단숨에 제압해 버립니다. 자 여기서 눈여겨 볼 점은 그 동안 히가시노 게이고의 작품들 중 초장 스타트 부분에서 작품전체를 지배하는 사건을 전면에 내세우는 경우가 왕왕 있기는 했지만 대게의 경우는 독자들에게 사건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와 더불어 그 사건의 범인을 공개하거나 적어도 최소한의 복선정도는 깔아놓는 경우의 설정이 있었는데 이번 작품은 그 동안의 스트럭쳐와는 사뭇 다르게 출발하네요. 사실 히가시노 게이고는 서두에서 사건의 전말을 공개하는 트릭아닌 트릭을 통해서 독자들을 자신의 페이스로 끌고 가는 기법을 즐겨 사용하죠. 그리고 이런 설정들은 독자들에게 한없는 상상력을 만끽하게 하는 배려도 하는 그런 구조적 내러티브를 선사했는데 이번 작품은 혹여나 하는 독자들의 그러한 일말의 기대를 한꺼번에 잠재워 버립니다. 프롤로그1,2에서 약 40여년이라는 시간차를 가지고 시작되는 스토리는 상당히 충격적인 장면으로 시작하고 바로 그 분위기를 잠재워 버리죠. 그리고 본 게임에 들어가게 되면 앞의 프롤로그를 금새 잊어버리게 하는 전개와 더불어 바로 독자들에게 또 하나의 충격적인 사건을 제시하면서 프롤로그를 기억속 한켠으로 밀어 버립니다(물론 독자들은 자꾸만 앞의 프롤로그의 끈을 놓지 못하지만요). 단지 하나 꽃(정체를 알 수 없는 노란색의 꽃) 과 씨줄과 날줄로 얽혀있는 등장인물들의 과거사와 이미 벌어졌고 지금도 진행되고 있는 사건의 개연성 이것만으로도 왠지 이번 작품은 독자들에게 뭔가 거대한 기대감을 증폭시키기에 무리가 없어 보이는 대목입니다.

 

          내러티브가 중반으로 향해가면서 노란 나팔꽃의 정체가 서서히 윤곽을 들어내고 프롤로그의 두 사건과도 어느 정도 연계성을 들어 내는듯 하지만 독자들은 프롤로그 첫번째 사건에 대한 궁금증을 제어할 수 없어 새로운 인물이나 상황이 돌출할 때 마다 책장을 앞으로 리와인더하게 되는 약간의 초초함을 갖게 합니다.(그러니까 분명이 두 사건이 관련 있는것 같은데 하나는 전혀 감이 안오는 거죠)프롤로그의 두가지 사건중 하나는 초장에 연관되어 있어 어느 정도의 감을 잡아가는데 나머지 하나가 작품을 읽는 내내 찜찜한 뒷맛을 느끼게 하죠. 아마도 독자들 대부분은 이게 대반전의 결정타를 제시해 줄 것이라는 어렴풋한 확신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왠지 마음속 한켠이 개운치 않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독자들은 뒷통수를 맞게 됩니다. 프롤로그1과 2가 같은 맥락의 사건으로 이어질지에 대해선 생각도 못했는데 말이죠. 바로 이것이 바로 히가시노 게이고의 기막힌 설정이라는 생각과 더불어 독자들은 아차하는 순간에 당하게 되어 있는거죠. 이시점에서 아!라는 수긍의 감탄사 한번 내벹게 되는 것이고요. 이후 우리는 히가시노 게이고의 보이지 않는 손에 끌려 내러티브속을 쉼없이 쫒아가게 되는 것이죠. 눈치 빠른 독자들은 그 손의 유혹을 뿌리 칠려고 다양한  인물분석이나 상황분석등을 통해서 나름의 발버둥을 쳐보지만 쉽게 그 손아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결말로 끌려가고 다소 어이없고 맥빠지는 배신감을 느끼다가 역시라는 감탄사를 남발하면서 책장을 접게 됩니다.

           이번 작품에서 유심히 볼 필요가 있는 또 다른 점은 이번 작품이 기존의 히가시노 게이고의 작품이나 유명세를 타는 추리스릴러계통의 작품과 사뭇 다른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는 것입니다. 아마도 이런 스트럭쳐가 이번 작품의 강점이라고 해야 할까요... 대게 추리스릴러소설의 경우 셜록홈즈나 콜롬보반장같은 해결사가 등장합니다. 물론 히가시노 게이고의 작품속에도 상당히 친근한 유가와교수나 가가형사같은 캐리턱가 등장하여 사건을 추리하고 해결하면서 전체적인 내러티브를 끌어가곤 했죠. 뭐 어떻게 보면 독자들에게 대리만족의 기회도 제공하고 복잡다난한 사건을 해결하는데 길라잡이 같은 역활을 톡톡히 하는 임무를 부여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캐릭터들은 어찌보면 작가의 분신이라고 할만큼 독자들과 작가 사이의 공감의 징검다리 역활을 한다고 보는 것도 많은 말일 것입니다. 그런데 이번 작품에는 그러한 주목받는 사건 해결사가 등장하지 않고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유타의 아빠인 하야세 형사나 소타나 리노같은 인물이 그 역활을 수행하는 것 같지만 작품 전반적인 무게감에서 상당히 떨어지는 것도 사실이죠. 또한 그 동안 히가시노의 작품을 보게 되면 유가와나 가가같은 지배적인 해결사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 무게감을 가지고 내러티브를 끌고 가는 인물이 존재했는데 이번 작품속에는 그런 모습을 볼 수 없다는 것이죠. 그래서 사실 약간은 어수선하다고 할까 뭐 그런 느낌이 드는 것도 사실이고요. 그런데 바로 이런 설정이 이번 작품의 묘미라는 느낌을 지울수 없게 합니다. 어느 한쪽으로만 치우쳤던 시각들이 이번 작품에는 다양한 암시와 가정(물론 책을 읽어가는 동안 독자들 스스로가 갖는 느낌들이겠죠)들이 내러티브를 한층 더 긴박하게 느끼게 하면서 주목이 분산된 각각의 인물들에 대해서 집중하게 한다는 매력을 발산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사실 등장인물들 하나하나에 대해서 눈을 뗄수없는 집중력을 갖게 하죠. 누가 범인이고 누가 해결사일까라는 생각은 독자들로 하여금 싫지 않는 즐거움을 선사하기도 합니다. 이런 점에서 <몽환화>라는 제목과 비슷한 뉘양스를 가지고 있는 스트럭쳐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이번 작품은 프롤로그의 강력한 임펙트에서 부터 내러티브는 종말로 다가갈수록 그야말로 숨가쁘게 빠른 속도로 진행됩니다. 책을 읽는 독자들은 프롤로그와 본 내러티브의 연관성을 나름대로 상상하면서 그 연결고리를 무단히 찾아가고 하나하나씩 밝혀지는 미스테리의 정체를 맞이 하면서 상당히 높은 파고에 몸을 맞낀듯이 내러티브에 집중하게 되는데요. 물론 결말부분에 가서 다소 김빠지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기도 합니다. 사실 그 동안 독자들은 나름의 머리를 짜내서 뭔가 그러니까 정확히 말해서 프롤로그의 임펙트만한 강도의 반전내지는 결말을 기대하고 있었는데 약간은 뜬금없다는 느낌마져 들 정도로 사건이 마무리되어 버립니다. 정말 숨가쁘게 쫒아온 그 동안의 노력이 반감되는 느낌을 받네요. 뭐 이양반이 왜이러나라는 생각도 들고요 다작하다 보니 뭔가 빠진듯한 작품이라는 생각도 들면서 왠지 실망아닌 실망을 하게 되더라구요. 근데 사건의 전말 뒤 이어지는 스토리를 접하게 되면서 앞서의 실망감이 사라지고 역시 히가시노 게이고다라는 생각을 갖게 합니다. 그야말로 한마디로 명불허전이라는 사자성어가 딱 들어맞는 작품이라는 느낌이 뒤늦게 뇌리를 강타하게 되는거죠. 이런 점이 히가시노 게이고의 매력이지 않을까라는 생각 다시 갖게 하고요.

 

          이번 작품을 접하기전 독자들은 인터넷 선전문구로 히가시노 게이고의 첫번째 역사물이라는 말을 접하게 되죠. 근데 작품을 읽는 내내 역사물이라는느낌은 전혀 들지 않죠. 번역가도 밝혔지만 역사물보다는 히가시노의 주전공인 과학적인 소재가 담겨져 있는 추리스릴러작품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입니다. 근데 역사물이라는 근거를 살표보니 살짝 재미있는 설정이 있었다는 쓴웃음도 짓게 하네요. 무엇보다 이번 작품에서도 히가시노 게이고의 사회파적인 근성을 재발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 동안 히가시노 게이고는 자신의 거의 모든 작품속에 사회적 이슈나 인간관계에 대한 근원적인 물음에 대해서 언급을 해왔고 이를 추리스릴러라는 표출구를 통해서 맛깔스럽게 작품속에 녹여 놓았습니다. 그래서 그의 작품은 기존의 추리스릴러와는 한차원 다른 재미를 선사했고 아마도 그래서 일본뿐아니라 국내에도 수많은 매니아층을가지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그 만큼 히가시노 게이고는 소설작품을 통해서 그 수요대상인 독자들과 가장 많은 부분을 공감하고 있는 작가인지도 모릅니다. 이는 바로 사회적인 이슈를 가장 효과적으로 전파하고 같이 공감케하고 고민하게 만들기 때문이죠. 이번 작품에서도 그런 면면을 독자들은 묵묵히 지켜보게 됩니다 "세상에는 빚이라는 유산도 있어, 그냥 내버려둬서 사라진다면 그대로 두겠지. 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그 누군가는 받아들여야 해 그게 나라도 괜찮지 않겠어?" ," 모든 걸 과학으로 해결하려는 것은 착각이다" 라는 사유에 담겨져 있는 담론은 작품을 읽고난 뒤 오랫토록 독자들의 잔상에 남아있을 것 같다는 느낌을 받게 합니다. 특히 세월호 참사로 시절이 수상한 요즘 우리에게도 적용되는 사유이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지울수 없게 하는것 같은 작품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