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황하는 칼날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이선희 옮김 / 바움 / 2008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얼마전에 국내에 개봉된 <방황하는 칼날> 을 원작으로 대면하게 되었습니다. 뭐 영화는 영화대로 또 다른 느낌이 들지만 아무래도 원작을 읽어보는게 제대로된 작가의 의도나 느낌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요. 더욱이 다름아닌 히가시노 게이고의 작품이라 더욱 더 그런 욕망이 앞서게 되는 것 같습니다. 히가시노의 게이고의 작품들은 추리스릴러작품치고는 상당히 많이 영화된 사례가 있습니다. 아무래도 그의 작품세계가 기존의 추리스릴러계통과는 사뭇 다른 느낌을 주기 때문이겠죠. 매번 사회적인 이슈를 한 두가지 작품속에 배정함으로써 추리스릴러와 사회성을 동시에 추구하기에 그의 작품들은 읽을때 마다 가슴 뭉클하고 속 시원하면서도 여러가지 생각을 갖게 하는 사유가 담겨있어 국내에도 많은 매니아층을 갖고 있는 이유일 것입니다. 이번 작품도 어김없이 전 사회적으로 한번쯤은 꼭 생각해 봐야할 사유가 담겨져 있는 작품으로 보입니다. 영화개봉을 앞두고 각종 홍보를 통해서 '미성년자들의 성폭행' 그리고 이에 대한 미성년자들의 처벌 수위와 그 피해자와 가족들에 대한 대책등 아직도 특별한 안전장치가 없는 우리사회에 경종을 울리는 메시지를 접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자 이번 작품은 그동안 히가시노 게이고의 작품을 섭렵했던 독자들이라면 다소 의아한 느낌을 주는 작품입니다. 그 동안 히가시노 게이고는 사회성 짙은 문제들을 다루면서도 추리스릴러의 기본 ABC를 철저하게 지켜왔고 작품의 내러티브나 스트럭쳐등 거의 큰 틀에서 벗어나지 않았던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더 많은 독자들이 추리스릴러를 대하면서도 사회성 짙은 사회고발 소설을 동시에 접할 수 있었고 이 두가지의 면이 서로 절묘하게 연관되어 작품속에서 헤어나지 못하게 했던 독특한 작가였죠. 그런데 이번 <방황화는 칼날> 이라는 작품은 아예 히가시노 게이고가 작심하고 집필한 느낌을 강하게 전해주는 작품으로 추리스릴러의 기본공식은 찾아보기 힘든 작품입니다. 초장에서 부터 사건의 전말과 그에 연관된 등장인물들 그리고 사건의 주 동기등 기본적인 기법등이 그냥 오픈되어 있고, 어느 누구라도 예감할 수 있는 복수와 그 결말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는 뭐 내러티브만 놓고 보면 정말 뻔한 작품으로 남을 것 같습니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이번 작품은 사회고발성이 깔린 사회소설로 받아들이는게 타당할 듯 합니다.

 

          이번 작품의 가장 큰 이슈는 '미성년자들의 범죄에 대한 처벌 수위' 와 '피해자 및 피해자 가족들에 대한 보호책' 이라는 두 가지의 명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더욱이 그 범죄가 성범죄일 경우 미치게 되는 개인적인 파장과 사회적 파장에 대해서 기존의 법률이 정하고 있는 최대한의 안정적이라는 방책에 대해서 과감하게 그 현 주소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죠. 자식을 키우는 부모의 입장에서라면 가해자나 피해자나 그에 대한 부모의 미묘한 입장를 십분 공감하게 한다는 점에서 사회적으로 한번쯤은 필히 집고 넘어가야 할 문제임에 틀림없습니다. 좀더 확대하면 우리가 정해놓은 법규가 과연 타당할까라는 회의심마저 들게 하고요, 여러모로 가슴이 무거운 작품이라고 해야할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작품을 읽는 내내 화가 나고(여기에 세월호 참사와 맞물려 그런 감정들이 더 증폭된것도 사실이구요)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허탈감마저 들게 하는 작품이었습니다. 물론 개인적인 자력구제가 용인될 수는 없지만 정말 심정적으로는 충분히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었고요.   

 

          전반적으로 이번 작품은 읽는 내내 상당한 스트레스를 주고 있습니다. 특히 중고등생 여학생을 둔 부모 독자들이라면 더할 나위 없이 머리끝까지 열이 뻐치면서 몰입하게 만드는 내러티브를 갖고 있기에 흥분지속 상태에서 작품을 읽게 되고 마치 작중의 아버지와 동일선상에서 같은 사고와 같은 상상을 하게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작품이기도 합니다. 사실 그동안 히가시노 게이고의 작품들 면면을 살펴보면 상당히 공감할 수 있는 이슈들이 많았음을 알수 있지만 이번 작품만큼 급속도로 독자들과 공감하는 작품도 드물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 리얼하면서도 솔직한 사유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한마디로 쇼킹한 작품이기도 하죠. 이렇듯 독자들과 십분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은 그 만큼 히가시노 게이고의 필력이 어필하는 부분이 뛰어나고 현실적이라고 해야 할 것입니다. 이번 작품을 계기로 청소년 성범죄에 대한 새로운 논의가 사회전반으로 확산되고 그 예방책등 사회 전반에 작용하는 작용들에 대한 논의가 있길 바라는 바램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