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신 말의 목을 베다
황윤 지음, 손광산 그림 / 어드북스(한솜) / 201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김유신에 대해서 모르는 대한민국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삼국통일의 선봉장(물론 이 부분은 아직도 왈가불가 하는 지적들이 많이 있습니다. 과연 삼국통일이라는 표현이 맞는것일까에서 부터 그 과정에 이르기까지의 정당성등) 으로 김춘추와 더불어 대업을 달성한 신라 최고의 장군, 그리고 자신의 애마를 벨정도로 확고한 신념의 사나이, 화랑을 대표하는 선주주자 이런 수식이 뒤따르면서 유년시절부터 위인전에 단골로 등장하는 인물이죠. 그런데 이후 김유신의 발자취는 보이지 않습니다. 거의 사라져버렸다 할 정도로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책속에는 보이질 않는것도 사실이죠. 그만큼 김유신이라는 인물은 피상적으로 남아있고 그에 대한 평가 역시 상당한 이견이 있다는 반증일 수 도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유녀시절 읽었던 어렴풋한 기억이 성인이 되어서도 고착화되어 제대로된 평가나 진위에 대해서 세월과 함께 묻혀 버린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번에 황윤의 <김유신 말의 목을 베다> 는 이런 의미에서 상당히 주목성 띄는 책인것 같습니다. 김유신의 일대기를 평전형식으로 주변 국(고구려,백제,당나라,일본) 과의 정치적 맥락 그리고 신라 내부의 사정등 다양한 사료를 기반으로 독자들에게 제대로된 김유신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신선한 충격을 주고 있는것 같습니다.

 

   특히 고대사 관련 자료를 한번에 살펴볼 수 있다는 점이 눈에 띄입니다. 사실 그 동안 우리는 고대사에 대한 부분에서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는데(물론 이를 기록한 현존하는 사료들이 너무 빈약했다는 점도 일조를 했지만요) 이번 책을 통해서 삼국사기, 삼국유사를 비롯한 우리측 사료와 중국측 사료, 그리고 일본사료등을 막간이라도 엿볼수 있고 이러한 사료들을 기반으로 당시의 시대상을 나름대로 한번즘 정리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단 그 포커스는 김유신과 신라에 맞추어져 있으나 한반도를 위시한 당시 삼국의 흥망성쇄에 대해서 계략적인 감을 잡는데는 크게 무리없어 보인다는 점입니다. 화랑제도와 천관에 대한 상세한 논거와 무엇보다 골품제도에 대한 불교적 사유를 유효적절하게 서사하고 있는 점이 색다르게 다가오기도 하네요.  

 

   한편으로 <삼국사기>, <삼국유사> 의 인용과 그 해석부분에서 약간의 형평성을 좀 더 고려했으면 하는 생각이 드네요. 물론 우리가 고대사를 건론하면서 이 두 역사서를 빼놓고 왈가불가 하기 힘들 정도로 현존하는 역사서가 거의 없다시피 하다보니 그 기준점에 있기는 하지만 <삼국사기> 나 <삼국유사>의 경우 김부식이나 일연의 개인적인 시각이 상당히 많이 반영되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하죠. 신라의 정통성에 그 무게 중심을 두다보니 사실 고구려나 백제의 경우 들러리 같은 형식을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두 역사서의 기준으로 당시 신라나 김유신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내리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백제 의자왕 치세에 관한 사료들은 상당히 왜곡되었다는 점 그리고 애매모호한 표현으로 해석자의 개인적인 시각에 좌지우지할 수 있는 설화같은 기법을 차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곡해의 소지가 있을수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한정적인 사료활용이다 보니 다소 중복되는 부분으로 인해 분량만 늘어난 느낌을 받게 하는점도 있기 합니다.

 

   전체적으로 스토리텔링 기법(마치 한편의 역사소설을 대하는 것 같은 편안함과 긴장감을 느낄수도 있습니다)과 중간 중간 독자들의 휴식을 위한 배려(삽화) 등으로 인해 가독성을 상당히 높여 자칫 지루하고 중도 포기할 수 있을 내용들을 깔끔하게 마무리해 놓아 높은 호응이 예상됩니다. <삼국사기> ,<삼국유사>, <일본서기> 등 역사서등을 인용하면서도 현대적인 문체에 작가의 필체를 곁들여 놓아 이해력을 높였다는 장점이 보이네요. 물론 이 부분은 양날의 칼과 같은데요. 역사적 사료에 대한 신빙성과 개인시각이 가미될 수 있다는 우려감도 있을수 있지만 대체적으로 무난했다고 보여집니다. 무엇보다 가장 장점은 당시 시대상을 고구려, 백제, 신라, 당, 일본등 다방면에서 펼쳐지고 있는 상황들을 한데 묶어 소개하고 있다는 점에서 단편적인 시각이 아닌 종합적인 시각으로 볼 수 있게 했다는 점일 것입니다. 사실 고대사에 대한 사료가 부족하다니보니 해석상의 문제나 행간의 의미에 대해서 학자들의 개인적인 견해가 반영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라는 맥락에서 이해를 한다면 그렇게 눈에 거슬리는 부분은 많지 않은듯 합니다. 이번 책을 계기로 당신 고구려,백제,신라 삼국간의 치열했던 사투와 역사적 맥락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는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가져보게 하네요. 김유신 개인가 신라의 삼국 부분 통일과정과 그 의미등은 아무래도 독자들 몫으로 남아야할 것 같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