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담과 에블린 ㅣ 민음사 모던 클래식 57
잉고 슐체 지음, 노선정 옮김 / 민음사 / 2012년 6월
평점 :
남북간의 얼어붙은 정국이 좀처럼 해동되지 않고 있는 한반도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는 독일통일이라는 선례가 마냥 부러울수 밖에는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정치적 논리라는 거대한 담론이 당연시 되는 우리에게 통일이라는 명제는 현재까지는 아직 희망사항으로 남아있는 풀기 어려운 숙제이기도 하구요. 이런 맥락에서 잉고 슐체의 작품들은 국내 독자들에게 신선한 자극을 주는 작품입니다. 전작 <심플스토리> 를 통해서 우리는 정치적 논리의 거대담론과 국가구성원인 일개 국민들이 통일을 피부로 느끼는 미시적인 담론의 온도차를 보면서 통일에 대한 나름의 기준를 정립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이번 작품 <아담과 에블린> 을 통해서 다시한번 이런점에 대해서 생각해 볼 기회를 얻게 되기도 하네요. 이번 작품은 모티브를 성서의 아담과 하왕에서 영감을 얻어 연인들의 러브스토리를 주 맥락으로 내러티브를 진행하고 있지만 작품 속에 내제된 태제는 러브스트로만으로 파악하기 곤란할 만큼의 또 다른 담론들의 녹아있다는 점에서 잉고 슐체의 유니크한 사유를 엿볼 수 있는 작품이기도 합니다. 독일 통일이 임박한 시점에서 발생하는 뜻하지 않는 사건으로 탈출이라는 행동을 단행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들이 상당히 흥미롭게 독자들에게 다가옵니다. 물론 이번에도 등장인물들의 포커스는 구 동독출신들이고 이들이 바라보고 생각하는 파라다이스는 또한 제 각각의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는 점이 설불은 결론이지만 작가의 사유가 기가막히게 반영되어 있다는 점에서 눈여겨볼 만한 작품이라는 생각이 들어 옵니다.
한편으로 당시 동독인들의 자유와 희망에 대한 갈망을 살짝이나마 엿볼수 있다는 것입니다. 아담에 더불살이 국경을 넘는 키탸가 죽음을 무릅쓰고라도 도나우강을 건널수 밖는 절박한 현실을 보면서 자유와 희망의 갈구는 그 어떤 장벽도 막지 못한다는 점을 볼수있구요. 사실 이부분이 재미있는 데요 이렇게 살떨리는 탈주극아닌 탈출을 감행하는 과정에서 아담과 캬타가 주고 받는 대화들 그리고 거북이를 챙기는 등 약간의 아이너리와 유머러스한 서사들이 긴박감과 잘 어울려서 한층 더 탈주극에 대한 독자들의 상상을 부추기는 역활을 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부분들이 다소 딱딱하게 진행될 수 있는 내러티브의 윤활제 역활을 하면서 분위기를 한층 살리는 촉매로 내러티브속에서 빠져나가지 못하게하는 부분이기도 하죠.
아담과 하와(이브) 모티브에서 에덴동산 금단의 열매를 따 먹기 전의 에덴 동산은 그야말로 천국이었지만 한순간에 그런 천국에서 결별하게 되고 새로운 천국을 찾아 나서게 되죠(사실 어느쪽을 천국이라고 해야할지 제3자적인 시각에서 판단을 내리기는 뭐하지만요). 즉 아담과 에블린이 현존하는 동독이라는 사회주의국가시스템에서 자유와 희망이라는 메세지를 찾아 탈출하여 자본주의시스템인 서독으로 향하는 여정이 어쩌면 천국에서 모진곳으로 가는 듯한 뉘양스를 비쳐주고 있다는 점에서 눈에 띄는 부분들이 많이 있습니다다. 동독을 떠나 도착하는 곳마다 돈이라는 주제가 가장 상위의 개념으로 자리잡기 시작하고 시장가격 시스템 역시 동독의 물가와는 사뭇 다른 환경에 처하면서 새로운 파라다이스에 적응해야하는 모습이 애처롭게까지 여겨지기도 합니다. 또한 아담과 에블린의 대화를 유심히 살펴보면 재미있는 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요, 대화자체 전체적인 방향은 한방향으로 흘러가는데(이는 마치 동독과 서독이 하나의 독일로 합쳐갈수밖에 없다는 점을 넌즈시 서사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구요) 세부적인 내용들은 정말 하나같이 각자의 목소리만 들린다는 것(통일 과정의 매끄럽지 못한 거시적 미시적 모든 형태를 서사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이 독일 통일의 과정을 은유적으로 치환한 기법이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가져보게 됩니다. 물론 이러한 점은 개인적인 생각으로 너무 확대해석하지 않았을까라는 생각도 들지만 작가의 사유와 비추어 보면 어느정도 일맥상통한 설정으로 보여지네요.
사실 아담이나 에블린은 무슨 정치적인 목적이나 자유에 대한 갈구 혹은 희망을 가슴속에 품고 에덴의 동산(동독) 을 떠난 것은 아니죠. 이는 마치 아담과 하와가 특별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금단의 열매를 먹지 않았듯이(뭐 이렇게 표현하면 반발하는 분들도 있겠지만요)요 우연한 사고로 에블린이 떠나고 이를 뒤 쫒아 떠나는 아담 특히 아담은 에블린을 재회해서 다시 에덴의 동산으로 돌아오겠다는 생각이 강하게 있는 사람이죠. 잉고 슐체의 정확한 의도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은 아닌가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거시적인 담론인 독일통일이라는 테제와는 별개로 일개 개인의 경우 거대한 담론과는 무관한 삶을 살고 그런 삶속에서 통일이라는 테제를 바라보게될 수 밖에 없는 개개인들의 상을 담아내고 있는 것 아닌가라는 생각을 가져보게 하는 대목입니다.
전체적인 내러티브는 아담과 에블린 두 여인의 사랑과 이별, 재회등 내러티브 전반이 연애소설을 그 기저로 진행되고 있는 플롯을 가지고 있는 작품입니다. 여기에 또 다른 한쌍이 등장하면서 갈등구도를 증폭시키면서 등장인물 각각의 입장을 표명하는 모양새를 보여주고 있는 약간은 뻔한 스토리의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잉고 슐체는 이런 연애소설에다 독일통일이라는 커다란 테제를 무임승차 시켜놓았다는 것이 이번 작품의 또 다른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통일을 문턱에 둔 시점에서 동독을 대변하는 아담과 새로운 삶을 찾아 탈출을 감행하는 에블린, 작가는 그들이 벌이는 애정행각을 바로 통일 테제라는 연장선상에서 바라보게 하는 또 다른 시각을 독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띄는 작품입니다. 독자들은 아담과 에블린 개인의 극히 농밀한 사적 내러티브를 아무런 부담없이 쫒아가게 되지만(잉고 슐체가 깔아놓은 덫에 걸려드는 것 자체를 전혀 의식 못하면서요) 작품을 읽어가면 갈수록 왠지 두 연인의 개인적인 스토리가 아닌 서독과 동독이라는 거대한 태제를 만나게 되면서 양단의 미묘한 느낌을 받게 되는 작품입니다. 전작이었던 <심플 스토리>에서 이미 확인했듯이 잉고슐체는 독일 통일과정을 거대한 정치적인 담론이 아닌 각 개인이 처해져 있었던 소소하지만 정말 독자들에게 진솔하게 다가올수 있는 이야기를 맛깔나게 풀어내고 있다는 점이 이번 작품을 통해서 다시한번 느끼게 되는 점이기도 합니다.
"과연 아담과 에블린 이들에게 새로운 삶을 열어주는 서독행은 행복한 선택이었을까요? " 라는 물음이 독자들 뇌리속을 깊숙이 파고드네요. 통제와 비자율이라는 정체된 사회에서(물론 이렇게 파악하는 시각의 기준점이 사뭇 다를수도 있습니다) 자유라는 파라다이스라는 공간을 선택한 이들에게 어느 쪽의 삶이 진정한 마음의 안식을 가져다 주고 있는가에 대한 대답은 아마도 독자들의 몫으로 남겨놓고 진한 잔상들을 요구하는 작품이다라는 생각을 지울수 없게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