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64 ㅣ D현경 시리즈
요코야마 히데오 지음, 최고은 옮김 / 검은숲 / 2013년 5월
평점 :
일본추리 문학계에서 사회파 작가로 미아베 미유키아 쌍벽을 이룬다는 요코야마 히데오의 <64>를 만났습니다. 뭐 사실은 요코야마 히데오라는 작가를 이번 작품을 통해서 처음 알게되었지만요 내공이 상당한 작가라는 인식을 갖게 되었습니다. 경찰소설 내지는 형사소설이라는 전형적인 틀을 깨고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보는 이번 작품은 여러모로 독자들에게 많은 생각거리를 던져주고 있는 것 같습니다. 방대한 내러티브(정말 만만치 않는 분량입니다)가 처음부터 작가의 의도나 기획대로 탄탄하게 짜여져 있다는 느낌이 강하게 들어오고요, 물론 전체적인 분량의 배분을 감안할때 다소 끌었다는 느낌도 들기는 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64를 제현하는 유괴사건의 등장을 조금만 더 일찍 컨텍했다면 보다 더 스릴감을 느끼지 않았을까라는 생각도 지울수 없게 합니다. 이 점은 경찰조직이라는 특수한 환경속에서 조직간의 암투와 설정들이 너무 오래토록 끌어서 약간의 집중력을 잃게 하는 단점이 있기도 합니다. 뭐 그래도 전체적으로 볼때 이색적인 소재와 경찰 조직의 이해 그리고 끝에 오는 반전의 강도등을 고려한다면 보기드문 대작이라는 생각은 지울수 없는 것이 사실이기도 합니다.
유괴라는 반사회적 범죄를 바라보는 시각 그리고 공소시효를 앞두고 다시 전면으로 부상하는 미해결 사건에 대한 진실과 경찰의 은폐, 국가 공권력의 한계와 그에 실망한 개인의 자력구제등 현실성 있고 사회적 이슈가 충분히 될만한 소재가 독자들의 마음을 움직일것으로 보여집니다. 경찰이라는 특수한 집단내에서 조직적으로 은폐되는 사건의 진실과 이를 파헤치는 또 다른 경찰, 경찰내의 헤게모니 싸움에서 밀리지 않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여 자리보존에 급급한 사람들 이러한 설정들이 잘 버무러져 내러티브가 한층 더 끌리게 하는 작품입니다. 눈여겨 볼 점은 그 동안 경찰이나 민완형사 각 개인에게 초점이 맞쳐진 내러티브가 주종으로 이루었다면 이번 작품은 개인보다는 경찰전체라는 조직에 그 포커스가 집중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경찰이라는 하나의 유기체가 사건을 바라보는 시각(여기에는 정말 다양한 이해타산과 의사결정과정을 적나라게 보여주죠) 과 조직의 일원으로서의 고뇌와 갈등을 그리면서 색다른 느낌을 주고 있기도 합니다. 주인공인 미카니 총경 딸의 실종으로 시작되는 스토리는 일개 개인의 구도에 천착하는듯 하나 스토리가 전개되면서 실상 개인은 사라지고 조직대 조직의 구도로 확대되어 가죠. 일반독자들이라면 경찰이나 형사하면 범인의 검거나 취조등 하드한 느낌이 각인되어 있지만 이번 작품에서는 현장에서 활약하는 형사라는 조직과 이를 지원하고 있는 지원부서간의 갈등과 헤게모니 싸움등 다양한 각도에서 경찰조직의 면모를 볼 수 있다는 것이 특이할만한 점이죠. 또한 우리와 마찬가지로 일본내에서도 날로 갈수록 중요시 여겨지는 외모에 대한 사회적인 재 검토라는 부분이 대두되고요 무엇보다 유괴로 인한 부모들의 속내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상당한 반향을 불러오리라 여겨집니다. 여기에 감초로 언론과 경찰의 관계성등 여러모로 볼거리는 많은 작품입니다. 다만 워낙 경찰조직내의 이권암투와 그 과정이 길어지는 바람에 다소의 맥을 빼는 것 역시 사실이고요, 후반부에 발생하는 64를 모방한 또 다른 유괴사건의 힘이 실상 그리 파괴적이지 않다는 점에서 약간은 맥빠지는 요소들이 있는 것도 사실이서 많은 아쉬움을 남기는 작품입니다. 미카미의 딸이 제자리로 돌아오지 않는 미완의 의문점을 남긴 것은 그나마 적절해 보이지만 방대한 양을 읽어나가는 독자의 입장에서 너무 밋밋한 내러티브의 구성이 아니였나라는 생각을 지울수 없게 합니다. 물론 그동안 너무 자극적이고 파토스적인 작품들이 독자들의 입맛을 강하게 자극해서 왠만한 임팩트로는 감당할 수 없다는 것 역시 인정되는 바이지만 그래도 아쉬움은 남네요.
사회적 소설의 기본기와 그 어필성에 대해서는 많은 반향과 생각거리를 던져주고 있는 작품입니다. 유괴라는 반사회적 범죄와 이를 둘러싼 관계인들이 겪어야만 하는 고통, 다시 한번 생각해봐야할 사회적인 문제이고요(작가는 바로 미카미라는 경찰을 통해서 역지사지의 입장에서 이런 문제에 대한 접근을 재시도 하고 있어 그 어필성이 더 크게 다가오기도 합니다) 물론 이에 대한 해답은 없습니다. 하지만 이번 작품을 계기로 자녀들을 보호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점검과 더불어 사회전체적인 주목이 다시한번 필요한 시점은 아닌가라는 생각을 가져보게 되는 작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