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자 - 2012 제36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최민석 지음 / 민음사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민석 작가 그 이름 석자를 제대로 아는 독자들은 별로 없을 것입니다.(아마도 저 처럼 난생처음 들은 독자들이 대부분이겠죠) 당연지사이지만 신인 작가이자 모 네거티브하게 말한다면 인생을 엉뚱한 곳에서(?) 허비하다가 뒤늦게 늦깎이로 문단에 데뷰했기 때문에 더욱 더 그럴것입니다. 또한 그동안 변변치 못한 작품활동으로 뭐하나 자신의 이름을 내세울 작품도 없었거니와 독자들과의 교유가 없다보니(이미 작품속에서 밝혔듯이 대한민국 출판계의 구조적 모순점이기도 하지만요) 생소하고 낯설기만 한 작가입니다.(물론 표면상으로 들어나는 현상이지만요) 그런데 이 양반이 대형사고를 쳤네요 '오늘의 작가상' 을 수상하면서 주목 받기 시작했다는 것입니다. 대게 유명작가들의 기본적인 코스인 이 상의 의미는 말로 설명하지 않더라도 상당한 베스트셀러작가 반열에 올라갈 수 있다는 검증적 성적표를 발부하는 것이나 마찬가지 일 것입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수상작들이 심오한 인간의 고뇌를 문학적으로 승화한 그런 고급스러운류의 작품들이 많습니다. 독자들 역시 이러한 선정방식에 대해서 당연시하고 있기도 하구요. 헌데 이러한 보증수표격인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인 최민석 작가의 <능력자> 를 대하고 나면 상당히 당혹스럽거니와 많은 부분에서 주저주저하면서 망설이게 됩니다.(아니 솔직히 말하면 작가 프로필에서부터 뭔가 요상하다라는 느낌이 들면서 작품속으로 들어가면 상당히 당혹스러운 느낌을 받게 됩니다. 특히나 그 동안 독자들 가지고 있었던 편견 아닌 편견으로 인한 아우라로 인해 더욱 더 갸우뚱하게 합니다)

 

그 망설임이란게 특히 문학작품에 일가견이 있는 독자분들이라면 더욱 더 심하리라 여겨 지네요. 얼핏 보면 문학성과는 담을 쌓은 듯한 내러티브와 전반에 걸쳐 자조적이면서 패배주의적인 뉘양스를 연상케하는 서사들이 '오늘의 작가상' 을 무색하게 할 정도로 상당히 그 급을 떨어뜨리면서 무슨 야설이나 개콘에서 볼 수 있는 듯한 Y담, 故 김득구선수을 연상케 하는 뻔한 스토리에 독자들을 웃기기 위해서는 그 출처를 의심케 하는 동원 가능한 서사와 묘사를 모조리 갖다 붙인 버라이어티한 스트럭쳐들, 한 마디로 웃음으로 시작해서 그 장엄하고 거룩한 결말부분에 이르기까지 웃음으로 마감해야하는(제가 이상한지 모르지만 가슴한켠을 짠하게 하는 결말부분에서 마져도 웃음이 나오는지 모르겠더라구요) 유머러스한 설정들로 인해 상당히 망설여 진다는 말이죠. 이게 과연 그 숭고하고 문학성이 짙게 배인 작품에 부여하는 '오늘의 작가상' 에 적합한 작품인가에 대해서요... 그러면서도 한편으론 그 웃음이 전해주는 의미에 대해서도요

 

그래서 저도 솔직히 몇 번을 주저했습니다. 중도하차 할려고요 이 바쁜 세상에 얼마나 읽어야 할 주옥 같은 작품들이 널려있는 마당에 이 양반의 작품을 끝까지 읽고 서평을 올려야 하는가에 대해서 몇 번을 망설이게 되었습니다. 근데 결론부터 말하자면요 진흙속에서 진주를 발견한 느낌을 받게 되었다는 것이죠. 솔직히 '오늘의 작가상' 말고 '내일의 작가상' 이라도 있다면 주저없이 추천하고 싶은 작품입니다. 아무리 픽션이라고 하지만 결국 문학작품은 작가와 독자가 공감할 수 있는 그런 공간이 있어야 하는 것이고 그 공간이 가장 픽션답다고 믿고 있는 저에겐 내러티브 자체에서 풍겨오는 냄새가 오래토록 뇌리속에 남을 작품으로 보입니다. 물론 인생의 단맛 쓴맛을 다 겪어본 심오한 상태에서 나온 작품이라 그런지 삶의 근원적인 부분을 솔직하게 까발렸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주고 싶습니다. 특히 내러티브 전반에 표출되고 있는 해학과 풍자는 현실세계와 처절하게 고뇌하지 않으면 결코 나올 수 없는 내공이라는 느낌이 드네요. 마치 연암 박지원의 부활을 보는듯한 일필휘지는 심오한 카타르시스를 가져오고 있다는 점에서 심상치 않는 작품으로 보입니다.

 

결과위주, 성과위주, 경력위주의 가치관이 지배하고 있는 시대에 능력자(그것도 왠만하면 안되는 탁월한 능력자)가 되지 않으면 이 세상을 살아가기 힘든 현실에서 평범하게 살아가는 대다수의 장애인들(비범한 능력을 보유하지 못한 이들)의 심리상태를 대변하고 있는 작품이라고 해야 할까요. 그래서 더 제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것 같은 데자뷰를 보는 것 같고요. 동질감을 느끼게 합니다. 여기에 내러티브를 서포터 해주는 다양한 눈요기거리는 유머스럽고 깃털처럼 가볍게 책을 접하는 동안 독자들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해주지만 막상 그 이면에 깔려있는 서사는 상당히 무겁고 서글프게 다가온다는 것입니다. 이는 무엇보다도 저를 포함한 이 시대를 살아가는 대다수의 평범한 사람들이라면 수긍하는 서사이기 때문입니다. 아마도 이러한 서사를 무미건조하게 나열했다면 정말 참혹해서 읽을 수없는 내러티브가 되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구요. 그래서 최민석 작가의 이번 작품은 양수겹장의 효과를 동시에 이루지 않았나 하는 생각 가지게 됩니다.  

 

이 작품을 통해서 앞으로 최민석이라는 이름 석자가 독자들 뇌리속에 깊이 각인될 것 같습니다. 신인답지 않은 날까로운 서사와 이를 일반 대중에게 어필해 나가는 필체의 공력이 상당하다는 느낌을 강하게 전해준다는 것이죠. 비약일지도 모르겠지만 전 개인적으로 조선시대 연암의 해학과 풍자에 필적할 만한 내공을 지니고 있는 작가이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내러티브 전반에 표출되고 있는 강력한 해학과 풍자는 작가 자신이 현실세계에서 얼마나 많이 치열하게 괴뇌했는가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기에 향후 출간될 작품들에 대한 기대감이 절로 들게 하네요. 작가 자신의 우려만큼 악평이 쏟아질 그런 작품은 정말 아니라는 점 기억해 두십시요. 솔직 담백한 이야기, 읽어서 즐거운 이야기 하지만 절대 가벼운 이야기가 아닌 우리 시대의 자화상을 이 만큼 애잔하게 전달해주는 작품은 없으리라는 생각이 드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