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2/63 - 2
스티븐 킹 지음, 이은선 옮김 / 황금가지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마디로 역시 세계적인 이야기꾼이라는 생각, 절대 배신 때리지 않는다는 생각, 뭐 이런 저런 생각들을 다 쓸어 버리더라도 스티븐 킹의 <11/22/63> 는 제게는 올해가 가기전에 발견한 또 하나의 대박 작품입니다. 솔직히 1권을 대면 하면서는 그다지 큰 감흥을 받지 못한게 사실입니다.(바로 2권이 이어지질 않고 공백기간을 가지니까 슬그머니 내려 앉더라구요) 그런데 막상 시간차를 두고 2권을 대하니 오히려 이러한 시간차 공격이 독자들의 상상을 더 자극하고 충실하게 내러티브를 밟게 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뭐 그런거 있지 않습니까 궁금해 죽겠는데 얄밉게 후속편이 나오지 않으니까 짜증도 나고 도데체 결말이 어떻게 될 것인지 상상도 해보되면서 뒤 늦게 찾아오는 기쁨이랄까요)

 

  그 어떠한 수식어(그러니까 유명 리뷰어들이 미사어구를 침에 잔뜩 발라서 논평하는등) 를 첨가 할 필요 없는 그야말로 재미있고 흥미진진한 작품입니다. 과거로의 시간 여행, 서거한 대통령을 되살리는 어드벤처 여기에 결코 빠질 수 없는 19+ 로멘스, 마지막으로 첨가된 철학적인 서사등이 정말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독자들의 눈을 사로 잡고 있다는 점에서 과연 스티븐 킹이다라는 찬사가 헛된 말은 아니구나 하는 생각을 떨칠 수 없게 합니다.

 

  물론 얼핏 들여다 보면 어디선가 익히 많이 본 플롯과 내러티브같다는 느낌, 그리고 다소 황당한(사실은 우울하다고 해야겠죠) 결말등 그다지 변별력이 없어 보이는 느낌이 드는 것도 사실입니다.(그동안 우린 영화나 기타 소설작품들을 통해서 그리고 각 개인의 무한한 상상력을 근거로 해서 시간 여행이라는 로망에 빠져있기 때문이기도 할 것입니다) 그래서 약간은 진부한 스토리 같다는 생각이 드는 것 역시 사실이구요. 하지만 단언컨데 이번 작품은 그런 염려나 기시감 같은 거 걱정할 것 없는 작품으로 보입니다. 엔터테이먼트 요소와 시간과 삶 아니 좀더 줌업하면 역사라는 철학적 멘트가 정말 맛있게 버무러져 있어 지루하지 않으면서도 재미있고 한 순간의 감흥을 뛰어 넘는 생각거리를 동시에 던져주는 작품으로 오래토록 잔상이 뇌리속에 남겨질 것 같다는 느낌이 강하게 전해 지네요. 무엇보다 언어의 마술사 스티븐 킹의 맛깔나는 표현들이 작품을 더 돋보이게 하면서 정말 그 시간대에 서 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키게 합니다. 작중 주인공 조지가 늘 말했듯이 변화는 쉽지 않는 것이지만 특히 과거에서의 변화는 마치 관성의 법칙처럼 더욱 더 고집이 세고 어렵다는 표현처럼 그 동안 시간여행을 다룬 작품들의 고집 센 끈에서 벗어날려고하는 힘이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전반적으로 과거로의 시간 여행은 상상 그 자체만으로도 흥미로울 수 밖에 없는 로망입니다. 여기에 대통령의 암살을 저지해야 한다는 역사적 숙명까지 더해지니 흥미와 상상은 배가 되고 뭔가 뜻하지 않는 반전을 기대하게 합니다. 물론 그 반전이란게 희망적인 요소이길 바라지만 스티븐 킹은 나비효과와 고집 센 과거(토끼굴을 지키고 있는 색깔이 변하는 카드맨등)를 운운하면서 미리 독자들에게 언질을 주고 있죠. 결국 지금 현재는 우리가 그토록 바꾸고 싶어하던 과거를 기반으로 성립되었다는 것을 보여 줍니다. 그것이 잘못된 실행이었던 혹은 극히 사소한 변화이었던 간에 과거와 현재는 기타줄과 같이 연결된 하나의 화음이라는 사실에서 벋어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또한 팁으로 케네디 암살사건의 배후에 대한 작가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죠. 뭐 이게 결정적인 내러티브의 핵이기도 하지만 스티븐 킹은 그저 뻔한 음모론의 재탕으로 흐를 수 있는 스토리를 정말 멋있게 반전시켰다는 점에서 상당히 매력적인 작품인 것 같습니다.

  

  혹시 어떤 독자분들은 이슈상으로 따지자면 오히려 1865년 링컨 대통령 암살 당시로 스토리가 설정 되었다면 더 흥미롭지 않았을까라는 생각도 가지게 될 것입니다.(사실 어떤면에서 보면 링컨을 되살려 놓은 것이 그 파장 효과면에서는 더 크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드니까요) 하지만 시간차가 벌어지면 벌어 질수록 현대의 독자들에게 호응도가 떨어질 수 있는 우려도 크지 않을까(사회문화적인 전반의 이해와 공감대등) 오히려 가까운 과거로의 시간 여행이 같은 공감대를 어느 정도 충족시켜주지 않았라는 생각이 드네요. 그리고 정말 개인적인 견해이지만 되살리고 싶은 대통령이 있다는 플롯 자체가 솔직히 부럽네요. 우리 현대사를 반추해보면 더욱 더 정말 부럽다는 생각이 듭니다. 미국인들의 뇌리속에 강력하게 자리잡고 있는 존 F. 케네디의 상징성을 다시금 느끼게 하는 작품이었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