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드 세트 - 전2권 - 가난한 성자들 조드
김형수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럽이 그리스도교로 철저하게 정신적인 무장을 하면서 암흑의 시대로 진입하고 있을 당시 저 광활한 중국 대륙의 한 귀퉁이 대초원 지대에서 목축이나 하면서 생을 근근이 이어 나갔던 유목민 부족에 불과했던 몽골은 동서양를 통틀어 가장 원대한 영토를 품에 앉았던 '원'이라는 제국을 건설하였습니다. 그들은 서양인들의 눈에 이교도를 넘어 로마시대 훈족 왕 아틸라 이래 가장 잔혹한 적으로 그야마로 그네들의 종교에 등장하는 사탄의 왕으로 비쳐졌고 중원이나 고려에게도 어마어마한 광풍을 불러 일으킨 장본이들이었고 바로 그 중심엔 몽골을 통합한 대칸인 칭기스칸(테무진)이 이었습니다. 이렇게 세계사에 커다란 족적을 남겼지만 흔히 세인들은 칭기스칸을 비롯한 몽골을 바라보는 시각은 상당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노마디즘 즉 유목민적인 자유로움등의 노스텔지아같은 향수를 먼저 떠올리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몽골이라는 이미지는 초원을 배경으로 푸른하늘을 머리에 이고 드 넓은 대지를 바람과 함께 유유자적하는 삶, 특히 세파에 찌든 현대인들에겐 마음의 안식처 같은 그런 곳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기도 합니다. 실은 그 노마디즘이라는 겉으로 보이는 화려한 스포트라이트 이면엔 생과 사를 넘나드는 대 자연의 힘이 도사리고 있다는 것을 모르체 말입니다.

 

이번 작품 <조드>는 대 초원의 지배자 칭기스칸(테무진)의 일대기를 다룬 역사소설로 특히 어린 몽골을 통합하기까지의 테무진의 삶을 담고 있는 작품입니다. 보통 작품의 경우는 한 인물의 탄생에서 부터 생의 마감까지를 그리고 있지만 <조드>는 테무진의 삶중에서 어찌보면 가장 결정적인 부분을 배제하고 몽골 민족을 통합하는 과정까지만을 그리고 있다 것이 특징적입니다. 특히 인물에 비중이 높을 수 밖에 없는 역사소설의 관념을 깨고 인물보다는 몽골 자체가 지니고 있는 자연환경(조드)을 부각시키고 있다는 점이 여타의 역사소설과는 사뭇다른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주인공인 테무진의 스포트라이트가 결코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테무진과 자연환경(조드)의 역활분담을 유효적절히 믹싱함으로써 내러티브의 질적, 양적 구성력이 떨어지지 않는 구도를 가지고 있어 순식간에 독자들의 눈을 사로잡는 작품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점은 독자들에게 다소 혼란스러운 부분을 가져오기도 하지만 작가가 추구하는 이상에서는 절묘한 조화를 이루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테무진이라는 불세출의 영웅과 조드라는 자연의 힘이 상호 조화를 이루면서 인간과 자연이 하나로 묶는다는 플롯이 대자연을 극복의 대상이 아닌 상호생존의 대상으로 받아들였던 테무진과 그 이후 제국의 기틀을 마련해 가는 과정을 좀더 색다르게 이미지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는 새로운 시도의 역사소설을 만나게 되는 즐거움을 만끽하게 되기도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