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공주실록 - 화려한 이름 아래 가려진 공주들의 역사
신명호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저자의 전작이었던 <조선왕비실록>는 그동안 조선시대 역사를 접하는 일반 독자 대중들에게 군주 즉 왕이 아닌 또 다른 시각에서 조선시대를 고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일반적으로 역사의 서술은 왕주국가인 경우 대게 아니 필연적으로 왕을 중심으로 서술될 수 밖에 없고 최고 권력자인 왕과 그 주변 지배층을 위주로 기술되어 왔고, 현대의 독자들 역시 이러한 역사서술에 친숙해 질 수 밖에 없는 구조 였다. 그러다 보니 남성중심의 사관으로 역사를 통찰하게 됨으로써 역사의 한 축이었던 여성에 대한 인지부족이라는 또 다른 병폐를 낳게 되었다. 어찌보면 그동안 우리는 반쪽짜리 역사에 모든 것을 걸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이러한 시각에서 <조선왕비실록>은 궁중궁궐속에서 역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던 왕비들의 삶을 재조명해 봄으로써 또 다른 역사보기에 흥미를 배가 시겼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이번 <조선공주실록>은 이런 연장선에서 왕, 왕비가 아닌 그들의 딸들이었던 공주와 옹주들의 삶을 통해서 조선시대를 한번 개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고 있다. 태종의 딸이었던 정선공주에서 조선의 마지막 옹주였던 덕혜옹주에 이르기까지 7명의 공주/옹주들의 삶을 당시대와 연관하여 서술하고 있다. 시대적으로도 조선의 개국초기인 태종대와 세종조를 거치면서 기틀을 잡았지만 수양대군의 쿠테라로 인해 역사의 흐름을 거슬린 시기인 문종대 부터 세조조, 조선 최대환란기인 선조와 광해군, 인조, 효종조, 마지막 불꽃을 피웠던 영,정조시대 그리고 종말 맞이한 고종,순종대등 조선사 중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시대와 맞물려 그 시대의 대표적인 공주와 옹주들의 삶이 당시대 역사과 어떻게 관련되고 그리고 어떠한 결과를 낳게 되는지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어 공주 개개인들의 개인사에 집중된 것 같지만 실상 역사전반을 아우르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무엇보다 조선시대 왕실 의례와 궁중생활 전문가 답게 저자는 공주와 옹주들의 출산에서 부터 혼인에 이르기까지의 궁중의례 전문지식을 일반독자층에게 알게 쉽게 설명하고 있어 새로운 지식의 확장의 장으로도 다가온다. 또한 그동안 남성중심의 역사에서 다루어 지지 않았던 각종 비사와 어리니,계향,애순등 공주들 유모나 궁녀들의 실명과 그들의 막후 역활등 소소한듯 부분들이 역사에서 잊혀졌던 개인들(소외 되었던 여성들)의 무대 전면에 내세움으로서 한층 현실감을 더해 주고 있다. 또한 왕비나 세자빈의 간택에 익숙해 있던 독자들에게 사위인 부마의 간택 과정은 눈여겨 볼 만한 내용들을 담고 있다.

 

다만 아쉬운 점은 인조의 딸인 효명옹주를 다루는 장에서 인조반정의 명분을 마치 광해군이 후궁격인 김개시의 치맛폭에 빠져 정사를 소홀히 했기 때문이라는 저자의 서술이 눈에 거슬린다. 저자의 이러한 지적은 연산군의 치세와 더불어 도매값으로 인지될 수 있는 여지가 있기 때문에 신중한 서술이 아쉽게 느껴진다. 전반적으로 공주 개개인들의 삶을 당시를 전후한 시대적인 고찰을 통해서 역사전반과 같이 고찰할 수 있어 독자들에게 역사적 현실감을 더해주고 있다는 점에선 높이 평가된다. 그동안 왕실의례나 궁중생활에 문외했던 독자들에게 조선왕실과 관련된 또 다른 목마름을 풀어 주었다고 해도 좋을 만큼 쉬우면서 세세한 설명들이 독자들 뇌리에 각인될 것으로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