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혹은 한 남자의 자살 노트 2
마틴 에이미스 지음, 김현우 옮김 / 민음사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자본주의 산업화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머니 즉 돈 만큼 친숙한 대상도 없을 것이다. 자연발생적인 관계인 가족과 인간관계만큼이나 돈은 우리 인간들에게 너무나 당연시 다가오는 존재이기도 하다. 인류가 경제라는 개념을 터득하면서 발명한 화폐는 당초의 교환가치의 표방을 뛰어넘어 자산증식의 축적가치로 변질되었고 더 나아가 가족이나 사회나 문화나 종교에서보다 오히려 더 포근함과 인간다움, 우월성 그리고 믿음 아닌 확신을 가져오고 있다. 하루를 마감하고 침대에서 잠들고 다시 아침에 일어나서 새로운 하루를 시작하기 위해선 돈을 등한시 할 수 없는 그런 세상을 우리는 그다지 인지하지 못하면서 하루 하루를 살아가고 있다. 우리를 둘러싼 모든 세상은 돈에서 시작해서 돈으로 끝난다. "인생은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간다", "죽을때 입는 수의에는 주머니가 없다"라는 금언은 이제 더 이상 통하지 않는 세상이기도 하다. 매일같이 신문 사회면을 장식하는 얼청없는 사건들의 이면에는 항상 돈이라는 묘한 존재가 깔려있고 톱기사로 제단되는 스캔들에도 어김없이 돈이 그 흉한 얼굴에 살며시 미소를 짓고 있기 때문이다. 살기 위해서 돈을 버는 것인가? 돈을 벌기 위해서 사는 것인가? 라는 명제에 대해서 이젠 무어라 단언하기도 힘든 세상이 되어 버렸다. 

<돈 혹은 한 남자의 자살 노트>는 바로 면도날 같은 돈의 양면성을 다루고 있는 작품이다. 나름 잘나간다는 런던의 광고감독이 우연히 비행기에 알게된 뉴욕의 영화제작가의 제의에 따라 영화제작을 수락하면서 벌어지는 다양한 인간군상들의 탐욕과 이로 인한 끝도 없는 추락의 나락 그리고 자살시도 그야말로 돈과 관련된 거의 모든 것을 아낌없이 쏟아내고 있는 아주 시니컬한 작품이다. 특히 작가는 이번 작품을 통해서 그동안 도스또예프스끼나 톨스토이등의 대문호들 통해서 문학작품하면 떠올리게 되는 작품성내지는 그와 거의 동격으로 간주되어버린 품의에 대해서 심각한 도전장을 던져주고 독자들로 하여금 과연 문학작품이 이렇게 막나가도 되는가에 대해서 살짝 혼란을 가져다 준다. 포르노영화를 생중계하는 듯한 표현들 그리고 거의 모든 대사에 등장하는 육두문자와 낯뜨거운 성기의 표현들에서 독자들은 과연 이놈의 소설을 어디까지 읽어야 하는가라는 생각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걱정은 한때의 낯뜨거움으로 남고 끝까지 독자의 눈을 잡아둔다. 그만큼 내러티브가 상당히 재미 있으면서 뭔가를 끌어 당긴다는 반증이기도 하면서 주인공 존 셀프가 타락해 가는 과정에서 어쩌면 우리의 단면을 보고 또 다른 한편에서는 경쟁자 하나가 사라져 간다는 위안을 받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그동안 문학작품에서 성행위의 묘사는 활자화라는 제약도 있었지만 왠지 현실성이 다소 결여된 그러면서도 미화된 행위로 독자들에게 다가왔고 독자들은 이러한 표현들에 자연스럽게 빠져드는 매너리즘같은 절차를 반복해왔다. 또한 육두문자의 사용 역시 내러티브의 긴장감이나 화제설정의 변경 내지는 강화를 위해서 사용되는 조미료 정도의 장치로 등장했지만 작가는 이번 작품을 통해서 이러한 통념들을 과감히 벗겨 버렸다. 솔직히 나체 그대로 보여주면서 소설을 읽는 독자들로 하여금 낯뜨거움을 넘어 수치스러운 느낌마져도 자아내게 하지만 실상 우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돈만큼이나 섹스 그리고 욕 역시 자연스럽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오히려 이러한 막나가고 자연스러운 표현들이 이 작품을 완독하게 하는 매력중에 하나이다. 물론 이러한 하드웨어적인 기법에서 다소 특이하게 보이는 작품정도로 치부될 수 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30여년전의 작품이지만 작가가 통찰하고 있는 돈에 대한 탐욕과 중독성은 지금의 시대에 딱 맞는 예견으로 다가온다는 점에서 많은 생각을 갖게 하는 작품이다. 비록 소설이지만 소설속에 녹아있는 각종 인간군상들이 상상하는 탐욕은 그들만의 것이 아니고 책을 읽는 내내 공감이 간다는 그 자체만을도 왠지 섬뜩함을 지울수 없게 한다.  

소설을 읽으면서 투자했던 시간을 돈으로 환산해보고 책표지 뒤편의 책값을 보고 얼마나 팔리면 BOP에 도달할 것인가, 그리고 작가는 얼마나 인세를 챙겼을까, 불안한 금융시장에서 어디에 투자해야 그야말로 따뜻한 노후를 보장받을 수 있을까라는 생각들이 오버랩되는 자신을 보면서 나 역시 돈이라는 마력에 중독되어 있구나라는 쓴 웃음을 짓게 하는 작품이다. 돈에서 시작에서 돈으로 끝난다 아니 돈의 끝은 없는지도 모른다. 사회진화학의 입장에서 보면 돈만큼 제대로 된 진화를 해온 존재는 없어 보인다. 오늘도 지금 이 시각에도 돈에 대해서 생각한다. 과연 돈은 무엇인가? 그리고 돈은 우리에게 어떤 존재인가? 결국 답은 없다 라고 자위해보고 싶어 진다. 왜 이미 우리도 그 중독성의 감미로움을 떨쳐버리지 못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