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암살자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60
마거릿 애트우드 지음, 차은정 옮김 / 민음사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타인의 사적인 기록, 타인의 가정사, 한발 더 나아가 다른 국가의 역사를 들여다보는 아니 좀더 솔직하게 표현하자면 훔쳐본다는 것은 많은 추측과 흥미을 가져온다. 몰래 엿볼때의 짜릿함에서 부터 자신의 기록 이나 가정사가 아닌 그저 타인의 이야기라는 점에 대한 다소분의 여유에서 찾아오는 심적 안정감, 이렇듯 타인의 일상 더구나 일기형식을 빌려 서술되는 가정사 이야기는 어쩌면 마음편안하게 다가갈 수 있는 읽을거리를 제공하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더 관심이 가는 것이고 새로운 읽을거리를 고대하는 있는 것이다. 

<눈먼 암살자>는 바로 이러한 야릇한 쾌감을 찾는 우리에겐 정말 더없이 좋은 읽을거리를 제공한다. 단순하게 연대순으로 나열되는 가정사을 역사기록 보듯이 읽어나가는 지루함을 없애주기 위해서 우리는 작가가 설정한 소설의 전체적인 구도에서부터 흥미를 갖게된다. 체이스가문의 가정사 전반을 다룬 아이리스의 회고록과 동생 로라의 소설 [눈먼 암살자] 그리고 [눈먼 암살자] 속에 등장하는 또 다른 공상과학소설 이렇게 삼중 액자구조 소설의 큰 맥을 잡았다는 점만으로도 심상치 않을 것만 같은데 각 액자속에 펼쳐지는 래퍼토리의 향연이 만만치 않게 전개되고 있어 쾌감을 증폭시키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삼중 액자구조가 각기 동떨어진 구조가 아니라 실상 서로가 상호 연결되고 해답을 던저주고 갈등을 조장하는 톱니바퀴 같은 설정이라는 점에서 또 한번 독자들의 머리속을 가만히 놔두질 않는 세심한 배려가 더해져서 엿본다는 짜릿함을 한층 가중 시켜주는 작품이다.

또한 작가는 "독자가 믿을 만한 거짓말을 하는 것이 소설가의 일” 이라는 자신의 말처럼 20세기 캐나다를 배경으로 공식적인 사초 즉 신문기사나 논평등을 인용하여(눈먼 암살자라는 액자소설 내부에 군데 군데 삽입되어 다소의 혼란을 가중시키지만) 체이스가문 가정사의 품격으로 한단계 업그레이드 시켜면서 동시에 픽션의 세계에 대한 판단 여부에 대해서 독자들의 방향 감각을 살짝 비틀어 놓는다. 그래서 체이스가문이 캐나다 어디쯤(주무대인 포트타이콘드로 역시 픽션이다)에 존재하는 실질적인 가문 같고 이 가문의 비극적인 가정사가 20세기를 대변하는 이야기로 독자들에게 다가오게 하는 묘한 장치를 곁들여 놓았다. 물론 이러한 팩트적인 요소들이 아리리스의 회고록이 아닌 그녀(나중에 드러나는 일이지만)의 또다른 픽션 세계 눈먼 암살자에 삽입함으로써 눈먼 암살자라는 작중 작품이 그저 공상과학소설만은 아니라 전제 구도를 설정해가는 조커 역활을 하고 있다는 점을 은근히 비추고 있기도 하다. 

여성 작가의 섬세한 문체와 단어의 신중한 선택도 돋보이지만 무엇보다 작중 인물을 통해서 간간히 곁들어지는 작가의 세계관의 투영이 사뭇 재미를 배가 시킨다. 예를 들어 신은 변호사와 비슷한 역활을 한다고 주장하는 리니의 종교관이나 체이스 대위가 딸 아이리스에게 설명하는 경제학원론의 축약적 표현, 로라가 보는 시계와 시간의 관념 표현 그리고 스코틀랜드인 잉글랜드인 미국인 러시아인에 대한 촌철살인같은 표현들이 압권으로 다가온다. 특히 악역을 담당하고 있는 리처드나 위니프리드의 얄밉기만 언행들을 시종일관 끝까지 밀고감으로서 상대적으로 로라나 아이리스에 대한 동정적인 관심을 갖게 하는 전통적이고 일반적인 구도 보다는 왠지 이러한 악역을 담당했던 이들 역시 당시 그 시대를 살았던 인물들이 오히려 자기자신의 역활을 더 충실히 혹은 합당하게 수행해 나가고 있다는 착각 아닌 착각을 불러오게 한다는 점에서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또한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을 연상케 하는 단추공장과 동명이인의 설정 자체가 시간을 거꾸로 회고한다는 전체적인 플롯을 대변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무엇보다 등장인물들에 대한 인물 심리묘사는 많지 않는 단어를 축약적인 형태로 사용함에도 불구하고도 절묘하게 그 맥을 집게 할정도로 시크하면서도 치밀하고 또한 섬세하게 느껴진다는 점이 눈에 띈다.

1차세계대전, 경제대공항, 스페인내전등 20세기 굵직한 사건들을 시대적 배경으로 삼고 있으면서 당시 시대적인 상황과 무정부주의,공산주의,볼세비즘,나치즘,파시즘등 이데올로기의 혼돈속에서 최상 권력지배층에서 최하층 노동자계급에 이르기까지 시대를 대표하는 거대한 담론들을 체이스가 가정사를 통해서 표출해내고 있다. 이는 단순한 한 가문의 가정사를 뛰어넘어 20세기 전반을 아우르는 사람들의 집합적인 역사를 대변하고 있는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