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열하광인 - 상 - 백탑파白塔派, 그 세 번째 이야기 ㅣ 백탑파 시리즈 3
김탁환 지음 / 민음사 / 2007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이번 백탑파 시리즈 종결 작품 <열하광인>으로 김탁환이라는 작가의 이름 석자는 독자들의 뇌리속에 역사추리소설의 한 획을 긋는 족적을 남기게 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그동안 김성종을 비롯한 몇몇 작가들의 추리소설을 접해왔지만 역사적 사실 즉 팩트가 가미된 더욱이 시대적 배경자체가 근현대를 뛰어넘는 역사추리소설분야에 대한 맛깔나는 작품을 거의 접해보질 못했다. 이는 아무래도 역사적 고증등을 비롯한 전문적인 접근과 더불어 추리소설이라는 서스펜스한 플롯과 등장인물의 정교한 심리묘사등이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지 못하면 자칫 밥도 죽도 아닌 그런 요상스러운 정체불명의 작품이 탄생할 소지가 많은 장르이기 때문에 작가들이나 독자들이나 접할 수 있는 기회가 그닥 많지 않았다. 이런 측면에서 방각본살인사건, 열녀문의 비밀, 열하광인으로 이어지는 백탑파 시리즈는 역사추리소설이라는 신천지의 서막을 올리는 작품으로 평가하고 싶다.
<열하광인>은 정조 후기를 시대적 배경으로 전 작품에 이어 의금부도사 이명방과 규장각 서리 김진 그리고 연암과 청정관등 백탑파 서생들이 총출동하면서 당시 문체반정을 모토로 왕권을 공고히 다지려던 정조와의 갈등구도를 플롯으로 설정하고 있다. 알려지다시피 정조는 개혁군주로서의 이미지가 강하다. 노론일색의 정권구조에 변화를 주기 위해 남인과 서얼을 등용하면서 권력균형의 추를 맞추고자 하였지만 실상 정조는 북학파라 불리우는 이들과는 동상이몽을 꿈꾸었다. 만천명월주인옹(萬川明月主人翁)이라는 긴 호를 자칭했던 정조에게 君과 師는 동격이었고 이는 자신의 지향하는 권력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일갈이었다. 물론 정조 치세에 북학(실학)에 대한 지대한 발전을 가져왔으나 실학이 주가 될 수 는 없는 태생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었던것 역시 사실이다. 작가는 스토리 전반을 이처럼 양자간 신구세력의 갈등을 구도로 잡고 세부적으로 이명방과 김진을 비롯한 백탑파서생들의 갈등구조로 내면화 시켜 당시 정조가 추구했던 파워게임을 은유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그동안 전편에서 정조와 백탑파가 이용후생을 프로파간다로 공유한 모드로 설정되었다면 이번 작품에서는 정조와 백탑파간의 프로파간다의 괴리를 여실없이 보여주고 있다. 물론 이러한 다소 급작스러운 반전은 이미 <열녀문의 비밀>에서 이덕무의 적성현감 발령을 그 신호탄으로 후작에 대한 뉘양스를 깔아 놓은 장치를 마련하고 있기도 하다. 작가는 이번 작품을 통해서 조선후기 그나마 일말의 희망을 가졌던 정조시대의 개혁을 이율배반적으로 파악하고 있는듯 하다. 이는 조선의 몰락이 개혁군주인 정조의 죽음으로 시작되었다기 보다는 백탑파의 몰락으로 이미 예견될 수 밖에 없음을 보여주는 것 같다.
전반적으로 이명방을 비롯한 등장인물들의 심리묘사가 손에 땀을 쥐게 하면서도 내러티브의 전개 역시 속도감을 가속시켜 책을 읽는 내내 긴장의 추를 놓지 못하게 한다. 이번 작품 역시 당시 통용되었을 정감있고 맛깔스러운 언어들의 선택(대부분 주석으로 현대적 의미를 정리해서 다소 가독성에 혼란을 주기도 하지만 나름 일독을 한다는 측면에선 그다지 눈에 거슬리지 않는다)으로 인하여 타임머신을 타고 그 시대속으로 빠져들게 하는 착각을 불러 일으키기도 한다. 무엇보다 전편과 동일하게 액자형식의 책이야기가 유니크한 구조를 덧대어 주고 있고,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속 내용들이 자주 소개되어 있어 곁다리라도 열하일기의 막간을 엿볼 수 있는 보너스도 준다. 특히 역사와 추리소설에 관심있는 독자들이라면 순식간에 빠져들게 하는 디텍티브 픽션의 요소들인 미스테리, 서스펜스, 스릴, 트릭을 내러티브 전반에 걸쳐 골고루 적당하게 분배하고 있는점 그리고 역사적 팩트와 이에 대한 시대적 패러다임의 공유라는 점에서 역사와 추리소설에 관심있는 독자들에겐 또 하나의 즐거움을 선사하고 있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비록 이번 시리즈가 <열하광인>으로 마무리 짓게 되지만 내심 홈즈 시리즈 처럼 이명방과 김진의 귀환을 기대해봄직 하게 한다. 서양에 추리탐정의 대명사인 홈즈와 왓슨이 있다면 우리에겐 이명방과 김진이라는 캐릭터를 보편화해 볼 필요성도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갖게 할 정도로 많은 아쉬움과 흥미를 남기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