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을 말하다 2 - 이덕일 역사평설 조선 왕을 말하다 2
이덕일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재나 과거나 한 국가의 흥망성쇄를 절대적으로 좌지우지 하는 것은 대다수의 민중계층이나 일부 지배계층이 아니라 절대권력자의 정치적 역량과 인간적인 소양에서 발전이라는 방향으로 도약하느냐 늪의 구렁텅이로 빠지느냐를 결정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권력의 최고 정점에서 그들의 의사결정은 결국 국시라는 형태로 포장되어 권력유지를 위한 일종의 방편으로 그리고 자신의 치세를 이끌어가는 나침반 역활을 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최고권력자에 대한 검증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조선왕을 말하다>는 조선시대 권력의 최고 정점에 서있었던 군주들을 통해서 그들의 정치적 철학과 의지로 인해 조선이라는 나라가 어떠한 방향으로 흘러가는지를 여실히 보여줌으로서 현재의 바로미터 역활을 하고 있다. 물론 왕이라는 군주 한사람만으로 평가하기엔 지배계층의 역활이 지배적이었던 시대도 있었지만 결국 모든 책임은 군주가 감당할 수 밖에는 없는 것이 바로 절대권락자의 비애이기도 하다. 또한 시대적 순차에서 어긋나지만 9명의 군주을 통해서 조선사 전체를 개략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기회도 부여하고 있어 시대흐름 전체와 군주 개인에 대한 치세를 동시에 고찰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무엇보다 저자는 그동안 대한민국 사학계를 일맥상통하게 지배해왔던 거대한 사학권력에 대한 비판도 서슴치 않고 있고, 바로 노론식민사학계가 주류를 이루는 우리의 역사관에 반기를 들고 있다. 물론 저자의 반론는 정확한 사초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단순한 호기로 치부할 수 없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이번 책에서는 크게 예종과 경종처럼 독살설에 휩싸인 임금과 조선시대를 통들어 가장 성공했다고 공인받은 세종과 정조, 그리고 인조 이후 삼종 혈맥의 시대를 연 효종,현종, 숙종을 조명했고 마지막으로 조선을 개국한 태조 이성계와 나라을 닫은 고종에 대한 담론을 담고 있다. 저자는 이런 9명의 임금중에서 효종시대 북벌정책을 둘러싼 진실, 세종의 치세중 알려지지 않았던 세종의 또 다른 면모, 그리고 얼마전 공개되어 학계에서 독살설을 일축했다는 정조의 비밀어찰에 대한 재해석등이 저자 자신의 일관된 사관을 증빙사료를 통하여 일관되게 전개하고 있는 점이 눈에 돋보인다. 흔히 우암 송시열이 효종의 북벌정책을 지지했다는 노론사학계의 주장이 얼마나 허무맹랑한 낭설인지에 대한 논거와 대왕세종으로 만민의 아버지였던 세종이 한때는 백성을 괴롭히는 악법으로 회귀등으로 지탄받았다는 점과 한글창제에서 부터 한글변천사에 대한 저자의 견해가 새롭게 조명되고 있는 점이 흥미롭다. 또한 정조의 화성신도시 건설의 내막등은 역사를 볼 때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본보기로 남는다. 

전편에서 연산군에 대한 새로운 평가와 해석을 끌어내면서 우리가 그동안 가지고 있었던 왜곡된 사관과 평가들이 얼마나 위험한가를 보여주었던 저자는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의 장을 확대시켰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특히 역사평설(스토리텔링)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선보이면서 대중들에게 역사에 관한 편견을 일소하는데 기여하고 있다는 것이다. 역사는 과거의 고리타분하고 케케묵은 옛날 옛적의 이야기라 아니라 현대를 투영할 수 있는 유일한 우리들의 모습이라는 사실을 대중화하는데 많은 공헌을 했다고 해도 틀리지는 않을 정도로 그동안 노론식민사학계가 주류를 이룬 우리사학계에 자성의 목소리를 던져 주었고, 일반 독자들에게도 새롭게 역사를 볼 수 있는 눈을 제공했다. <조선왕을 말하다>는 기존의 사관과 상당하게 배치되는 부분들이 많이 존재하고 있다. 역사의 행간을 읽는 눈은 항상 자의적일 수 밖에 없지만 객관적인 사초자료나 당시의 정황을 추정하는 일은 객관적이야 한다는 것을 저자는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특히 국가와 민족의 생타여탈권을 행사했던 군주에게 이러한 공명정대한 평가는 두말할 가치조차 없다는 것을 확인시켜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