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제 평전 - 민생을 살펴 태평성대를 이룩한 대통합의 지도자 중국 역대 제왕 전기 시리즈
장자오청 지음, 이은자 옮김 / 민음사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조선은 청태종 홍타이지에 의해 국토를 유린당하고 결국 인조가 삼전도에서 전무후무한 삼배구고두의 치욕을 겪고 청과 부자의 관계를 강요당했지만 여전히 숭명배청사상의 뿌리는 그대로 이어지면서 자력강생보다는 복제문제(예송논쟁)등으로 서인과 남인의 치열한 권력쟁탈전이 벌여지고 있을때 중원땅 청이라는 제국에서는 향후 135년간 중국역사를 통틀어 가장 강력하고 안정적인 황제의 시대를 알리는 한 인물이 등장하게 된다. 바로 애신각라현엽, 후대에 강희제라고 불리우는 황제가 등극했다. 그리고 강희 이후 옹정과 건륭의 제위기간은 청제국 뿐만 아니라 중국역사를 통틀어 가장 안정적인 정치적 순항을 이룩하는 태평성대의 시대라고 평가받게 된다. 이는 로마제국시대의 3현제의 시대를 방불케할 정도로 정치적 안정과 강역의 확장 그리고 민생의 안정등 다방면에서 뛰어난 치적을 남기게 된다.  

청제국이 군사력을 앞세워 명을 멸망시키고 중원의 주인으로 자리 잡았으나 강희가 제위에 오르기까지도 안정이 이루어 지지 않을 정도로 한족의 저항은 뿌리 깊었으며 권력중심부를 비롯한 정권의 안전성 역시 신생국가에서 볼 수 있듯이 살얼음판을 걷고 있었다. 이런 시기 여덟살이라는 어린나이에 제위에 오른 강희제에게 청의 미래가 걸려 있는 절체절명의 시기였다. 결과론적으로 보아서 강희제의 치세가 청제국을 반석위에 올려놓은 것은 그의 60여년이라는 기나긴 제위기간의 표면적인 결과물이라기 보다는 오삼계를 비롯한 삼번의 난을 평정하고 대만을 복속시키고 러시아의 문제를 해결하는등 대외적으로나 대내적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역대 황제등 중에서 가장 많은 과업을 달성했기에 동북아시아의 강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것이다. 어린 나이에 제위에 올라 보정4대신의 보신정치를 받으면서 정치력을 스스로 키웠던 강희제는 근본적으로 자신의 선조들과는 다른 정치관을 키웠고 결국 강희제만의 차별화된 정치역량을 가지게 된다. 이점은 로마제국이 개방성과 다양성을 수용함으로서 팍스로마나를 달성할 수 있었듯이 강희제 역시 개방적인 사고와 큰것을 취하기 위해 작은것을 과감하게 버릴수 있는 정치적 용인술에 있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삼번의 난이나 대만의 평정등에서 보여준 그의 용인술은 한두걸음 앞을 내다보는 근시안적 접근방식이 아니라 수십년을 기다리면서도 결국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어가는 인내의 정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강희제의 치세를 높이 평가하는 부분은 이런 외형적인 강역의 확대나 반란을 처리하는 과정보다 대내적인 정국의 안정을 이룩했기에 더 높이 평가받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자신의 정치철학을 그대로 실천에 옮겼다는 점이 여타의 권력자와는 사뭇 다른 길을 걷게 했다. 강희제는 " 백성들을 쉬도록 하는것도 치도의 첫 번째 중요한 일이다. 백성들을 쉬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백성들을 번거롭게 하지 않아야 한다. 백성은 나라의 근본이므로 먼저 휴식이 이루어져야 한다"라는 말은을 자신의 치세철학으로 삼았고 이를 위해 지배계층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과감하게 경면전(국가소유 황무지를 민중의 소유로 이전) 시행함으로써 민중들의 부담을 덜어주게 한다. 그리고 이를 정착시키기 위해 민중의 토지를 강탈하는 행위를 근절시키고 노예를 해방시켜 농민층의 증대를 이끌게 된다. 또한 각종 요역과 부세의 경감을 통해서 경제적부담을 덜어주는 정책을 시행하게 된다. 강희제는 그저 정책의 시행만을 단행한 것이 아니라 수시로 순행을 하면서 지방관들의 착취를 근절하고 민중들의 고충을 확인하는 피드백작업을 통해서 정책의 실효성을 더욱 높였다는 점이 돋보인다. 여기에 군대의 황무지 개간을 통한 둔전의 활성화를 통해 군량의 비축과 더불어 조세의 증가를 가져오는 이중효과를 통해서 제국의 기반을 마련하게 되는 효과를 거두게 된다. 특히 농업뿐 아니라 상업분야에 대한 개혁을 통해서 농업과 상업이 상호 적절히 작용할 경우 경제가 발전할 수 있음을 보여준 선례가 되었다. 

또한 당시 서양문화의 대명사인 서학을 바라보는 시각에서 강희제의 또다른 면모를 엿볼 수 있다. 강희제는 서학을 철저히 자신의 용도에 맞게 부합하여 취사 선택하였다. 서학이 가져다 주는 우수하고 선진적인 과학문물에 대한 수용은 오히려 제신들보다 더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이를 다시 청제국의 현실에 맞추어 리모델링하면서 획기적인 비약을 가져오게 된다. 하지만 강희제는 서학의 종교적인 색체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했다. 이는 당시 조선과는 상반된 길을 가게 되고 조선은 한없는 늪의 구렁으로 빠져들게 되지만 청은 탄탄대로를 질주하게 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를 볼때 최고권력자 한사람의 판단이 국가운명에 미치는 영향을 굳이 논거하지 않더라도 얼마나 중요한가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조선에겐 부모의 나라를 앗아간 불구대천의 원수였지만 청제국은 동북아시아의 역사적 물줄기를 바꾼 나라였다. 그리고 비단 이민족의 제국이었으나 다양성과 개방성를 모토로 강력한 제국을 건설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강력한 제국의 틀을 마련한 강희제에 대해서 그동안 국내의 독자들은 역사교과서 정도를 통해서 알려졌을 뿐 세세한 평가과 삶 그리고 치세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었다. 이번 <강희제 평전>은 우리에게 강희제라는 한 황제의 삶과 치세을 전해 주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다. 그것은 최고 권력자의 정치철학으로 인해 국가나 민족이 흥망성쇠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비슷한 시기에 청과 조선은 그야말로 극과 극의 길을 걸었다. 한쪽은 열린사고로 선진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자기것으로 재창조하였다면 다른 한쪽은 예송논쟁등 이미 사장화된 가치관에 목을 메고 철저히 은둔함으로써 암흑의 시대로 치달았다는 점에서 극명한 대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번 책은 강희제의 탄생에서 제위 그리고 죽음까지를 연대적으로 중요사건을 통해서 서술했고 더불어 강희제의 정치철학을 대변하는 경제와 민생 그리고 서학에 대한 수용등을 별도의 장으로 따로 서술하므로서 강희제 연간의 시간적 흐름을 인식할 수 있는 동시에 중점적인 각론의 분야까지 섭렴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인 것 같다. 다시한번 느끼지만 강희제는 만주인,몽고인,한인의 결합을 다양성과 개방성이라는 대전제에서 포용하고 이끌어 가면서 청제국의 물질적, 사회적 기초를 세웠다는 점은 시간이 흐른 현실의 정치권에 좋은 본보기로 남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