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험한 관계학 - 상처투성이 인간관계를 되돌리는 촌철살인 심리진단
송형석 지음 / 청림출판 / 2010년 11월
평점 :
절판
인간으로 태어난 이상 우리는 적어도 관계라는 틀속에 어떤 형태를 띄든 살아가게 되어있다. 로빈슨 크로스처럼 망망대해에 단절된 섬나라에서 홀로 살아가지 않는 이상은 우리 인간에게 관계라는 것은 필수불가분한 얽매임이다. 우리는 작게는 가정에서 부모와 자식으로 형제와 자매로 그리고 사랑하는 연인으로 나아가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이래저래 인간과 인간과의 관계를 자연히 맺게 마련이다. 이런한 관계가 하나 둘 확장되면서 인간의 정체성은 더불어 확장 발전하지만 이와 병행하여 서서히 인간과 인간과의 관계정립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고 이를 슬기롭게 극보하지 못하면 가정불화와 이혼, 이별, 이탈등 소위 말하는 막장인생으로 그 끝맺음을 하게 되기도 한다.
아주 단순하고 간단 명료해 보이는 이러한 인간관계가 실상 가장 어려운 것이다. 흔히들 직장인들 푸념중에 일많이 시키는 상사는 하나도 힘들지 않지만 인간적인 관계가 부적절하면 그야 말로 죽을 맛이다라는 소리를 많이도 하고 현실적으로 경험도 하게 된다. 그럼 인간관계는 어디에서 부터 시작하며 어떻게 파악해야 하나? 우리는 송형석의 <위험한 관계학>에서 이에 대한 작은 실마리를 찾아간다. 전작이었던 <위험한 심리학>이 각 개인의 특성을 파악한다면 관계학은 그런 개인과 개인이 형성해가는 관계에 대한 솔직담백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인간으로 가장 근본이면 출발점이라는 가정에서부터 우리는 관계를 갖게된다. 부모와 자식, 형제와 자매, 그리고 남편과 아내로서의 관계에서 부터 보이지 않는 심리학의 진수가 깔려있다. 부모의 양육방식이 자녀의 인간관계를 좌지우지하고 결국 연애라는 관계에 까지 미치는 예를 통해서 작게만 보이고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는 일상생활의 단편적인 말한마디 행동거지가 어쩌면 치명적이고 상처뿐인 인간관계의 디딤돌을 놓을 수 도 있다는 저자의 의견은 많은 점을 시사하고 있다.
예로 부터 가장 힘든 것이 사람이라고 했다. 사람에 해당되는 한자인 人은 두사람의 관계를 의미하기도 한다.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는 그래서 중요한 것이고 세상을 살아가는데 몰라서는 안되는 것이기도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잊고 지나치는 것이기도 하다. 또한 굳이 겉으로 들어내어서 인간관계를 제단할려고 하는 의도자체가 오히려 타인에겐 관계형성에 방해가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그저 그렇게 한켠으로 묻어놓고 지나가는게 보통이다. 그리고 "엄마 아빠와는 대화가 안 통해", "내 남편은 내 마음을 몰라줘"등 스스로 닫힌 생각을 갖게 되고 결국 상처만 남는 관계로 진행된다. 이제라도 왜 우리는 안 맞는 걸까?라는 질문을 던져보고 상대방과 나의 관계에 세밀히 귀를 기우려야 하고 <위험한 관계학>그런 관계 개선에 도움이 될 만한 사례와 처방으로 가득하다. 물론 인간관계에 정해진 정답은 없지만 좀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길라잡이의 역활은 충분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