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도덕인가?
마이클 샌델 지음, 안진환.이수경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정의란 무엇인가>로 시대의 방향타를 던져준 마이클 샌델교수의 후속작 <왜 도덕인가>는 또 다시 우리 사회에 작은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道德이라함은 누구나 알듯이 사람이 지켜할 도리를 말한다. 즉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져야 하고 그리고 그렇게 행동해야할 지침으로 사람에게 특별히 요구되는 의무사항이다. 그래서 예로부터 도덕이 없는 경우 사람치급을 하지 않았다. 특히 공맹사상을 뿌리적 근원으로 둔 유교문화권, 동방예의지국이라 자처하는 우리에게 가장 중요하면서도 기본적인 덕목은 다름아닌 도덕이다. 가정의 관계에서 출발하여 사회적 범위를 넓혀가는 과정속에 출발점은 도덕에 있다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바로 이점이 인간과 짐승을 구분하는 가장 고결한 판단이었음을 우리의 선조들은 파악했고 그 인간됨을 위해 삼강오륜이라는 세부적인 실천항목까지 설정하여 매진했던 것이다.
이런면에서 우리는 도덕적인 삶에 대해서 많은 고민을 해왔고 그런 도덕적인 사회속에 살아가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럼 이러한 아프리오리한 명제를 지금의 시대에 과연 얼마만큼이나 받아들이고 수긍할 수 있는 것일까라는 질문에 선뜻 명쾌하게 대답할 수 있는 이들이 과연 얼마나 존재할까라는 의구심이 먼저 들기 마련이다. TV화면상을 장식하는 각종 폐륜범죄에서 부터 성폭행 정치인과 경제인들이 비리를 논외로 치더라도 이제는 도덕적인 삶이라는 말자체가 마치 경전의 한 귀절을 대하듯이 여겨 지는 세상을 우리는 아무런 저항없이 무덤덤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실정이 어쩌면 가장 큰 문제이지 않을까, 여기 저기 폭탄이 많이 자주 떨어지다보면 왠만한 폭탄에는 눈도 깜짝하지 않는 무감각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왜 도덕인가>는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특히 공동체라는 개인의 집합체속에서 살아가야 하는 우리에게 도덕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저자는 정치,사회,경제,교육등 다방면에 걸쳐 도덕에 대한 화두를 던지고 있다. 어디까지가 도적적이고 어디부터가 비도덕적인가라는 판단은 독자들의 몫으로 남지만 저자가 강조하는 것은 이러한 공동체적 삶속에서 극히 개인이 지향하는 도덕이라는 개념자체에 대한 근원적인 고찰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결국 도덕이라는 철학을 머리속의 사유로만 이식시킬 것인가 아니면 실천으로 옮길 것인가에 대한 선택은 다름 아니 우리에게 있는 것이다. 개인은 물론이고 어느 사회에서나 선과 악 그리고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 기준은 다를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이러한 편차가 다른 공동체와 극히 이질적이거나 납득하지 못할 정도로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은 인간본성속에 자리잡고 있는 도덕에 대한 유전인자의 공통적인 영향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동안 우리는 도덕을 철학의 한 분야로 승격시켜 인간의 존귀함을 상징하는 영역으로 승화시키고 연구와 학문의 대상으로 여겨왔다. 이러한 현상은 결국 이념과 실천이 괴리된 이분법적인 사고를 불러어면서 막연한 대상으로 자리매김하게 된 원인이 되어버렸다. 도덕은 이런 고귀하고 존엄성있는 학문이나 철학의 개념이 아니다. 그저 우리 인간들이 살아가는 동안 인간이면 누구나 안고 가야할 대상인 것이다. 그래서 도덕이 결여된 사람을 인간으로 볼 수 없듯이 도덕은 그 실천적인 면에서 의미가 있는 것이지 추상적이고 형이상학적인 개념이 될 수 없는 것인지도 모른다. 이러면에서 우리는 그동안 도덕을 형이상학적으로만 치부해왔고 그에 대한 댓가는 엄청나게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왜 도덕인가라는 물음보다 왜 도덕일수 밖에 없는가라는 물음이 더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우리는 인간이기 때문에 도덕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마이클 샌델은 이렇게 우리 인간들에게 도덕이 무엇인가에 대한 화두를 던졌지만 정작 그에 대한 해답은 인간이 우리의 몫으로 남는다. 인간으로 살 것인가 아님 그저 짐승으로 남아 있을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