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똑똑한 사람이 어리석은 결정을 내릴까? - 의사결정에 관한 행동경제학의 놀라운 진실
마이클 모부신 지음, 김정주 옮김 / 청림출판 / 2010년 3월
평점 :
품절
이 세상에는 속된 표현으로 날고 긴다는 전문가들이 부지기수이다. 의학/법률/경제/증권/부동산/사업/연애등등... 우리와 같은 문외한들이 어떤 주어진 환경에서 의사결정을 할 때 바로 다름아닌 이러한 전문가들의 고견을 참조할 때가 많고 그들의 예측에 편승해서 의사결정을 하기 마련이다. 물론 독불장군식으로 자신만의 판단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경우도 왕왕있지만 대게는 이러한 전문가 집단의 도움을 받는다. 그런데 문제는 의사결정 이후 처해지는 결과물이다. 속칭 전문가들 그러니까 나도다 객관적으로 더 똑똑하다고 판단했던 이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실행했던 의사결정의 결과가 참혹할 때 과연 어떤 기분이 들까? 흔히들 이러한 경우를 "전문가 열세"라는 용어를 빌어 표현한다. 즉 오래된 사고방식에 매인 사람들이 직면한 문제에 필요한 통찰력을 얻기 위해 새로운 의미를 이용하는 것에 실패한다는 의미이다. 그럼 왜 똑똑한 사람이 어리석은 결정을 내리는 걸까?
저자인 마이클 모부신은 바로 이러한 점에서 착안하여 의사결정에 관한 행복경제학의 놀라운 진실을 서술하고 있다. 전통적인 경제학으로 소비자를 판단하는 기준은 가장 합리적인 욕구에 의해 한계효용이 최적화 되는 시점에서 소비하는 합리적 소비자를 그 모델로 하고 있으나 전통경제학에서 예측하는 소비행태는 현재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세상에 그대로 적용하기엔 어딘가 부족한 면이 있다. 이러한 전통경제학의 대안과 보안으로 <행동경제학> 내지는 <복잡계경제학>이라는 학문이 자리잡은지도 꽤 오래되었지만 아직도 일반대중 심지어 전문가집단에서 조차 널리 인식되지 못하고 있는것이 현실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서 좀더 똑똑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길라잡이들을 제시하고 있다. 휴리스틱(heuristic)으로 표현되는 문제 해결할때 노력을 최소화 시키기 위한 고찰이나 과정을 다양한 예증과 실례를 들어서 왜 그러한 선택이 잘못되고 또한 올바른 선택에 걸림돌이 되는 것은 무엇인가에 대해 명쾌한 해답을 내려주고 있다.
부동산중개인과 일반적인 부동산수요자들의 부동산을 평가하는 방법에서 볼 수 있는 내부적 착각은 흔히들 우리 주변에서 벌어지고 있는 극히 개인적인 의사표현의 방식같지만 범위를 확대하면 기업의 의사결정구조와도 비견되는 요소이다. 우리는 어떠한 환경에 속에서 기준점을 설정하게 마련이고 이러한 기준점을 설정하고 의사결정의 기본 판단요소로 활용한다. 그러나 기준점설정 뒤에 올바른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과연 그 기준점이 올바른 기준점으로서 역활을 할 수 있을까? 바로 여기에 함정인 존재하는 것이다. 이는 우리 내부적인 착각으로 인해 그 설정된 기준점을 파레토의 최적점으로 인식해 버리고 이를 토대로 모든 의사결정을 확증하여 한쪽 방향으로 몰고가는 편향성을 보이는 것이다. 저자는 이러한 경향을 터널비젼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는 터널속에서의 view는 한방향으로 편향될 수 밖에 없고 그 방향으로 나가야만 터널을 빠져나갈 수 있다는 확증을 주기 때문이다.
우리가 흔히 겪게 되는 오류중에 가장 대표적인 것은 대형서점에서 책을 선택할 때 대게의 경우 책의 표지만을 보고 그 내용을 쉽게 판단하는 경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인지부조화로 말미암아 내려지는 의사결정의 경우 대게는 몇만원하는 책값에서 부터 수천수억원의 커다란 경제적 손실로까지 이어진다. 결국 한순간의 잘못된 의사결정은 되돌릴 수 없는 막심한 심적물적 아픔을 가져오는 것이다.
흔히들 똑똑한 사람이 어떻게 저런결정을 내릴까라고 혀를 차지만 이는 모든 이들의 딜레마와도 같은 것이다. 나 자신 스스로에 잠재해있는 내부적 착각과 인지부조화 그리고 확증편향등의 성향을 다스리지 못하는한 우리도 똑같은 오류를 범할 수 있는 확률이 높기 때문에 저자는 좀더 똑똑하고 올바른 의사결정을 위해서 심리학과 행동과의 관계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행동경제학의 논지에서 그 오류들을 제거하는 방법론적인 제안을 던져 주고 있다. 사업을 하던 삶을 살아가던 간에 리스크는 상시로 우리 곁에 존재하고 있다. 다만 리스크중에 통제가능한 리스크을 줄여나가는 것이 실패를 최소화하고 성공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는 방법일 것이다. 이러면에서 <왜 똑똑한 사람이 어리석은 결정을 내릴까?>는 다시한번 우리를 돌아보는 계기가 될 책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