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현
김인숙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후대인들은 조선시대 군주중에서 선조와 더불어 인조를 가장 못난 군주로 기억하고 있다. 못난 군주라는 평가는 조선시대를 거쳐 이 두 군주시대에 각각 일본과 청으로부터 내침을 당했고 덩달아 도성을 버리고 아들인 세자를 버리고 마지막 보루인 백성마저 버리고 제 살길을 찾아 몽진했기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이 두사람의 공통점은 나 자신이외에는 그 어떠한 사람도 믿지 못하는 의심병이 깊었다는 것이다. 물론 조선이라는 나라에서 지존이라는 자리는 그 누굴 믿을 수 있겠는가라는 생각도 들지만 이들은 그 정도가 상당히 심했다는 것이다. 선조가 이순신과 광해군을 의심했듯이 인조는 자신의 적자인 소현세자를 권력의 라이벌로 여겼다. 광해군의 실리외교를 빌미로 반정을 일으킨 그가 결국 죽어가는 명의 머리채라도 잡을려고 하는 동안 청은 조선을 정복했고 오랑캐라고 폄하했던 그들에게 삼두구두배를 당하는 유일무이한 군주가 되었고 이것도 모잘라 세자를 비롯한 대군들을 볼모로 보내야 했다. 물론 여기까지는 전쟁에서 패한 댓가라고 위안할 수 있지만 그 이후 벌어지는 일련의 행보에서 후대인들은 인조라는 군주에 대한 평가를 결정해버리게 된다. 물론 실록이나 여타의 기록에 자신의 아들을 사사한 군주는 영조이외에는 없는 것으로 나와 있지만 이를 믿는 후대인이 없다는 것이다. 

역사에 가정은 없다는 말을 수도 없이 되풀이 하고 머리속으로는 받아들이지만 왠지 가슴으로 받아들이기가 힘든 장면들이 있다. 많은 후대인들이 소현이 제명을 살아 지존의 자리에 올랐다면 향후 조선이라는 배는 새로운 대양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방향을 잡았을 것이라는 점에선 이구동성으로 인정하고 있다. 성리학의 본고장인 명보다 더 성릭학에 빠져있던 조선은 청에게 굴복한 이후에도 여전히 교조주의적 성리학 시스템에서 빠져나오질 못했다. 그리고 정조때 잠시 회생의 기회를 엿보았으나 이마저도 정조의 의문스러운 죽음으로 정조와 더불어 조선이라는 배는 사실상 침몰했기 때문이다. 

김인숙의 <소현>은 이처럼 온몸을 받쳐 조선을 사랑했던 소현세자가 죽기전까지의 볼모생활을 한 심양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팩션이다. 이 작품이 눈에 띄는 점은 그동안 소현세자나 세자빈이었던 강빈 그리고 인조등을 소재로 나왔던 작품들과 비교해서 독특한 플롯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대게 우리가 알고 있듯이 병자호란으로 비롯된 비극의 시작과 그리고 볼모생활 , 환국후 인조와의 갈등을 주제로 다룬 작품들이 많았다면 작가의 이번 작품은 이러한 일체의 역사적 사실이나 배경에 그 비중을 두지 않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따. 이는 어찌보면 역사소설이라는 기존의 인식에 일대 변혁을 가져온것이라고 볼 수 도 있다. 작가는 역사적 사실에 작가의 상상력을 첨가하는 방식이 아니라 소현과 그의 아비 인조 그리고 동생 봉림, 심양에서 자신을 압송한 섭정왕 도로곤등과의 치밀한 심리적 구도를 플롯으로 설정하여 소현자신 그리고 상대역을 맞은 등장인물들의 관점 마지막으로 작가의 관점으로 바라보는 내러티브를 전개해 나가고 있는 것이다. 특히 적국에 볼모로 잡혀와서 적국의 감시보다 자국 아버지인 인조의 의심스러운 눈빛속에서 갈등하는 소현의 심리묘사가 일품이라 할 수 있다. 흔이나 만상의 입을 빌려 소현의 심중을 대신 말하고 있는 장면을 설정하므로서 격양되지만 차마 그러지 못했던 역사적 소현의 심정을 보는듯 하여 책을 이로 하여금 가슴저리게 한다. 

소현이 살아 보위에 올랐다면, 차라리 인조가 좀더 일찍 죽었다면등의 역사적 가정이나 사실들을 바라보게하던 기존의 시각보다 오히려 소현이라는 개인 물론 여기서는 개인이라고 불릴 수 도 없는 공적인 개인이지만 그의 내면상태와 심리적인 변화를 마치 살아있는 소현을 보는듯이 작가의 심리적인 표현들이 생생하게 다가오는것이 가장 큰 매력이다. 오히려 여성작가라서 세밀한 심리묘사가 뛰어났다는 표현보다는 작가만의 독특한 필치였다는 표현이 적절하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