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사 삼국지 - 촉서
진수 지음, 김원중 옮김 / 민음사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중국,한국,일본등 동북아시아권에서 나관중의 <삼국지연의>는 서양기독문화권의 성경만큼이나 베스트셀러이면서 동시 꾸준하게 독자층을 확보하고 있는 스테디셀러이다. 3세기 후한의 내리막길에서 조조,유비,손권으로 대표되는 영웅들의 피말리는 정권쟁탈과정을 시대적 배경으로 걸세출의 영웅들과 그들이 평생을 누비고 다닌 전장 그리고 전우애등을 소설적인 픽션을 가미하여 독자들의 심금을 울리는 작품으로 국내에서만 하더라도 정비석, 이문열, 황석영등의 대문호들이 경쟁하듯 편역하여 많은 매니아층을 만들어 낸 작품이다. 세간에는 삼국지를 40대가 넘어서는 읽지말라는 말처럼 삼국지연의에는 다양한 간계와 모사 그리고 이합집산등 인간사에서 나올 수 있는 경우의 수가 총망랑되어 있을 정도로 역사소설이지만 인간심리학이나 경영전략등 인간관계를 모두 다루고 있을 만큼 다양한 플롯과 네러티브로 끊임없이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팩션을 자칫 오인하게 되면 정작 올바른 역사를 왜곡할 우려가 있다. 삼국지연의에 대한 맹목적인 인기가 소설이 아닌 실제 발생했던 역사적 사실로 각인되어 많은 문제점을 이르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측면에서 진수의 <정사 삼국지>는 그동안 소설속에 등장했던 인물들과 시대적 배경 그리고 역사적 사건에 대해서 제대로 알고 넘어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일반인들에게 왜곡되어 있는 간웅 조조와 유비의 관계 그리고 신으로까지 추앙받고 있는 관우, 초자연현상을 일으켜 적벽대전에서 승리를 거둔 제갈량등 많은 부분들이 정사와는 사뭇 다르게 연출되어 있어 자칫 역사적 오류에 빠질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물론 혹자는 소설은 소설이다고 말하지만 이러한 소설이 대중들에게 끼치는 영향은 상당히 위험할 수 도 있는 것이다. 또한 남의 나라 역사에 대해서 소설과 정사를 따지는 것이 무슨 대수인가라고 하겠지만 소설 삼국지가 국내의 독자에게 미치고 있는 영향을 고려한다면 제대로 알것은 알고 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국내의 몇몇학자들이 삼국지 바로알기라는 저서들을 발간했지만 아직도 많은 편견에 빠져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측면에서 삼국지연의와 더불어 정사 삼국지를 같이 보면 소설과 현실의 차이를 제대로 알 수 있거니와 또한 소설 삼국지의 또 다른 매력에 빠져볼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삼국시대(사실상 삼국이라는 표현보다는 양국이라는 표현이 정확할 수 도 있다. 위,촉,오의 역사지도만 보더라도 촉이 지배한 영토는 그야말로 미약하기 때문이다)는 그야말로 약육강식의 정글의 법칙이 존재했던 혼돈의 시대였다. 이러한 혼돈의 시대에 자웅을 겨루었던 각 영웅들의 역사적 평가는 어떠했을까? 그리고 사가의 시각은 어떤 눈으로 이 시대를 바라보았을까? 바로 이러한 점이 정사 삼국지를 읽는 매력중에 하나일것이다.
저자인 진수는 촉나라 태생이지만 위나라를 정통으로 보았고 후대의 대부분의 사가들 역시 위를 정통으로 보고 있다는 점에서 그간의 상식을 벗어나 버린다. 또한 천재적인 전략가 제갈량에 대해서도 진수의 평가는 후대에 세인들에게 알려진 만큼 후하지 않다. 진수의 이러한 생각은 삼국지를 보면 알 수 있다. 황제에 해당하는 기를 위나라에만 두었을 뿐이다. 즉 소열황제 유비나 그의 아들 유선을 제갈량이나 관우,장비등과 같은 전으로 처리했다는 점에서 촉을 일개 소국으로 판단했고 정통은 위에 있다고 봤던 것이다.
이렇게 큰 맥락에서 부터 정사는 소설과 다르다. 각 열전으로 들어가서 살펴보더라도 촉의 5대명장인 관우, 장비, 마초, 황충, 조운등의 평가가 소설속에 나오는 이미지와는 사뭇다른 점을 엿볼 수 있다. 특히 관우와 장비의 평가보다는 마초나 황충 그리고 조운에 대한 평가 더 나을 정도로 진수의 촉서는 나관중의 삼국지연의에서 표현하는 이들 영웅들의 모습과는 많이 다른 모습으로 기록하고 있다. 동시대를 살았고 촉태생이라는 점에서 외히려 진수의 삼국지가 객관적으로 서술되어 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전반적으로 진수는 촉이 40년이라는 짧은 생애을 마감하게 된 가장 근본적인 이유를 제갈량의 후사문제 촛점을 맞추고 있다. 제갈량은 분명 뛰어난 재상이었지만 자신의 후계를 제대로 세우지 못했기 때문에 포스트 제갈량을 자칭했던 장완,비의,강유등의 화합되지 못한 국가경영이 결국 위나라에게 정벌당했다고 보는 것이다. 총체적으로 촉의 단명은 제갈량을 제외하고는 위나라나 오나라에 비해 인재풀이 너무 빈약했다는 것이다. 이런면에서 진수는 방통과 법정의 단명을 누구보다 애통하게 여겼다. 즉 초기 창단멤버들의 자질이나 위엄은 뛰어났으나 뒤를 이를 후사에 대한 투자가 미비했다는 점에서 촉의 단명은 예견되었던 사실이라는 것이다.
진수는 자신의 기록에 대한 객관성을 더하기 위해 촉말의 신하였던 양희를 별도의 전에 삽입하여 그가 남긴 유비를 비롯한 촉의 대표적인 인사들에 대한 평가를 첨가하여 사관의 개인적인 시각이 아님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있다. 또한 진수 스스로가 밝혔듯이 촉은 자체적인 기록을 가지고 있지 않았고 사실상 그럴 능력이 부재했을 정도로 국가경영에 있어 타국보다 위태로웠던 것이다.
전반적으로 촉서는 그동안 과대평가되었던 유비와 제갈량을 비롯한 촉인사들에 대한 올바른 평가를 본다는 측면에서 소설속의 인물들과 많은 대비를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하지만 소설은 소설이고 역사는 역사인것임을 잊지 말야하 할 교훈을 남기는 저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