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친 민음사 모던 클래식 5
요시모토 바나나 지음, 김난주 옮김 / 민음사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키친>은 요즘 대한민국 독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는 요시모토 바나나의 처녀작을 세편(엄밀히 말하자면 두편이라고 해야겟지만)을 모은 단편집이다. 첫 작품 키친과 이어지는 만월은 키친의 뒤이야기라고 보면 되지만 마지막 작품인 달빛 그림자는 앞선 작품과는 별개의 내러티브이다. 미카게와 유이치, 사츠키와 히토시가 등장하는 각각의 내러티브는 독립적인 영역을 각자 가지고 있지만 두 이야기는 하나의 플롯으로 전개 된다고 볼 수 있다. 키친과 달빛 그림자의 전체적인 플롯은 사랑하는 이의 죽음, 이별 그리고 그로인해 마음에 상처받은 아픔의 치유과정을 보여준다.

우리는 누구나 살아가면서 한번쯤은 가족,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묵도하게 되고 또 이별하게 되고 이로 인한 아픔을 가슴속에 담아주고 살아가게 마련이다. 각자 다른 방식으로 겪게 되는 일련의 과정이지만 결국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은 힘든 것이다. 특히 남아있는 사람에게 그 상처를 극복하는 것은 경험하지 못한 이들은 상상치 못할 정도로 많은 시련을 가져다 준다.

작가가 그려내는 두편의 이야기는 바로 흔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작은 이별이야기 그렇지만 한없이 아픈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작가는 미카게와 사츠키를 통해서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을 거창하게 표현하지도 않으면서 일상생활에 묻어나게 그리고 있다. 또한 두 사람을 통해서 결국 자신들의 상처를 꿰메는 방법을 나름대로 제시하고 있다. 미카게는 키친을 공간으로 음식을 통해서 죽은 할머니와의 의미있는 이별을 준비하고 사츠키는 어느날 갑자기 찾아온 애인 히토시의 죽음을 강과 다리라는 매개체를 통해서 아름다운 이별을 고하게 된다. 어릴적 일찍 고아가 된 미카게는 할머니와 단둘이 살아가면서 유독 집안중에서 주방에 애착을 갖게 된다. 할머니 사후 덩그러니 남겨진 집안에서도 주방에서만이 간신히 자신의 감정을 추슬릴수 있을 정도로 주방에 집착하게 되고 주방에 있으면 마치 할머니가 돌아가시지 않은 것 처럼 느껴진다. 이후 유이치와의 조우를 통해서 그리고 유이치의 엄마(사실은 아버지)죽음 그리고 상호간에 느끼는 아픔과 끌리는 감정들, 미카게는 새로운 사람들과의 만남지속을 주방의 연속이자 주방의 산물인 음식과 결부짓게 된다. 결국 음식을 만드는 과정에서 서서히 할머니와의 영원한 이별을 하게 되고 자신과 동병상련을 겪고 있는 새로운 연인과의 사랑을 시작한다. 또하나의 이야기인 달빛 그림자 역시 연인인 히토시와 산책했던 길을 잊을 수 없어 매일같이 그길을 따라 조깅을 하면서 연인을 잊을려고 하지만 오히려 그 길은 죽은 연인의 추억과 그리움만을 더 키울 뿐이다. 뻔히 알면서도 조깅을 멈추지 못하는 것은 차마 그 사람을 놓을 수 없기 때문일 것이다. 너무나 갑작스런 이별이었기에 연인의 웃은 모습이라도 한번 봤으면 하는 생각에 매일 아침 그 길을 조깅하게 된다. 우연히 자신과 비슷한 처지에 있는 우라라를 만나 그 길위에서 사츠키는 한없이 웃는 히토시를 만나고 비단 꿈이나 환상이라고 하더라도 강건편 다리를 지나 영원히 연인을 보내게 된다. 이 영원한 이별이 오히려 사츠키에게는 한번이라도 만날 수 있었다는 안도감으로 그리고 이제 정말 가슴속에 묻을 수 있다는 생각으로 다가오게 된다. 

요시모토 바나나는 바로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이러한 평범한 이야기를 그녀답게 아주 잔잔하게 수면에 물잽이 일듯이 편안하게 그려나가고 있다. 비록 중간에 등장하는 트랜스잰더 이야기나 죽은 애인의 세일러복을 입고 다니는 약간의 괴이한 설정을 하고 있지만 이는 우리와 다른 일본의 또다른 문화적 현상일뿐이다. 하지만 이 특이하게 설정된 인물들 역시 각자 사랑하는 이와의 이별의 아픔을 자신들 나름대로의 방법으로 극복한 형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키친은 등장 하는 모든 인물들이 이렇듯 서로 각각 다른 이별의 아픔을 간직하고 있는 구도이다. 그러면서 서로 각각 이별의 상처를 치유해 나가는 살아있는 사람들의 아름다운 이야기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