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균 그리고 이순신
이은식 지음 / 타오름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륜의 왕실사>,<불륜의 한국사>를 통해서 역사에 대한 다른 시각을 보여주었던 이은식선생은 이번에도 어김없이 그의 전도의 보도를 꺼내 들었다. 내심 걱정이 먼저 앞서지만 원균과 이순신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식을 통해서 그동안 이순신의 그늘에 가려져 있던 원균에 대한 새로운 조명을 하고 있다. 내심 걱정이 된다는 것은 다름아닌 원균에 촛점을 맞추다보니 그동안 몰랐던 이순신에 대한 왜곡된 기록들을 묵과할 수 없이 실록에 있는 그대로 세상에 끄집어 내다 보니 오랫동안 일반 세인들에게 각인되었던 그의 이미지에 상당한 타격을 가할수 있는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이는 곧 포장된 이미지에 충실한 일부 원론주의자들에게 돌을 맞을 수도 있다는 말이다. 

<원균 그리고 이순신>은 성웅, 구국의 영웅, 유년시설 남자아이들에게 가장 닮고 싶은 인물로 대변되는 이순신과 이순신을 사지로 몰아넣고 결국 칠천량 전투에서 패배하여 도주하다 사살된 그다지 자랑스럽지 못하다고 알고 있는 원균에 대한 우리의 인식구조를 뒤흔드는 책이다. 이러한 극과 극의 평가는 우리가 일제감정기시대를 거치면서 독립에 대한 염원으로 민족단결과 독립의식고취등의 이유로 적극 이순신을 부각하였고 그 후대에 군사정부의 정권장악과 반공이데올로기의 소산으로 이순신에 대한 미화작업이 극대화 되면서 덩달아 원균에 대한 이미지는 한없이 나락으로 떨어졌다는 것을 이제는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아직까지도 이 두 사람에 대한 허와 실에 대한 과대한 포장을 걷어내지 못하고 있는 것 역시 현실이다. 

필자는 이런 측면에서 원균과 이순신에 대한 새로운 평가 즉 그동안의 편견을 버리고 새롭게 접근해야한다는 차원에서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을 바탕으로 그 실상에 접근하고 있다. 특히 임진왜란에서 그 중심부에 들지 못했던 악역을 담당했던 원균에 대한 재조명를 통해서 그의 원죄를 벗겨내려는 작업을 보여준다. 이런 필자의 의도는 개인적으로도 극히 환영할만하고 필자의 용기에 찬사를 보내는 바이다. 특히 임란발발 초기의 상황과 원균의 마지막 전투였던 칠천량해전을 재고증함으로써 원균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제거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 것 같다. 필자는 임란발발 불과 2개월전에 경상우수사에 부임하여 제대로된 군비점검의 절대적 여유도 없이 임했던 23일간의 전투에서 그나마 그의 적극적인 대응이 있어기 때문에 재해권을 송두리채 왜군에 넘겨주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칠천량전투 역시 수차례 수륙양동작전을 펼쳐야 한다는 원균의 주장과 휘하 부장들과의 불협화음으로 인해 전투력이 하락했다는 점등을 무시한 무리한 작전으로 인해 그 승패는 이미 정해졌던 것이고 또한 이 전투에서 원균이 도주하다가 사망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고증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점은 그동안 원균에 대해 가지고 있던 왜곡된 사실을 바로 잡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전쟁발발 초기에 소극적으로 대응했던 이순신의 행동과 최초의 해전이었던 옥포해전이후 승전결과에 대해 합의를 무시하고 단독으로 보고하여 그 결과물을 챙긴점, 원균과 원균의 아들을 매도한 점, 당시 적군의 본거지인 부산진 왜군군영의 방화사건을 자신의 공으로 포장하여 조정에 보고한 점등을 낱낱이 소개하여 이순신에 대한 새로운 사실을 공개하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물론 필자의 의도가 이순신을 폄하자는 것은 결코 아닐 것이다. 단지 원균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걷어내는 과정에서 그의 맞수였던 이순신에 대한 평가도 제대로 하자는 취지라고 봐야 할 것이다. 여하튼 필자의 이번 저서로 인해 원균에 대한 새로운 평가가 자리매김해야 할 것에는 의의를 제기하지 못할 것이다. 선무1등공신에 추록된 이순신, 원균, 권율 3명에 대해서 유독 원균에 대한 평가가 잘못되었다는 점을 개탄하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이순신,원균은 임란이 가져온 가장 큰 피해자이자 희생양이었다고 생각된다. 조선왕조 최초로 대군이 아닌 일개 군으로 옥좌에 오른 선조는 자신의 권력에 대한 집착과 그로 인한 의심으로 조선시대 가장 강력한 싱크탱크를 갖추고 있었지만 가장 무능한 군주로 기록된다. 혹자는 당쟁의 결과로 임란에 대한 대비를 하지 못하였다고도 하지만 사실상 그 당시 일본이 쳐들어 올 것이라는 것은 공공연한 비밀이었다. 단지 선조의 입장에서는 전쟁의 승패보다는 자신의 옥좌유지에 더 많은 집착을 하게 되었던 것이다. 자신의 권력에 그 어떠한 도전도 용납할 수 가 없었던 것이다.

또한 필자가 지적한 이순신과 원균의 행동은 군지휘자로서의 성향 차이에서 살펴봐야할 점도 있다. 이순신은 철두철미한 전략가 타입이라면 원균은 손수 전장에 나서는 행동대장과 같은 타입이었고 이러한 두 장수의 전쟁수행 스타일이 두 사람의 반목을 가져온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원균은 이순신을 전면에 나서지 않는 소인배로 폄하했고 이순신은 원균을 병법도 모르는 미치광이로 폄하했던 것이다. 하지만 두사람은 당시 조선의 그 누구보다도 왜적의 전략에 대해서 잘 알고 있는 유일한 장수들이었다. 결국 이순신이 실각하게 된 계기도 그렇고 원균이 마지못해 칠천량전투를 수행할 수 밖에 없는 것은 당시 조선에 이 두사람을 빼고는 전투에 대한 문외한들과 군주의 옹졸한 치기에 따를 수 밖에 없는 무뢰배들로 가득했다는 점이 결국 두사람은 전사로 몰고간 원인인 것이다. 임란이후 포상된 공신들의 면면을 보면 더욱더 가관인 것이다. 목숨을 걸고 나라를 지켰던 무신들은 고작 18명만이 공신의 반열에 올랐지만 선조를 따라 피난을 떠났던 문신과 내관들은 무려 수천명이 공신의 반열에 올랐다는 점이 적나라하게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특히 필자는 한 사람은 영웅으로 한 사람은 간웅 내지는 비겁자로 확정해 버린 선조수정실록에 대해서 강력한 비판을 하고 있다. 하지만 조선은 이처럼 실록과 수정실록을 동시에 역사에 남겨서 후대인들이 역사를 바라보는 점에 대해서 많은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결국 후대인의 한쪽으로 기울지 않은 사관을 심겨주기 위한 과학적인 장치중에 하나라고 해야할 것이다. 그 판단의 몫은 바로 우리에게 있는 것이다. 어느 한쪽의 서술에 편중하는 것이 아니라 양측의 서술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할 것이다. 특히 우리가 경개해야 할 것은 원균과 이순신의 그 공과를 요목조목 파악하는 것 보다 역사적 구도를 두사람의 라이벌 관계 내지는 맞수 그리고 반목적인 대응관계로 인식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이순신이 통제사로 승격되기 이전까지의 모든 해전는 이순신 단독의 전투가 아니였고 이억기와 원균이라는 삼두마차에 의한 혁혁한 전과를 올렸던 것이다. 이순신의 냉철한 머리, 원균의 넘쳐나는 열정 그리고 이억기의 중용적인 입장이 세계해전사상 불패의 업적을 만든 것이다. 

솔직히 이 서평을 쓰면서도 아직까지 원균에 대한 입장정리가 안되는 것이 사실이다. 그만큼 역사적 왜곡과 과도한 숭상이 가져다 주는 병패가 이처럼 크다는 것을 다시 느끼게 한다. 원균과 이순신 두 장수는 조선이 배출한 걸출한 영웅임에 틀림없다. 단지 정치인들의 정치논리에 의해 판단이 흐려진다면 이는 영웅에 대한 진정한 대접이 아닐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