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문화 순례
최준식 지음 / 소나무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울이 우리나라의 중심지가 된지 대략 600여년이라는 세월이 훌쩍 흘렀다. 세계사에 유래없이 장수한 조선왕조의 몰락과 일제강점기를 거쳐 반쪽짜리이지만 한나라의 수도로서 서울은 우리와 같이 희노애락을 같이한 그런 도시이다. 특히 지금의 서울은 대한민국 경제, 교육, 문화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독보적인 존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말은 제주로 보내고 사람은 서울로 보내라는 말이 있듯이 서울은 수도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다고 봐야할 것이다.

그럼 이런 서울에 대해서 우리는 과연 얼마나 알고 있는 것일까?
이런 질문에 자신있게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서울에 살던 지방에 살던 오히려 서울에 사는 사람들이 정작 서울에 대해서는 더 모르고 있는 내용들이 더 많을 것이다. <서울 문화 순례>는 이화여대 한국학 교수인 저자가 서울의 전통문화를 내국인만이 아니라 외국인들에게 올바르게 전파하기 위하여 남산부터 홍대앞까지 손수 발로 돌아다니면서 집필한 일종의 서울 가이드라고 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그런 여행가이드 도서와는 그 개념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비록 서울에 남아있는 우리의 전통적인 유적과 문화에 대한 설명과 그 기원을 소개하고 있지만 서울에 한정된 개념을 뛰어넘는 우리의 전통문화 가이드 라고 볼 수 있다.
처음 소개되는 남산경복궁은 그야말로 우리 선조들의 정신적인 면을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예이다. 수도의 궁궐 신축에서 우리 조상들은 비록 중국의 영향을 받았지만 조선식으로 개창하였다. 이는 나중에 보조적인 궁인 창덕궁을 보면 두더러진다.
소위 말하는 무위자연의 철학이 녹아 있는 곳이다. 최대한 인위적인 요소를 배제하고 자연을 그대로 받아들인 건축방식은 우리 선조들의 철학을 대변하는 일례이기 때문이다. 이런 의식은 종묘성균관에서 그 절정을 이루게 된다. 성리학의 원산지인 중국보다 오히려 더 발달한 유교문화의 대표적인 흔적을 볼 수 있다. 오죽하면 공자에 재사드리는 문묘제례를 제대로 보기 위해 지금 중국에서 찾아오고 있을 정도로 명나라 멸망이후 우리의 선조들은 조선이 중화을 잇는 적장자로 생각했던 것이다.

 

또한 이책의 별미중에 하나는 국사당조계사편이라고 할 수 있다. 서울은 극히 유교적인 도시이다. 지금이야 그 빛이 많이 퇴색했지만 500여년을 유교중심에 서 있었기 때문에 유교를 제외한 그 어떠한 종교는 배척당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조선건국초기에 설립된것으로 알려진 국사당의 내력을 보면 무교에 대한 우리 선조들의 의식도 확인 할 수 있다. 흔희들 비과학적이고 혹세무민한다는 이유로 집권층으로부터 외면당했던 무속신앙은 불교와 함께 우리 민족의식 깊은 속에 자리잡고 있는 유일한 종교이자 한민족과 그 맥을 같이한 유일한 전통문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는 이렇게 지나간 서울의 모습만을 말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인사동홍대앞을 통해서 우리는 문화라는 컨텐츠의 중요한 역활을 볼 기회를 가지게 된다. 이 두곳은 연령대나 가치관면에서 대립적인 요소를 보여주지만 그 자체로서 서울의 대표적인 문화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이렇듯 서울은 전통과 현대가 갈이 살아 숨쉬고 있는 역동감 넘치는 도시라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된다. 한강변을 둘러싼 고층아파트와 업무용빌딩의 어지러운 스카이라인등이 서울의 전부로만 알고 있던 나에게 서울에 대한 생각과 의미를 다시금 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된 것 같다.

하지만 이런 문화유산을 이어받은 우리의 현주소가 안타까움으로 다가 온다. 경제우선정책으로 인하여 무분별한 개발과 그로 인한 문화유산의 회손은 이제 그 복원조차 하기 힘들 정도로 망가져 가고 있다. 비록 이제야 그 중요성을 깨닫고 부랴부랴 보존절차에 들어갔으나 그 실효성에 대해서는 의구심이 많이 간다. 전통을 포함한 문화유산은 우리선조들이 우리에게 남겨 그대로 후손들에게 대물림하라고 하는 것이지 우리의 입맛대로 이용하라는 것은 아니다. 다시 한번 문화유산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야 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이 책 한권으로 서울 문화순례를 해보는 것이 생생한 기억으로 남을 것으로 생각된다. 책의 목차에 따라 남산에서 시작하여 홍대앞에서 끝마치는 도심여행은 그 어떤 여행보다 오래토록 기억에 남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